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3
0
조회 128
2012.10.09 04:54
문재인 민주통합당 후보 측 이정우 경제민주화위원장은 8일 안철수 무소속 후보가 전날 내놓은 정책 비전을 강도 높게 비판했다. 문
후보 측 대변인의 공식 논평이 구체성의 결여를 지적하면서도 차이점보다는 유사성을 강조하던 것과는 확연히 다른 기류이다.
이 위원장은 이날 평화방송 라디오에 출연, 대통령의 인사권을 10분의 1로 축소하겠다는 안 후보의 구상에 대해 "이렇게 되면 관료
중심으로 갈 수 있어서 개혁이 후퇴하지 않을까 걱정"이라고 직격탄을 날렸다. 표현은 점잖았지만 '관료 중심으로 가겠다는
것이냐'고 힐난한 것이다. 그는 청와대 이전 주장에 대해서도 "너무 뜻밖이고 동의하기 어렵다"고 선을 그었다.
그는 전날 제시된 안 후보의 정책 비전과 내용에 대해 "대체로
원론적이고 추상적인 수준이어서 구체적 정책이 나와야 비교도 되고 토론도 될 것"이라고 평가절하했다. 그러면서 "원론 수준에선
이의를 달 사람이 별로 없을 것"이라고 촌평했다.
이 위원장은 대통령의 사면권을 제한하겠다는 안 후보의 구상과 관련, "사면권이 남용돼온 경향이 있어 자제돼야 하는 것은 맞고
원칙도 분명해야 한다"면서도 "사면권은 대통령의 고유권한인데 국회 동의까지 받도록 하는 건 지나친 압박"이라고 지적했다.
이 위원장은 안 후보의 정책 방향 자체에 대해서도 날을 세웠다. 그는 "몇 달 전에 낸 책(<안철수의 생각>)의 내용은
상당히 개혁적이고 민주당하고 가깝다는 생각이 들었지만 9월 출마 선언 때 발표한 내용은 중도로 옮기는 것 같은 느낌을 줬다"면서
"어제 발표는 제2의 출마 선언 같은 느낌이었다"고 비판했다. 개혁ㆍ진보와는 다소 거리가 있다는 뜻이다.
경제민주화 정책과 관련, 이 위원장은 자신이 문 후보에게 안 후보의 정책총괄역인 장하성 교수를 추천했던 사실을 소개한 뒤 "안
후보 측과 대체로 방향이 같을 것"이라며 "다만 장 교수의 전공이 금융과 재벌 쪽이어서 그 쪽에 중점을 두지 않을까 예상하는데
우리는 이 부분과 함께 노동의 민주화, 사회적 경제 등 3박자 체제를 통해 경제민주화를 완성하는 틀을 그리려고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