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6
0
조회 121
2012.09.28 16:07
12.09.28 14:34 jjjungeun2
투표시간 연장 문제가 대선 핫 이슈로 떠오르면서 '투표시간 연장'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투표 좀 하자 - 투표시간 밤10시 까지 연장 * 9월27일 현재 안철수, 문재인 선거본부에서는 * 연장안 찬성을 페이스북, 트위터로 공표했습니다. * 찬성을 알려오신 국회의원 명단입니다.(현재 총 34명/국회의원총 300명)* * 새누리당 ( 명) : * 민주통합당 ( 33명) : (법안발의자, 트위터 등) 은수미,문재인,장하나,김현미,윤후덕,신경민,박수현,유은혜,진선미,우원식(10) 이목희,도종환,한명숙,윤관석,정성호,이미경,배기운,홍종학,전병헌,문병호(20) 김광진,김민기,유성엽,최민희,강동원,전정희,김재윤,이석현,정청래,홍익표(30) 이해찬,홍익표,장하나 * 통합진보당 ( 명) : * 무소속 ( 1 명) : 서기호 * 알려주실 방법은 트위터,페이스북,기자회견, 당론발표 등 다양한 방법으로 공표하시면 됩니다.* * 당론인경우 당소속 국회의원 전체의 숫자를 기재하겠습니다 * ---------------------------------------------------------------------------------- 누구를 지지하든 누구를 반대하든 투표를 하든, 기권을 하든 적어도 실질적으로 투표할 권리는 줘야 합니다.
투표일에도 일하는라 투표권을 사실상 박탈당한 우리 유권자들 투표할 수 있게 밤 10시 까지 투표시간 연장합시다.
이 안건을 국회에서 통과하는데 반대한다면, 민주주의자 인지 의심스럽습니다.
대통령 후보 세분이 합의할 수 있는 가장쉬운 일 합의하시죠. 각 선거본부와 국회에 청원합니다.
---서명하시고, 각자 트윗,페북,카톡,이멜로 청원 알려 주세요 --- 이글 바로가기 URL http://durl.me/3eqex9 <= 복사해 쓰세요
<추가>트위터 펌: 선거 투표 마감 시간. 일본 오후 8시, 아일랜드 10시, 러시아 8시, 영국 10시, 이탈리아 10시, 캘리포니아주 8시 라네요. 호주는 투표불참에 벌금형까지.. <추가2>트위터펌: 선관위가 "투표에 불참한 비정규직의 64.1%가 현실적 여건때문에 투표가 어렵다"고 발표. <추가3>트위터펌 : 총선중 지역구의 마트근무자가 "투표일에 세일이라 더바빠 찍을수없다"고ᆢ이게 우리현실.. <추가4> 아이엠피터 : http://t.co/FtuJ7QEI <= 꼭 보세요 <추가5> 민주사회를 위한 변호사모임 에서 투표시간 연장을 위한 100인의 헌법소원 청구인단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http://minbyun.org/?doc-ument_srl=1043377&mid=notice 10월3일까지. <추가6> 약 600만의 비정규직 근로자들이 투표를 함으로써 생계에 지장이 생길 가능성이 있답니다. <추가7> 한겨레신문에 따르면 98년 8시까지로 연장한 일본은 이후 4번의 선거에서 10%정도 투표율상승. <추가8> "한국갤럽의 조사에 따르면 현행유지가 50%, 9시까지 연장이 48%로 나왔다.(608명) 같은조사에서 지난 국회의원 선거일에 근무했는지 여부를 물은 결과, 32%가 ‘근무했다’고 응답! <추가8-1> 여론조사 전문기관 모노리서치(대표 이형수)가 9월 26일 실시한 조사에서 (1,320명) 52.9%가 투표시간연장 찬성의견을, 36.1%가 반대 의견을 나타냈다. <추가9> 트위터펌:투표시간 연장을 진정 원하시면 사시는 곳 국회의원에게 전화하세요. 행동하시면 바꿀수있습니다. <추가10> 선관위 주장대로 100억원의 추가비용이 발생한다고 하면, 10%투표율 향상이라면(일본처럼), 약 400만명의 참정권이보장되며, 1인당 약 2천5백원정도 예산인샘. 그것이 아까워서 못하겠다고? <추가11> 의견펌: 건설현장은 보통 6시 50분에 안전조회하고 7시부터 일시작 오후 5시에 일마치는데 출퇴근시간이 한시간은 걸리죠.진짜 마음 먹지않으면 투표하기 어렵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