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home > 노무현광장 > 보기

스테픈 호킹박사의 사후세계

댓글 32 추천 0 리트윗 0 조회 112 2012.09.02 07:14

현존하는 천재물리학자라고 극찬을 받고 있는 이론물리학자 이면서 우주학자인 스테픈 호킹,,, 그가 사후세계는 없다고 하여 파장이 일고 있다고 한다. 어떤 파장이 있었는지는 구체적으로 전해지지 않고 있다. 종교인들이 반발을 할 것이라 예상하고 썼던 기사인지는 모르겠지만..

 

호킹 박사는 루게릭병이라는 희귀질환을 앓고 있는데, 루게릭병은 근육이 위축되어 결국은 손발 등을 사용하기 어렵고, 장기내 근육이 위축되면 몸의 생체기능을 약화되어 오래 살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런 그가 현재 69세로 조만간 칠순을 넘길 것 같다. 현대의학의 대단한 발전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호킹 박사종교관에 대하여 위키피디아의 내용중 일부를 아래 옮겨 보았다.

 

호킹 박사는 첫번째 저술인 시간의 역사(A brief history of Time)에서  "만약, 우리가 완벽한 이론을 발견한다면 그것은 인간이성의 궁극적 승리가 될 것이다. 그때 우리는 신의 마음을 알게 된다." 라고 하여 신을 언급하였다. 창조자로서의 신을 인정하는 것 같기도 하고, 인간이 넘 볼 수도 있는 대상인 것 같은 인상도 주는 것 같다. 또한 같은 책에서  그는 신의 존재는 우주의 기원을 설명하는데 필요없었다고 하였다. 2010년에 발행된 그의 저술 위대한 설계(The Grand Design)와 텔레그라프 인터뷰 등에서 "개인적으로 신을 믿지 않는다"하였다.  호킹박사는 "문제는 우주가 탄생하게 된 방식이 우리가 이해할 수 없는 이유들로 신에 의해 선택되어진 것인지? 아니면 과학의 법칙에 의해서 결정되어진 것인지?이다. 나는 두번째 것을 믿는다."고 하며 "만유인력과 같은 법칙이 존재하기 때문에 우주는 無로 부터 창조될 수 있거나 될 것이다."라고 덧 붙이고 있다.

 

그의 첫번째 부인인 제인은 이혼절차를 진행하는 동안 그가 무신론자였다고 했고, 호킹은 정상적인 판단으로는 그가 종교적이지 않다고 진술하였다. 그리고 그는 "우주는 과학의 법칙에 의해 지배된다.  그 법칙은 신에 의해 정해졌을지도 모르지만, 신은 그 법칙을 깨는데 관여하지 않는다."고 믿는다. 우주의 현상은 과학의 법칙에 따라 설명이 된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우주 만물을 창조한 것은 신이 아니라는 것이다. 왜냐하면 무의 상태에서 유가 창조될 수 있고, 창조될 것이기 때문이다.

 

호킹은 2010년에 종교와 과학을 비교하였다. 그는 "권위(강요된 신조와 신념)에 기초를 둔 종교와 이와 상대적으로 관찰과 이성에 기초한 과학은 근본적인 차이가 있다. 과학은 작동하기 때문에 과학이 이길 것이다"라고 주장하고 있다. 가디언과 인터뷰에서 호킹은 "천국이나 사후세계는 존재하지 않으며, 그러한 말들은 죽음을 두려워 하는 사람들을 위한 동화"라고 언급하면서 천국의 개념을 신화로 간주하였다.

 

사후세계가 어떠할지는 어려서 부터 한번쯤은 생각해 보았을 것이다. 기독교 신자는 천당 또는 지옥으로, 불교 신자는 환생하거나, 나락으로 떨어져 영원히 고통을 받거나, 열반의 세계에 드는 것으로 생각하고 열심히 믿음을 갖고 선량하게 살고 있을 것이다.

 

호킹박사는 죽음 이후는 아무 것도 없는 무의 상태가 된다고 하였다. 인간들은 영혼의 세계를 오래 전부터 믿어왔으며, 그 것을 종교로 발전시켜 왔다. 그리고 현대의 인간들도 사후세계를 믿고 있다. 이런 문제는 시시비비를 가려야 하는 문제는 아닌 것 같다. 왜냐하면 현재에 살고 있는 인간들의 입장에서 사후세계는 다른 차원의 문제이고, 사후세계에 들어가는 것은 죽는다는 것인데, 현세에서 바로 볼 때 그 다음은 없기 때문이다. 

 

내일 죽더라도 오늘 사과나무 한그루를 심겠다고 한 스피노자의 말처럼, 죽음에 대해서 그저 담담하게 받아들이고, 현재에 주어진 시간에 충실하는 것이 더 중요하지 않을까? 

