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home > 노무현광장 > 보기

대청도 동백

댓글 5 추천 0 리트윗 0 조회 150 2012.06.14 06:05

소재지 인천광역시 옹진군 *** *** ****
종류/분류 식물 

 

대청도의동백나무자생북한지 [大靑島─冬柏─自生北限地] <--more

 

**

이맘때 대청부채가 예쁜 꽃망울을 터뜨리는 대청도는 인천광역시 옹진군에 속하는 서해 5도 가운데 한 섬이다. 위도상으로 서울보다 북쪽인 파주와 비슷하지만 난류의 영향으로 기온이 따뜻해 난대식물인 동백나무가 이곳까지 올라와 자라고 있다. 대청리의 동백나무자생지는 이 식물 분포의 북방한계선이라는 이유로 천연기념물 66호로 지정되어 있다. 그밖에도 보리밥나무, 보춘화, 실거리나무, 장딸기, 큰천남성, 후박나무 같은 난대성 식물들이 생육하고 있다.

이맘때 대청도에서 피는 풀꽃 가운데 금방망이도 특별하다. 한반도 고산지역에 드물게 자라는 이 식물이 대청도, 백령도 및 중부지방의 서해안 섬에도 분포하는 것은 다른 식물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일로서 학술적으로 매우 흥미로운 현상이다. 한라산이나 덕유산 등 높은 산에서는 드물게 발견되지만 대청도를 비롯한 서해안 섬에서는 비교적 흔한 점도 수수께끼 같다.7월부터 꽃을 피우기 시작하는 한라산의 금방망이는 막물 꽃이라 해도 9월 초순까지가 볼 수 있는 게 한계지만 대청도에서는 9월 중순에 꽃이 한창이다. 대청도의 희귀식물로서 빼놓을 수 없는 것이 정향풀이다. 전라남도 해안가 등 몇몇 곳에서 자생지가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좀처럼 보기 어렵다. 아름다운 남자색 꽃이 5월에 핀다.

대청도에서 처음 발견되어 우리말이름에 ‘대청’이 붙은 식물 가운데 대청가시풀이 있다. 미국 원산으로 우리나라에 귀화한 외래식물인데, 서해를 오가는 배들을 통해 들어온 것으로 여겨진다. 옥죽동 해안의 모래언덕에 많은 개체가 자라고 있다. 열매에 굳세고 날카로운 가시가 많아서 옷이나 신에 붙으면 떼기가 무척 어렵다.

 

목록

twitter facebook 소셜 계정을 연동하시면 활성화된 SNS에 글이 동시 등록됩니다.

0/140 등록
소셜댓글
끊은단지 1950lj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