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home > 노무현광장 > 보기

민주당 등진 건 '중도층' 아니라 차별성 못느낀 3,40대 '부동층'

댓글 7 추천 6 리트윗 0 조회 1,491 2012.04.20 10:15

민주당 등진 건 '중도층' 아니라 차별성 못느낀 3,40대 '부동층'

세 확대 나선 당내 보수파…중도론 주문한 '조선' , 철가방 든 김진표

문형구 기자 mu*******@daum.net

입력 2012-04-19 13:15:17 l 수정 2012-04-19 18:10:33

새누리당의 총선 승리 여파로, 민주통합당 내에서 이른바 '중도층 강화' 논란이 빚어지고 있다. 민주당의 '좌클릭'으로 인해 중도층을 잡지 못한 것이 선거 패배 원인이라는 것이다. 만약 민주통합당과 새누리당을 진보-보수의 대립으로 놓고 총선 결과를 진단한다면, 중도층을 끌어안는 것이 당연한 귀결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지극히 단순한 판단이다.

민주당 내에서 시작되고 보수언론들이 부풀려 보도하고 있는 내용을 보자면, 일단 '중도층'이라는 표현부터가 잘못됐다. 이들이 '중도층'이라며 가리키고 있는 것은 실제로는 '부동층'이다. 다시말해 특정 정당에 대한 귀속감이 낮고, 선거 당시의 판단에 따라 투표에 불참하거나 지지를 달리하는 유권자층이다.

물론 부동층을 구성하는 유권자들이 스스로를 '중도'라고 표현하는 경향이 있는 게 사실이며, 학계에서는 이를 '주관적 중도'라고 부르고 있다. 그러나 '주관적 중도' 즉 부동층은 정치적 성향에 기반한 이념적 '중도층'과는 완전히 다른 개념이다. 부동층의 성향은 진보적일 수도 있고, 보수적일 수도 있으며 실제 선거에서도 자신의 성향에 따른 투표를 한다.

쉽게 말해 이념적 '중도층'은 "보수도 일리가 있고, 진보도 일리가 있으며 그 절충점을 찾는 게 필요하다"고 보는 반면, '부동층'은 "여나 야나 똑같다"고 보는 층이라고 할 수 있다. 즉 부동층은 이념적으로 중도가 아니라, 정치에 대해 불신을 갖거나 여야의 차이에 대해 인정하지 않는 성향이라는 것이다.

언뜻 보기에 비슷해 보이는 '부동층'과 '중도층'의 개념이 중요한 이유는, 어떤 개념으로 판단하느냐에 따라 처방이 180도 달라지기 때문이다.

민주당 원내지도부의 착시 혹은 왜곡…'부동층'과 이념적 '중도층'은 판이

현재 벌어지는 중도층 논란은 민주당 내 개혁과 보수 세력간의 '줄다리기'를 보여주는 것이다.

현재 벌어지는 중도층 논란은 민주당 내 개혁과 보수 세력간의 '줄다리기'를 보여주는 것이다.


상대적으로 지지정당의 변동율이 높고 투표 참여율이 낮지만, 결과적으로 선거결과를 가르는 것이 이 부동층이다. 여기서 주목해야 하는 지점은 부동층이 형성되는 이유다. 경험적 연구들은 이들 부동층이 투표 자체의 효과와 기존 정당들 간의 차별성에 더 회의적임을 보여준다. 강원택 교수는 이들 '주관적 중도'를 형성하는 유권자 층이 "기존 정치권이나 정치 현실에 대해 매우 냉소적이고 커다란 불신을 갖는 이들"이라고 설명한다.

때문에 4.11 총선 결과와 관련해 이념적 '중도'로의 수렴이 필요하다는 민주당 일각의 주장은 총선에서 드러난 표심에 대한 완전한 착시이거나 의도적 왜곡이다.

