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
4
1
조회 570
2012.09.19 11:03
참여정부 5년, 민주정권 10년의 기간동안 각 언론과 보수층에서 줄기차게 흔들던 것이 있습니다. 바로 '경제'지요. 특히 노무현 정권은 '경제파탄'이라는 공격을 계속 받아왔습니다.
이번 재단의 '민주정부가 낫다' 시리즈는 이런 측면에서 상당한 의미와 파장을 가질것으로 예상됩니다.
아래는 제 블로그에 적은 글입니다.
---------------------------------------------------------------------------
결과적으로 보았을 때 이명박 정부는 1인당 국민소득의 증가분으로 보았을 때 충격적인 패배를 인정할 수 밖에 없습니다.
바로 보는 경제용어 : 1인당 국민소득이란 여러 기준을 가지고 있는데요. 국내 총생산(GDP)와 국민 총소득(GNI)가 그것입니다. 일반적으로 국내 총생산 개념을 많이 사용하는데요. GNI로 할 경우 외국인이 국내에서 창출한 부가가치는 포함되지 않기 때문입니다. GDP는 국민이 '생산활동'에 참여하여 발생한 부가가치의 총합을 의미하는데요. 여기에는 여러 계산법이 있는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최종재"의 가격을 합산하는 형태입니다. 이 부분을 잘 모르시는 분들이 노무현 정부의 1인당 국민소득 증가가 '집값상승' 때문이라고 오해하시기도 합니다. 집값상승 자체는 국민소득 증가와 '전혀' 상관 없습니다. GDP에 포함되는 것은 '올해 지어지고 올해 분양된 건물의 분양가' 만 이기 때문입니다. 이 국민소득을 인구의 수로 나눈 것이 1인당 국민 소득입니다. 국민 총소득의 개념은 우리 국민이 국내외에서 생산활동에 참여하는 댓가로 받은 소득을 의미합니다. 이 역시 집값상승은 포함되지 않습니다. |
동영상에서 보실 수 있듯이 참여정부와 MB 정부의 1인당 국민소득 증가분이 10배 이상 차이납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노무현의 참여정부에서 1인당 국민소득 증가액이 9500달러, 이명박 정권의 1인당 국민소득 증가액은 고작 860달러에 그쳤습니다.
이에 앞서 노무현 정권은 헌정사상 최초로 국민소득 2만불을 달성한 바 있습니다.
과거 정권들이 '무역수지 얼마 달성'과 같은 실물 국민경제와 큰 연관이 없는 지표에 집착하는 것보다는 실제 국민의 소득 규모 자체에서 나타나는 극명한 차이로, "참여정부의 무능"이라는 오명은 각종 언론사가 만들어낸 거짓 신화에 불과했다는 것을 증명한 이번 자료는 참 의미깊은 시도라고 봅니다.
(무역수지 얼마 달성은 국민소득과 '상관관계'가 있을 뿐 국민소득 자체가 아니기 때문이지요)
당신을 위한 진혼곡이라면, 얼마든지. 블로그/트위터/페이스북/SNS/맞팔100%/어플리케이션/해병대/마케팅/강연/강의/강좌/노무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