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5
0
조회 193
2012.10.15 18:08
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 후보는 15일 "소득 양극화가 사상 최대에 이르고 중소기업, 자영업자, 골목상권은 하루하루 버티기가 어렵다"며 "이런 시대적 상황은 `한국형 뉴딜'을 요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문 후보는 이날 오후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열리는 `전국 상공인과의 대화'에 앞서 배포한 연설문에서 "1930년대 대공황에서
미국경제를 구하고 전후 30년간 장기호황의 발판을 마련한 정책이 프랭클린 루스벨트 전 대통령의 뉴딜"이라며 "뉴딜의 핵심은 규제의
제도화와 복지의 제도화"라고 강조했다.
그는 재벌개혁과 관련, "대기업의 경제활동을 억제하거나 투자와 성장을 저해하는 게 아니다. 문제는 대기업이 아니라 재벌"이라며
"경제민주화는 기업을 옥죄는 조치가 아니라 기업과 한국경제가 살아나기 위한 일종의 예방주사"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정치인, 특히 대통령 후보는 듣기 좋은 말, 두루뭉술한 정책으로 국민에게 다가가서는 안 된다"며 "욕을 먹더라도 자신의 생각을 확실히 말하고 틀린 부분이 있다면 과감히 수정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성장ㆍ일자리ㆍ복지ㆍ경제민주화가 함께 가는 `4두 마차 경제', `4륜 구동 경제'를 강조한 뒤 ▲포용적 성장 ▲창조적 성장 ▲생태적 성장 ▲협력적 성장을 `양날개 성장'을 위한 `4대 성장' 전략으로 제시했다.
문 후보는 앞서 판교 테크노밸리 글로벌 R&D 센터에서 열린 한국인터넷포럼 초청 정책간담회에서 "`IT강국 코리아'의 위상을 되찾고 `제2의 인터넷 혁명'으로 정보통신기술(ICT) 르네상스를 열어가겠다"고 밝혔다.
그는 ICT 산업 진흥을 위한 `5대 정책'으로 ▲인터넷산업의 국가전략산업 육성 ▲`인터넷 자유국가' 도약 및 통신비 대폭 절감
▲좋은 일자리 50만개 창출 ▲상생과 융합의 ICT 생태계 조성 ▲정부 산하 ICT 정책 총괄기구 설치 등을 제시했다.
그는 "청와대에 국가전략산업지원관실을 신설, 실효성 없이 산업을 위축시키는 불필요한 규제는 과감히 폐지하고 정부가 간섭하는 일은 하지 않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