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3
1
조회 177
2012.07.17 13:21
박근혜의 오른팔(왼팔인가?) 김종인 씨가 노 대통령의 위 발언을 또 인용했습니다. 예전에 너무 억울하고 화가나서 청와대 백서 뒤져가며 찾았던 그 발언의 진실. 서프에 올린 글 다시 게시판에 올려봅니다.
노 대통령 "권력은 시장으로 넘어갔다" 발언의 진실
(서프라이즈 / 솔트 / 2010-04-15)
근래 각종 찌라시에 ‘참여정부가 재벌한테 항복했다.’라는 둥 ‘노무현 대통령이 삼성에 항복했다.’라는 말들이 회자되고 있다. 찌라시들은 그 근거로 노 대통령의 ‘권력이 시장으로 넘어갔다.’ 발언을 제시하고 있다. 특히 경향의 이대근과 한겨레 홍세화는 이는 단순한 발언이 아니라 굳이 선언이었노라 강조한다.
확언컨대, 이 근거는 사실상 자신들이 직접 찾아본 게 아니다. 최근 화제의 신간 김용철 변호사의 ‘삼성을 생각한다’에서 김 변호사는 ‘노 대통령은 사실상 삼성에 항복했다.’라는 식의 글을 쓰면서 그 근거로 “권력은 시장으로 넘어갔다.”발언을 지목했다. 정말 다른 근거는 없었다. 겨우 삼성그룹 부사장 이학수가 노 대통령과 부산상고 동문 간이라는 것 정도나 있을까.
김용철 씨가 쓰니깐 한겨레가 인용하고, 이를 경향이 되받고, 프레시안을 거쳐 다시 조중동이 되돌리고, 그 사이 관련 기사들이 블로그에 퍼 날라지고…. 하여 노 대통령이 마치 삼성에 굴복한 것처럼 된 것이다. 이는 이 나라 검은 악령들이 출몰하는 방식이기도 하다.
돌이켜 보니, 우리 대장이 멀리 떠난 후 신문을 피한 것만이 아니다. 앞서 언제부터인가 헛구역질 때문에 신문을 똑바로 쳐다볼 수가 없었다. 때문에 이 문제의 발언은 분명 기억났지만 언제 어떤 맥락에서 나왔는지 도통 알 수 없었다.
검색해보니. 관련 키워드 ‘삼성’ ‘재벌’ ‘선언’ 등으로 뜬다. 모두 찌라시들의 삼류 소설이었다. 단 한 언론사도, 단 한 블로거도 이 발언에 대해 제대로 밝힌 게 없었다. 결국, 참여정부 청와대 백서를 뒤져서야 이 발언이 실린 원문을 찾을 수 있었다. 당시 노 대통령 발언 원문이다.
중소기업과 함께 가는 대책도 시장에서 이루어져야… 권력은 시장으로 넘어간 것 같습니다. 우리 사회를 움직이는 힘의 원천이 시장에서 비롯되고 있습니다. 시장에서의 여러 가지 경쟁과 협상에 의해 결정되는 것 같습니다. 정부는 시장을 공정하게 잘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동안 (정부가) 중소기업 정책을 하면서 나름대로 기여한바 있겠지만 지금 정책 현실이 정부 정책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것 같다는 판단을 합니다. 시장에서 기업 간에 여러 가지 협력이 잘 이뤄져야 비로소 상생협력이 가능하다고 판단을 합니다. 나가보니 우리나라 대기업들은 세계 수준으로 비즈니스를 하고 있어 참 다행스럽고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그런 대기업이 있어 국민들은 미래에 대한 믿음을 갖고 대통령은 큰소리도 갖고 돌아오면 생색을 내고 좋습니다. 매우 고맙게 생각합니다. 한편, 욕심에는 대기업 제조업만 세계 인류가 아니라 중소기업도 세계적인 경쟁을 갖춰서…… 하여 상생협력이 서로 간의 시스템적으로 자리 잡기 위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