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home > 노무현광장 > 보기

검찰보다 빠른 중앙일보의 공천비리 수사 ‘박근혜, 관계없음?’

댓글 5 추천 4 리트윗 0 조회 77 2012.08.06 14:06

검찰보다 빠른 중앙일보의 공천비리 수사 ‘박근혜, 관계없음?’
[비평] 사설서 “현기환 개인적 문제” 단정… 조선·동아도 ‘박근혜 쉴드’
[0호] 2012년 08월 06일 (월) 정상근 기자 da*@mediatoday.co.kr
새누리당 공천비리 사태에 대한 중앙일보의 입장은 ‘박근혜와 관계없음’으로 요약됐다. 조선일보·중앙일보·동아일보 등은 이번 사태에 대해 늘 “검찰조사가 끝나지 않았다”며 박근혜 전 새누리당 비상대책위원장 책임론과 선을 그어왔는데, 중앙일보는 아예 이 문제에 대한 수사결과를 발표해버렸다.

중앙일보 6일 30면 사설제목은 아예 <초등학교에서도 없을 경선 거부 소동>이다. 중앙일보는 “현재까지 드러난 주장으로 보면 비례대표 공천헌금 의혹은 4.11총선 공천심사위원 중 한 명이었던 현기환 전 의원의 개인적인 문제”라며 “지역구 공천과는 관계가 없다”고 밝혔다. 또한 황우여 대표에 대해 “당시 원내대표이자 비상대책위원으로 공천과 직접적 관련은 없는 위치”라며 “그가 왜 총선 공천비리와 관련해 사퇴해야 하나”고 덧붙였다.

   
▲ 중앙일보 8월 6일자. 30면.
 
중앙일보는 그동안 경선비리 문제와 박근혜 전 위원장을 분리시켜왔고, 이는 조선일보와 동아일보도 마찬가지였다. 따라서 비박진영의 대선 경선 거부사태에 대한 이들의 보도는 공천비리사태에 대한 책임소재가 아닌, 비박계열 대선주자들의 정쟁이 중심이 됐다.

동아일보의 6일 4면 <경직된 박-무책임 비박-무기력 지도부…3일간 경선파행 합작> 기사는 이들의 전략을 잘 드러낸다. 동아일보는 이 기사에서 박근혜 캠프, 비박진영, 당 지도부에 대한 3각 책임론을 부상시켰다.

여기서 박근혜 전 위원장의 책임은 공천비리에 대한 책임이 아닌, 비박진영과의 소통 부족에 대한 책임이다. 박 전 위원장이 공천헌금 문제가 발생한 이후 “검찰에서 한 점 의혹 없이 밝혀야 할 문제”라고 밝힌 대목에 대해 타 언론들은 “무책임하다”고 강하게 질타했지만 이날 동아일보는 “한가한 상황인식”이라는 정도로 비판했다.

   
▲ 동아일보 8월 6일자. 4면.
 
그리고 결국 비박진영이 5일 경선복귀를 선언하자 조선일보와 중앙일보가 사설을 통해 ‘정쟁에서 패배한’ 비박진영을 질타하고 나서기도 했다. 중앙일보는 이날 사설에서 “잘 진행되던 경선을 3인이 더욱 더 이상한 이유로 거부했다”고 비판했다.

조선일보 역시 35면 <박근혜, 경선 거부 파문을 대변화의 계기 삼아야>제하 사설에서 “대선 경선을 중단해야 한다고 주장한 것은 인과관계의 앞뒤를 혼동한 일”이라며 “2주 앞으로 다가온 경선(8월 20일)을 파장으로 몰고 가 새누리당 전체 운명에 치명상을 입히는 것은 차기 또는 차차기의 무대를 구상하는 개인적 정치 설계에도 도움이 될 리 없다”고 비박진영을 비판하기도 했다.

이번 사태가 정쟁으로 부상될 경우 효과를 얻는 쪽은 박근혜 전 위원장이다. 박 전 위원장은 공천비리가 터질 당시 선거 총책임자였으나, 이것이 정쟁으로 치부될 경우 정쟁의 한 주체로 자리매김 된다. ‘똑같은 놈들’이란 비판을 얻을지언정, ‘공천비리 사태의 책임자’라는 치명적인 비판에선 한 발 물러설 수 있다.

   
▲ 조선일보 8월 6일자. 35면.
 
현재 조선·중앙·동아에는 ‘공천비리→책임론 부각→황우여 사퇴 요구→경선거부’로 이어진 비박진영의 대응에서 ‘책임론’을 누락시킴으로서, 공천비리에 상관없는 황우여 대표의 사퇴를 요구하고 무리하게 경선을 거부한 정치인들의 정쟁만 남겨놓았다.

박근혜 전 위원장은 공천비리 사건이 불거지자 “검찰에서 밝혀야 할 사안”이라며 제3자의 태도를 유지했다. 때문에 야권은 선거관리책임자였던 박 전 위원장이 사과 없이 뜬금없는 소리만 한다고 비판했다. 그런데 일부 언론들이 박 전 위원장의 이 같은 ‘타자화’를 뒷받침해주고 있다. 속칭 ‘쉴드’를 치고 있는 것이다.
ⓒ 미디어오늘(http://www.mediatoday.co.kr

출처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4135
목록

twitter facebook 소셜 계정을 연동하시면 활성화된 SNS에 글이 동시 등록됩니다.

0/140 등록
소셜댓글
지역발전 jysung7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