부동층이 '진보-중도-보수'의 프리즘에서 중간에 위치한다는 것은 전적으로 착각이다. 이명박 정권 출범 이후의 선거들에서 부동층의 다수가 민주당 지지층으로 흡수돼 왔고, 이들 부동층의 세대 구성 역시 야권 지지성향이 높은 2040세대다.

2010년 지방선거 이후의 여론조사들을 종합해보면 2040세대의 한나라당 지지율은 20% 내외에 불과하다. 반면 전체 유권자 중 2040세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60%(20대 17.9%, 30대 21.4%, 40대 22.4%)를 웃돌아 이들 2040세대의 향방은 곧 선거 결과를 가름하게 된다. 박근혜 비대위원장이나 새누리당이 '2040세대'의 마음을 잡지 못해 전전긍긍 해 온 것엔 이런 이유가 있다.

6.2지방선거와 4.11총선의 결정적 차이

2010년 6.2 지방선거와 이번 총선에서 '야권연대'의 승패는 갈렸다. 언뜻 유사한 분위기에서 치러진 두 선거의 결과가 달라진 이유는 무엇일까?

2008년 총선은 부동층 비율이 역대 최고였고 투표율은 최저였다. 먼저 부동층 비율을 비교해보자. 2008년 총선 열흘전 실시된 갤럽조사에서 부동층은 41.2%였다. 이와 비슷한 시점에서 6.2 지방선거의 부동층은 20% 안팎(서울·경기 10% 중반, 지방 20%대 중후반)으로 크게 줄었는데, 다시 이번 총선에선 부동층이 20%대 후반으로 상승했다. 곧 부동층 규모는 '2010년 지방선거 <4.11 총선 < 2008년 총선' 순이다.

두번째 연령별 투표율을 보면 2008년 총선에선 20대 28.1%, 30대 35.5%, 40대 47.9%였다. 이에 비해 2010년 6.2지방선거에선 20대의 투표율이 무려 12.9%p가 상승했고, 30대는 10.3%p, 40대는 7.1%p가 각각 상승했다. 곧 2008년에 투표장에 나타나지 않은 부동층은 '2040'세대였다.

반면 이번 총선에서는 20대 투표율이 소폭 상승했으나 30대와 40대 투표율이 더 큰 폭으로 줄어들었다. 즉 지방선거에선 20대가 40.2%, 30대 43.3%, 40대 55.0%이었던 것이 19대 총선(방송 3사 출구조사)에선 20대가 45.0%, 30대 41.8%, 40대 50.3%로 나타난다. 곧 지방선거 당시 투표에 참여했던 많은 2040 유권자층이 이번 선거에서 부동층으로 이동한 후 투표 불참에 이른 것이다.

요컨대 지방선거 당시 야당을 지지했던 부동층, 특히 30-40대 유권자의 많은 수가 등을 돌린 것이 패배의 원인이다.

중도 노선이 불러올 결과는 새누리당의 승리

지방선거 당시 야권을 지지했던, 그러나 이번 총선에선 여야의 차별성을 느끼지 못한 30-40대의 많은 유권자층이 야권에 등을 돌렸다.

지방선거 당시 야권을 지지했던, 그러나 이번 총선에선 여야의 차별성을 느끼지 못한 30-40대의 많은 유권자층이 야권에 등을 돌렸다.


이들 유권자들이 야권연대에서 등을 돌리게 된 이유는 복합적일 것이다. 민주당의 공천 과정에서부터 표면화된 연이은 잡음들. 그리고 새누리당과 보수언론에 대한 미흡한 대처 등 총괄적 전략 부재 등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유권자들 입장에서 보면 여야간의 정쟁은 6.2 지방선거나 총선이나 크게 다를 게 없다.

모두가 기억하듯이 2010년 초반에 시작돼 6.2 지방선거를 그대로 관통한 것은 무상급식 논란이었다. 즉 6.2 지방선거는 반MB 야권연대 뿐만 아니라 무상급식을 둘러싼 여야의 대치전선 속에서 치러졌다.

