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
2
0
조회 239
2012.05.26 13:31
일제시대 강제 징용 피해자들에 대한 사회적 책임
차원에서
1965년 한일협정을 통해 일본 차관의 수혜를 본 포스코나 한전 등,
일부 기업들이 사회공헌금을 '일제 강제동원피해자 지원재단'에
출연하기로 결정했다는 것을 듣고 참으로 어이가 없다.
얼핏 들으면 다행이다 라는 생각이 들지만 이건 참으로
문제의 본질을
훼손하고 사안의 본말을 전도하려는 친일 기득권 세력들의
모의일 수 있다는 생각이다.
일제 강제 징용 배상 문제는 보상금이 문제가 아니라
보상금을 내는 주체가 그들을 강제로 끌고 가서 무임으로
착취한
일본 제국주의와 그들과 유착한 일본 기업들에게 책임이
있다는 역사적 사실을 바로 잡아야 한다는 점이다.
일본 정부가 우리 대법원의 판결에 때 맞춰
한일협정으로 끝난 문제고, 당시 미쓰비시와
지금의 미쓰비시는 다르다고 오리발 내미는
일본 재계들의 반응에 맞춰,
이명박 정부와 동반 숙고한 자들의 엉뚱한 발상으로
우리 민족의 자존심을 돈으로 대신 덮어 보려는 공작일지
모른다는 우려를 하는 것이다.
우리 정부가 할 일은 일본보다 더 앞서 일제 피해를
본 국민들을
대신 보상해 주는 것이 아니라, 국민과 함께 반성할 줄 모르는
일본에 대해 지속적으로 팀워크를 발휘하는 용기와
사명감이다.
숭례문 탔다고 국민 성금 모아 복원하자고 하던 그가
이제는 일제 징용 문제를 다시 성금으로 모아 해결한
대통령이 되려는 술수에 경악을 금치 못한다.
너무나 뼈 속까지 일본을 사랑하는 이명박과
한일협정으로 돈 받아 포스코를 세워 경제성장 했다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피해는 생각해 보았는지 묻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