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0
0
조회 106
2012.03.27 23:35
【서울=뉴시스】박성완 기자 = 민주통합당과 통합진보당이 연일 새누리당 박근혜 중앙선거대책위원장에 대해 총공세를 펼치고 있다.
야권 단일화 후보를 내는 과정에서 진통을 겪었던 양당이 본격적인 선거레이스에 돌입하면서 박 위원장을 겨냥해 '헤쳐모여' 하는 양상이다.
특히 야권연대는 박 위원장과 이명박 정권의 '공동책임론'을 부각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다. 양 당 논평에서 'MB·새누리 심판'이라는 단어가 지속적으로 등장하고, 공식석상에서 "이명박근혜"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같은 맥락에서다.
일례로 민주당 상임선거대책위원장인 한명숙 대표는 지난 26일 직접적으로 "'민생파탄'은 MB정부와 박 위원장의 합작"이라며 공동책임을 언급했고, 나아가 "박 위원장은 MB의 아바타, 대리인"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박 위원장과 현 정권의 동질성을 강조하는 공동책임론은 새누리당의 공천과 맞물리면서 더욱 날카롭게 연마되는 모양새다.
앞서 민주당 선거대책본부장인 박선숙 사무총장은 "(새누리당 후보들은) 부자감세, 종부세, 출자총액제한제에 반대하는 친재벌 부자후보와 18대 국회 몸싸움에 앞장섰던 이 대통령의 돌격대, 거수기 국회의원이 대부분"이라고 날을 세웠다.
박용진 대변인도 27일 "새누리당 비례대표 1번을 배정받은 민병주 후보가 고리원전 1호기 수명 연장을 결정했던 2007년 원자력안전전문위원회의 안전성 심사에 참여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공세를 이어갔다. 고리원전 1호기는 최근 지난 2월 전력공급이 끊기는 사고가 발생해 논란이 된 곳이다.
그는 이날 오후 국회 정론관에서 현안 브리핑을 갖고 "이명박 정권과 박근혜 위원장은 핵 안전 문제와 관련해서 다른 면모를 전혀 기대할 수 없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또 '반값 등록금에 대한 입장을 분명히 밝히라'며 박 위원장을 압박하는 모습이다.
이날 한 대표는 지난 26일 19대 국회에서 반값 등록금 문제를 최우선적으로 처리하자는 공개 제안서에 박 위원장이 별다른 반응을 보이지 않자 재차 입장 표명을 요구했다.
이용섭 정책위의장도 "등록금 1000만원 시대에 고통받는 국민들이 집권당인 새누리당의 비상대책위원장이면서 유력 대선 후보인 박 위원장에게 반값등록금 입장을 밝히도록 요구하는 것은 국민의 권리이고, 이를 밝히는 것은 정치인 지도자의 의무"라고 강조했다.
한편 통합진보당 유시민 공동대표는 같은 날 평화방송 '열린세상 오늘 이상도입니다'에 출연, "박 위원장이 4대강 사업 예산안, 부자감세 등 하나라도 반대한 게 있느냐"며 "공동책임론은 당연하다"며 여당을 압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