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1
0
조회 39
2012.10.09 11:30
"전세계 머지않아 다시…" 무서운 경고
글로벌 경제가 각국 중앙은행들의 경제회생 노력에도 불구하고 '쓰러지기 직전'이라고 미국 브루킹스연구소와 파이낸셜타임스(FT) 공동평가지수가 경고했다.
8일 FT는 브루킹스와 공동으로 한국 등을 포함한 주요20개국(G20)과 신흥경제국의 주요 경제지표와 기업 및 소비자 신뢰지수 등을 종합해 산정하는 타이거지수(Tracking Indexes for the Global Economic Recovery)를 평가한 결과 세계 경제 회생의 기반이 사라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브루킹스연구소 교수는 "전세계 경제 회복이 정치적 갈등과 정책 부족, 재정위기 등 구조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각국 정부의 능력 부족 등으로 쓰러지기 직전(on the ropes)에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이로 인해 전세계 경제가 머지않아 다시 한 번 의식을 잃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FT도 타이거지수를 토대로 "각국 중앙은행들이 전통적ㆍ비전통적 수단을 가리지 않고 경기부양책을 내놓고 있지만 단기적으로 시장을 안정시키는 데 그치고 있다"며 "세계 경제를 성장으로 전환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평가했다.
FT는 특히 현재 선진국 중 유일하게 경기개선 신호가 나타나고 있는 미국도 안심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실업률ㆍ주택시장 등 주요 경제지표가 호조세를 보이지만 정치권의 교착상태로 재정절벽(fiscal cliffㆍ재정지출의 갑작스런 중단이나 축소로 인한 경제 충격) 문제가 해결되지 않아 대통령선거 이후 미 경제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 미국 기업들의 3ㆍ4분기 실적전망도 어둡다. FT는 9일 알코아의 실적발표로 시작되는 미국의 3ㆍ4분기 어닝 시즌이 지난 2009년 4ㆍ4분기 이후 11분기 만에 최악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특히 월가 전문가들은 뉴욕증시의 가늠자 역할을 하는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지수에 속한 기업들의 실적이 1년 전에 비해 2.6% 하락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불과 3개월 전 월가는 3ㆍ4분기 실적이 1.9% 증가할 것으로 예상했다.
유럽의 경우에도 유럽중앙은행(ECB)이 9월 통화정책회의에서 무제한 국채 매입을 발표했지만 아직까지 불안한 상황이 계속되고 있다. 특히 브루킹스연구소가 재정위기국인 포르투갈ㆍ이탈리아ㆍ아일랜드ㆍ그리스ㆍ스페인만 따로 산정하는 지수에 따르면 이들 5개국 가운데 아일랜드만이 2008년 금융위기 당시 수준으로 경제가 곤두박질치지 않았다.
FT는 또 그동안 세계 경제 성장을 견인했던 중국ㆍ브라질 ... 신흥경제국의 경우 올해 들어 경기부양책이 제대로 말을 듣지 않았던 점을 상기시키며 경기부양을 위한 정책선택 가능성이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고 지적했다.(서울경제)
Financial Times) -- The US is the brightest spot in the world economy, as another global recession threatens, according to the latest Brookings Institution-Financial Times tracking index.
Tiger (Tracking Indices for the Global Economic Recovery) shows the world's recovery to be "on the ropes", despite the best efforts of the world's central banks to boost demand.
Economic data and confidence indicators have deteriorated since earlier in the year across the Group of 20 leading developed and emerging economies, apart from the US, which is on the brink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The financial markets, however, have remained relatively strong, with the financial component of the index recording its strongest position since June 2011.
The Tiger findings cast a shadow over this week's annual meetings of the International Monetary Fund and World Bank in Tokyo, as the world's finance ministers and central bankers struggle to find ways to generate self-sustaining growth.
The deterioration in hard data and sentiment has forced economic forecasters to lower their estimates of growth this year and next. A leak of the detailed IMF forecasts, to be published on Tuesday, showed the fund revising down its 2012 global growth forecast to 3.3 per cent from 3.4 per cent in July, and shaving another 0.3 percentage points off its July forecast of 3.9 per cent for 2013.
Professor Eswar Prasad, of the Brookings Institution, said: "The global economic recovery is on the ropes, battered by political conflicts within and across countries, lack of decisive policy actions, and governments' inability to tackle deep-seated problems such as unsustainable public finances that are stifling growth."
The Tiger index shows momentum in the global economy dissipating despite action by the Federal Reserve, European Central Bank, Bank of Japan and Bank of England to boost the recovery. Only in the US has economic momentum remained reasonably robust, while it has slackened off in the formerly strong economies such as the Brics (Brazil, Russia, India and China).
The Tiger index combines measures of real economic activity, financial variables and indicators of confidence, according to the degree to which they are all moving up or down at the same time. Using sophisticated statistical methods it can capture the co-movements of data which are measured on a very different basis and across many countries.
In this release of the index, the Brookings Institution produced a separate indicator for the troubled peripheral European economies of Portugal, Italy, Ireland, Greece and Spain. Only Ireland, among these five countries, has avoided a sharp descent towards the levels last seen during the financial and economic crisis of 2008-09.
Prof Prasad said that fiscal policy and structural reforms were hamstrung in most economies, leaving the burden on central banks to revive the flagging recovery. "In the absence of a broader range of decisive policy measures -- including fiscal, financial system and structural reforms needed in many countries -- the world economy may soon be down for the count," he said.
<단지언니생각>
1)대공황이후 불어닥칠 세계경제 위기설은 끊이지 않게 들려옵니다.
2)미국 금융위기가 몰고온 세계적 경기침체가 유럽전역에 영향을 주고 있으며 향후
3)미국경제의 경기회복 전망이 밝지 않다고 합니다. 세계 여러주요국들이 현재의 동시적 침체에서
4)벗어나기 어렵다는 전망이 예측되며 한국도 예외는 아닌 것같습니다. 대선을 코앞에
5)두고 있는 싯점에 가장 시급한 일은 안정적인 경제정책을 계획하여 차질없이 시행하는 일인 것같습니다.
6)세계경제상황이 폭풍전야인 것은 아닌가? 두려운 생각도 듭니다.
*위의 한글과 영문 내용은 대동소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