0
4
0
조회 136
2012.10.23 15:02
한때 인터넷 상에서 상당히 많이 회자되던 사진입니다. 언론이나 미디어가 어떻게 가해자와 피해자를 바꿀 수 있는지를 아주 잘 보여주는 사진이지요.
오늘 재단이 성명을 내었습니다. 조선일보의 악의적인 왜곡 보도를 비판하기 위해서입니다.
정말 위의 사진처럼 검게 칠할 부분은 검게 칠하고 가릴 부분은 가려서 "완벽하게" 사실관계를 왜곡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재단의 성명에서 보여준 표에서도 아주 잘 드러나 있지만, (노무현재단 성명 전문 보기) 어떤 식으로 왜곡했는 지 다시 한번 정리해 볼까요?
1. "문건의 내용과 문건의 목록도 없애버리라" 고 말했다는 내용이지요.
-> 사실은 이렇습니다 : 공개할 수 있는 문서 중 일부가 '공개할 수 없는' 경우에는 어떻게 할까? 라는 내용을 회의하면서 "기술적으로 공개되는 문서에서 인용한 공개할 수 없는 비공개 내용만 노출 안되게 할 수 있냐? 인계할 때 제목까지 없애버리고 넘겨줄 꺼냐?" 라고 물어보신거죠. 앞부분 뒷부분 자르고 딱 그 부분만 놓고 노무현 대통령이 그런 지시를 했다는... 어처구니없는 공작을 저지른거죠. 참여정부는 역대, 그리고 지금까지도 가장 많은 문서를 만든 정부입니다. 모든 일을 깨알같이 다 기록한 정부지요. 이 문건 중 법적으로 제목도 공개해서는 안되는 글이 공개해도 되는 문건에 인용된 경우 그것을 일일히 수작업으로 지울 수 없기 때문에 기술적으로 이것을 필터링하는 것이 가능하냐? 또 이 제목을 지우고 주는것이 맞는거냐? 이렇게 회의중에 물어보신 겁니다.
대통령기록관에 원본 그대로 이관되는 것을 전제로, 차기 정부에 공개기록을 인계하는 과정에서 목록까지 공개해서는 안되는 지정기록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발언 |
2. 노무현 대통령이 "기술적으로 (제목까지 다 지우는게) 가능하냐? 라고 물었다고 조선일보는 말합니다.
->사실은 이렇습니다 : 지정되어있기 때문에 제목도 공개되서는 안돼는 비밀문서가 공개문서에 언급되어 있는 경우 공개 문서상 그 제목들을 "보이지 않게 하는 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냐" 라고 물으신 부분입니다.
3. 문재인 당시 비서실장이 "나중에 보호기간이 지난 후 다시 기록을 복원해야 할 때 문서의 소속을 어떻게 찾을꺼냐" 라고 말했다고 조선일보는 말합니다.
-> 사실은 이렇습니다 : 대통령 기록관에는 생산 부서 등 출처 정보를 포함한 원본이 그대로 이관되었기 때문에 문 비서실장의 우려는 문제가 없는 것으로 정리 되었지요.
등등등입니다... (실제 재단에서는 7가지 항목으로 분류하여 조목조목 왜곡사실을 밝혔습니다)
사실 어떤 내용을 어떻게 왜곡했는가 보다는 어떠한 방식으로 치졸하게 왜곡했는지의 맥락을 짚어내는 것이 중요한 것 같네요.
노무현재단 성명 전문 보기 <- 재단의 공식적인 성명을 직접 한번 보시기를 권합니다.
당신을 위한 진혼곡이라면, 얼마든지. 블로그/트위터/페이스북/SNS/맞팔100%/어플리케이션/해병대/마케팅/강연/강의/강좌/노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