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서도원 선생
- 1923년 3월 27일 경남 창녕군 출생. 진주고보 졸업
* 4.19혁명 이후 민주민족청년동맹위원장
엮임 * 5.16군사반란 이후 특별법 위반으로 7년형 받음(63년 출소) 1974년 4월 25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9일 사형 집행(경남 창녕군 선산에 안장) 2007년 1월 23일 산화하신지 32년 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도예종 선생
- 1924년 12월 25일 경북 경주시 출생. 대구대 경제학과 졸업
* 4.19혁명 이후 경북 영주군 교육감
당선, 민주민족청년동맹 간사장 엮임 1964년 9월 5일 1차 인혁당 사건으로 구속됨(3년형 받음) 1974년 4월 25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9일 사형 집행(대구 현대공원에 안장) 2007년 1월 23일
산화하신지 32년 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송상진 선생
- 1928년10월 30일 대구 출생. 대구대 경제학과 졸업
* 4.19혁명 이후 교원노조활동 및
민주민족청년동맹 사무국장 엮임 1964년 9월 5일 1차 인혁당 사건에 연류되어 구속수사 받음 1974년 4월 30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9일 사형 집행(대구 현대공원에 안장) 2007년 1월 23일 산화하신지
32년 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우홍선 선생
- 1930년 3월 6일 경남 울산 출생. 육군대위 예편
* 4.19혁명 이후 통일민주청년동맹 중앙위원장
역임 1964년 1차 인혁당 사건으로 구속수사 받음 1974년 4월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9일 사형 집행(경기 파주시 ****묘지에 안장) 2007년 1월 23일 산화하신지 32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하재완 선생
- 1932년 1월 10일 경남 창녕 출생. 57년 중사로 제대.
* 4.19혁명 이후 경북 민족자주통일협의회
참여 1964년 1차 인혁당 사건으로 조사받음. 1974년 5월 1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9일 사형 집행(대구 현대공원에 안장) 2007년 1월 23일 산화하신지 32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김용원 선생
- 1935년11월 10일 경남 함안 출생. 서울대 물리과 졸업
* 4.19혁명 이후 서울대민족통일연맹 참가,
경기여고 교사 1964년 1차 인혁당 사건으로 조사받음. 1974년 4월 20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9일 사형 집행(경남 함안 선산에 안장) 2007년 1월 23일 산화하신지 32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이수병 선생
- 1937년 1월 15일 경남 의령 출생. 경희대 경제학과 졸업
* 4.19혁명 이후 경희대 민족통일연맹
위원장, 민족일보기자 * 5.16군사반란 이후 '특별법'위반으로 15년형 받음(68년 출소) 1974년 4월 20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9일 사형 집행(경남 의령 선산에 안장) 2007년 1월 23일 산화하신지
32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여정남 선생
- 1944년 5월 7일 대구 중구 출생. 경북대 정외과 졸업
* 62년 대학 입학 후, 한일회담, 3선개헌
반대투쟁, 유신헌법 반대투쟁 전개 1971년 4월 정진회 필화사건으로 구속 1974년 4월 24일 민청학련 사건으로
구속 1975년 4월 9일 사형 집행 (대구 현대공원에 안장) 2007년 1월 23일 산화하신지 32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장석구 선생
- 1927년 9월 19일 서울 출생. 단국대학교 정치학과 졸업
1949년 9월 평화신문사 기자 * 63년
한일협정 반대와 69년 3선 개헌 반대운동에 참가 1975년 4월 8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5년
선고 1975년 10월 15일 서대문구치소에서 복역 중 운명(경기 파주시 **공원묘지에 안장) 2008년 1월 23일 33년 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이재문 선생
- 1934년 경북 의성 출생. 경북대 정외과 졸업
