샌델의 '민주주의의 불만'의 동어반복형 지문을 건너 뛰어 핵심만을 간독하고 바로 복지국가소사이어티에서 나온 복지관련 자료를 읽다가 역시 학문은 패쇄적이고 독야청청 독립된 것이 아니라 통섭과 융합이 되어야 비로소 합리적 설득력을 갖게 된다는 교훈을 다시 깨닫는다.
무슨 말을 하려고 이리 서두가 기냐면 이제 복지국가는 우리에게 피할 수 없는 운명적 과제인데 이를 수용하는 국민적 합의가 동의되지 않는다면 아마도 그 수용의 전 단계에서 많은 논쟁과 혼란을 피할 수 없을 것 같다는 상상이 된다. 말하자면 실천 과제에 담길 내용과 수용과제와 증세를 포함한 재원과의 문제, 당면적 목표를 전면적 복지와 선별적 복지 혹은 전략적 복지에 둘 것이냐의 합의 등 난제에 봉착하여 사회적 손실 비용이 만만찮을 것이라는 걱정 말이다.
그래서 공화주의적 덕목을 더 강화하여야 한다는 생각이다. 기실 공화주의는 공동선의 정치를 주장한다. 이 공화주의적 덕목은 그냥 톱 다운 방식으로 주어지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양성되고 길러지는 것이다. 그래서 깨어있는 시민의 자발적, 의지적 참여가 전제되는 것이다. 바로 공화주의적 이론의 핵심은 시민 각자가 공동체의 자치에 직접 참여하는 것에 달려 있다. 즉 시민은 스스로 만들고 창조하고 선택하는 그 이상의 존엄한 존재이며, 시민은 행위자이며, 정치가 개인이나 한 리더가 추구하는 목적을 위해 동원되는 수단이 아니라는 것이다. 우리에게 지금 이 참여민주주의는 동료 시민들과 함께 공익에 관해 숙고하고, 정치적 혹은 삶 공동체의 운명을 함께 만들어 가는 바로 공화주의를 더 강화할 때라는 것이다. 우리는 우리 삶을 스스로 선택할 권리가 있다. 나는 이번 대선에서 공화주의에 동의하고 이 깃발을 드는 자를 지지할 것이다. 그런 측면에서 포스트 노무현 시대인 지금 그 누구도 노무현의 그림자에서 자유롭지 못하다. 비노니 반노니 비욘드 노무현, 오버캄 노무현이니 다 부질없는 입발림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