<단지언니생각>

1)위대한 호킹 박사와 단지언니는 엄청난 삶의 차이가 있겠지요

2)그러나 그가 위에서 말하는 사후세계관에는 일치합니다.

3)다만, 그는 실제로 자신(인간)의 능력으로 우주를 관찰하고 그 결과를 세상에 밝히며

4)과학적인 사고로 사유를 하는 실험적(experimental)이고 구체적인 인간형이며

5)단지언니는 위대한 인간들이 연구해 내는 과학적 결과치를 보고 판단하며 작은 삶의 경험에서 얻는 이성적 사유로서 본질적 문제에 접근하려는 방법론의 차이는 있겠지만...

 

 

(아래. 참고)

Look up at the stars and not down at your feet, says scientist,

unable to attend symposium in person due to ill health

 

 

Stephen Hawking, 70, revealed his schoolfriends made a bet that he 'would never come to anything'.
Photograph: David Parry/PA
 

Stephen Hawking, the world's most famous living scientist and a testament to the triumph of willpower over adversity, has celebrated his 70th birthday , revealing he did not learn to read properly until he was eight years old, and that his schoolfriends had made a bet he "would never come to anything".

 

A public symposium in Cambridge was told that, far from being top of the class, he was never more than half-way up. "My classwork was very untidy, and my handwriting was the despair of my teachers," he said. "But my classmates gave me the nickname Einstein, so presumably they saw signs of something better.

"When I was 12, one of my friends bet another friend a bag of sweets that I would never come to anything. I don't know if this bet was ever settled and, if so, which way it was decided."

 

Unable to attend the event in person due to ill health, Hawking sent a pre-prepared speech, which marked the culmination of four days of birthday celebrations organised by his colleagues at Cambridge University. The festivities were attended by the world's leading cosmologists, including Nobel laureates Frank Wilczek and Saul Perlmutter, and celebrities including Richard Branson.

 

Hawking's laidback approach to education continued during his years studying physics at the University of Oxford. "I did one exam before I went up, then had three years at Oxford with just the final exams at the end," he said. "I once calculated that I did about a thousand hours' work in the three years I was there, an average of an hour a day. I'm not proud of this."

In his half-century career as a researcher, H

awking has been at the forefront of the understanding of black holes and quantum cosmology. His fame has also brought his ideas to a vast audience outside academia. His first book, A Brief History of Time, has reportedly sold more than 10m copies worldwide and he has made guest appearances on The Simpsons and Star Trek.

 

In the speech, Hawking spoke of his early life growing up in St Albans and gave the highlights of his scientific career. But his main message was to "be curious" and never give up, however difficult things might seem. "Remember to look up at the stars and not down at your feet," he said. "Try to make sense of what you see and about what makes the universe exist. Be curious. And however difficult life may seem, there is always something you can do, and succeed at. It matters that you don't just give up."

 

Around the age of 21, as he started his PhD in Cambridge, Hawking was diagnosed with motor neurone disease. The first signs that something was wrong came after he fell over while ice-skating on the lake near his childhood home in St Albans. "At first I became depressed. I seemed to be getting worse pretty rapidly. There didn't seem any point in working on my PhD because I didn't know I would live long enough to finish it."

 

After his expectations had been reduced to zero, he said, he was only emboldened when he met his future wife, Jane, at a party. "Getting engaged lifted my spirits and I realised, if we were going to get married, I had to do a job and finish my PhD. I began to work hard and I enjoyed it."

 

Other speakers in the public seminar at Cambridge University included Lord Rees, the astronomer royal, and Perlmutter, who won the Nobel prize in physics last year for the co-discovery of dark energy, the mysterious substance said to drive the expansion of the universe. Professor Kip Thorne, formerly of the California Institute of Technology and a longtime collaborator of Hawking, spoke of a "new golden age" in the study of black holes.

 

Attending the birthday celebrations, Virgin chief executive Richard Branson said it was "wonderful to be celebrating his 70th birthday, which in itself is remarkable. He should have won the Nobel prize many times, he is somebody who has discovered many things in his lifetime and he has managed to do that through extreme disability. Stephen Hawking is very keen to go into space and one of his greatest desires is to find out if there is other life in space. We are hoping that by Christmas time we will have put our spaceship [Virgin Galactic] up into space, and hopefully soon it should be possible to get Stephen Hawking into space."

 

Hawking's finished his talk, to a standing ovation from the audience, by saying that it had been a glorious time to be alive and be a researcher in theoretical physics. "Our picture of the universe has changed a great deal in the past 40 years and I'm happy if I've made a small contribution. The fact that we humans – who are ourselves mere collections of fundamental particles of nature – have been able to come this close to an understanding of the laws governing us and our universe is a great triumph."

 

목록

twitter facebook 소셜 계정을 연동하시면 활성화된 SNS에 글이 동시 등록됩니다.

0/140 등록
소셜댓글
끊은단지 1950lj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