*4.19혁명 이후 통민청, 민족일보 기자 1964년
1차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구속수사 받음 1971년 민주수호 경북대구협회 선전부장 1974년 4월 인민혁명당 사건으로 수배령
떨어짐 1979년 11월 남조선민족해방전선준비위원회(남민전) 사건으로 구속 * 2006년 민주화운동 심의위원회는 남민전 관련자들을
'민주화운동 관련자'로 인정하였으나, 선생은 포함되지 않았다. 1981년 11월 22일 서대문 구치소에서 복역 중 운명(인천
백석천주교묘지에 안장) |
|
 |
전재권 선생
- 1928년 3월 20일 경북 상주 출생. 동아일보 기자
* 4.19혁명 이전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투옥,
동아일보 기자 * 4.19혁명 이후 사회당, 민자통 활동에 참여 1975년 4월 9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15년형 받음 1982년 3월 2일 형집행정지로 석방 1986년 5월 7일 복역후유증으로 운명(대구 진인동에 안장) 2008년
1월 23일 33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유진곤 선생
- 1937년 5월 4일 경남 김해 출생. 부산사범 졸업
* 울산 신암초교 재직이후 대산목재를
운영함. 1975년 4월 8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무기형 1982년 12월 13일 형집행정지로
석방 1988년 5월 5일 복역후유증으로 운명(경남 김해시 안장) 2008년 1월 23일 33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조만호 선생
- 1935년 2월 21일 경남 의령군 상정리 출생
* 4.19혁명 이후 민민청 참여 1965년 1월 8일
1차 인혁당 사건에 연류되어 구속수사 받음 1975년 4월 8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징역
20년형 1982년 3월 2일 형집행정지로 석방 1996년 1월 26일 복역후유증으로 운명 2008년 1월 23일 33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정만진 선생
- 1940년 2월 10일 만주 흑룡강성 출생. 대구대(영남대 전신) 졸업
* 4.19혁명 이후 대구대 민통련,
민민청 참여. * 5.16군사반란 이후 '특별법'위반으로 10년형 받음 1964년 9월 5일 1차 인혁당 사건에 연류되어 구속수사
받음 1975년 4월 8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20년형 1982년 3월 2일 형집행정지로 석방 *
출옥후 영남대 민동 회장, 전국대학민동 의장 역임. 1998년 8월 4일 복역후유증으로 운명(경남 창녕군 선산에 안장) 2008년
1월 23일 33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이태환 선생
- 1926년 3월 20일 대구시 북구 출생. 대구공고 토목과 졸업
* 4.19혁명 이전 경주와 대구지역
초등학교 교사 역임. 49년 문학가동맹사건으로 복역 * 4.19혁명 이후 민자통 대경회의 활동 1975년 4월 8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무기형 1982년 12월 25일 형집행정지로 석방 * 출옥후 범민련 남측본부 활동 2001년
3월 8일 복역후유증으로 운명(대구 영경동에 안장) 2008년 1월 23일 33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이재형 선생
- 1939년 1월 22일 경북 상주 출생. 경북대 정치외교학과 졸업
* 4.19혁명 이후 경북대 민통련,
통민청 참여, 1971년 4월 정진회 필화사건 관련 연행, 1975년 4월 8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20년형 1982년 3월 2일 형집행정지로 석방 * 출옥이후 경북대 민주동문회 사월혁명회 참여 2004년 12월 21일
복역후유증으로 운명 2008년 1월 23일 33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
|
 |
나경일 선생
- 1930년 12월 7일 일본 규슈 나가사키 출생.
1960년 제일모직노동조합 결성 주도 1968년
9월 9일 '남조선해방전략당' 사건으로 구속(징역 5년) 1975년 4월 8일 2차 인혁당 사건(인민혁명당재건위원회 사건)으로
무기형 1982년 12월 25일 형집행정지로 석방 * 출옥 후 범민련 남측본부, 평화통일연대 참여 2008년 1월 23일
33년만에 무죄판결 받음 2010년 7월 12일 복역후유증으로 운명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