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기사를 보면 주민번호 오류에 의한 이중 채택에 대해 이의제기는 커녕 외려 주변과 상의해서 되나 안되나 투표를 하고 나중에 의의제기?
.................................유구무언
http://www.naeil.com/News/politics/ViewNews.asp?nnum=665935&sid=E&tid=9
민주당 대표경선 ‘이중투표’ 물의
김 모씨, 권리당원·정책대의원으로 두번 투표 … 선거인명부 11일 파기
지난 9일 치러진
민주통합당 당대표 경선과정에서 투표를 두번 했다는 주장이 나와 파문이 예상된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20대 여성 김 모씨는 지난해 민주당에 입당한
'권리당원'으로 지난 1일 오전 11쯤 모바일투표를 마쳤다. 김씨는 하지만 지난 9일 친노성향 시민단체인 '국민의 명령' 정책대의원 자격으로
일산킨텍스 전당대회 현장에서도 투표를 했다.
김씨는 내일신문 취재과정에서 "1일날 11시쯤 모바일로 투표를 마쳤는데 4일날
'국민의 명령'에서 정책대의원으로 배정됐으니 일산에서 투표하라는 문자가 왔다"며 "투표를 이미 했기 때문에 안될 줄 알았는데
주변사람과 상의해 9일 현장에서 아무런 문제없이 투표를 했다"고 말했다.

김씨는
"친노성향의 단체에서 일을 하고 있는데 단체에서 (명단을)마음대로 올린 것 같다"며 "투표전에 (단체의 책임자가) '위에서 이해찬 후보를
찍으라는 오더가 내려왔으니 그렇게 하라'는 말도 했다"고 했다.
김씨는 '두 번 투표한 것이 확실하냐'는 거듭된 질문에
"모바일투표는 통화기록을 확인하면 되고, 현장에서 투표한 것은 사진을 찍어놓은 것도 아니고 민주당에 확인하면 될 일 아니냐"고 말했다.
김씨의 주장대로라면 이번 민주당 대표경선에서 한 사람이 두번 투표한 '이중투표'가 가능했다는 점에서 심각한 파장을 불러올
전망이다. 실제로 정 모씨는 지난 9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모바일투표를 했는데 대의원 투표했다. 나도 두 표 찍었다"는 내용의 글을 올렸다가
삭제한 사실도 있어 '이중투표'가 상당수 가능했던 것 아니냐는 의혹을 사고 있다.
이에 대해 민주당 박용진 대변인은 "만약
사실이라면 단순 실무착오이거나 해당 권리당원이 국민의 명령에 본인의 이름으로 가입하지 않았을 것"이라며 "이미 수천명이 정책대의원으로 신청했다가
명부대조를 거쳐 거부당했다"고 밝혔다.
하지만 김씨는 "모두 내 이름으로 등록했다"고 말했다.
모바일투표가 여러차례
가능했다는 의혹도 나왔다. 앞서 김씨는 "친구가 모바일투표를 마쳤는데 두 세 차례 전화가 더 왔다고 하더라"며 "그 친구는 잘못된 것으로 알고
투표를 (추가로) 안했지만 여러 번 투표가 가능했다는 것 아니냐"라고 했다.
통합진보당 당원의 투표참여 정황도 곳곳에서 드러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닉네임 '한국호랑이'라는 통진당 당원은 10일 통진당 당원게시판에 "오늘 기분 참 좋다. 민주당 국민참여선거인단에 신청해
이해찬 후보에게 한 표를 행사했기 때문"이라고 했다.
한편 민주당 박 대변인은 "선거인명부를 어제부로 파기했다"고 밝혀 또 다른
논란이 예상된다.
백만호 기자 ho******@naeil.com
Copyright ⓒThe Naeil New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