반면 이번 총선에선 반MB 야권연대가 야당들이 내 건 선거전략의 전부였다. 새누리당은 지방선거에서 얻은 교훈에 따라 야권의 성공했다.복지 정책들과 서민적 의제들을 (정치적 수사 차원일지라도)대부분 받아들이면서 여야의 차별성을 희석시키는 데  성공했다.

이런 반론이 있을 수 있다. 곧 야권이 수도권에서 승리를 해도, 영남 지역주의와 강원·충청권의 보수층이 결국 51%의 형성해 구조적 한계를 갖는다는 것. 때문에 '우클릭' 이외엔 방법이 없다는 주장이다.

그러나 이 역시 착시효과에 불과하다. 6.2지방선거에서도 지역주의와 보수층의 벽은 두터웠지만, 결국 2040세대를 투표장으로 불러냄으로써 영남권에서 역시 세대구도가 지역구도를 압도한 바 있다.

새누리당의 승리는 지방선거 당시 야권을 지지했던, 그러나 이번 총선에선 여야의 차별성을 느끼지 못한 30-40대의 많은 유권자층이 야권에 등을 돌린 데 따른 것이다. 따라서 '중도'로의 수렴은 오히려 이들 유권자들을 투표장에서 멀어지게 할 뿐이다. 이들 유권자들에게는, 그리고 국민들에게는 한국의 정치에서 '그대로'인 것 만큼 나쁜 상황은 없을 것이다. 수도권에서의 야권연대의 승리, 영남 지역구도의 한계 등 많은 '변명'들에도 불구하고 이번 총선이 새누리당의 완벽한 승리인 이유다.

 

민주당에 '중도론' 배달시킨 조선일보


민주당 내 중도 논란의 시초는 <조선일보>다. 2010년 6.2 지방선거를 전후해 민주노동당에 대한 비상한 관심을 보이기 시작한 조선일보는, 이후 야권연대를 비난하는 사설과 기사들을 쏟아내기 시작했다.

4.27 재보선 직후인 지난해 5월 조선일보는 '민노당 숙주(宿主)된 민주당'이라는 논설위원 칼럼에서 "민주당이 야권연대의 위력을 실감하며 적극적으로 나오자, 민노당은 야권연대에 따른 청구서를 슬슬 내밀기 시작했다"며 한미FTA에 반대한 두 당의 '정책연합 합의문'을 비난했다.

민주당이 통합진보당에 끌려다닌다며 "마술사" "주문(呪文)" "국공합작" 등의 표현으로 흠집내기를 시도해 온 조선일보는, 올해 2월 20일 사설에선 김진표 원내대표를 직접 '중도층'을 대표하는 인사로 호명하고는 내부 노선 투쟁을 부추겼다. 즉 김진표 의원의 공천배제론과 관련해 "민주당이 이번 선거는 중도층 표를 굳이 잡지 않아도 이길 자신이 있다는 계산이 섰거나, 그게 아니라면 의석 몇 개는 포기하더라도 정체성 맞는 사람끼리 뭉쳐서 화끈한 정치 한번 해보자는 공감대가 형성"된 거 아니냐는 거였다.

실제 김진표 원내대표가 최근 중도론을 들고 나오면서, 조선일보는 그 날카로운 눈을 다시 한번 증명하게 됐다. 현재 민주당 내 중도론의 좌장이 김진표 의원이다. 지난 16일 열린 최고위 회의에서 김진표 원내대표는 "당의 외연을 넓히기 위해 중도개혁세력까지 아우르기 위한 적극적인 목소리를 냈는가 스스로 반성하고 있다" "개혁의 균형추 역할을 하겠다"고 말했고, 이용섭 정책위의장은 18일 언론 인터뷰에서 "민주당은 중도개혁을 지향하는 정당이고 중산층이 지지계층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면 된다"며 통합진보당과 거리를 둬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현재 벌어지는 중도층 논란은 민주당 내 개혁과 보수 세력간의 '줄다리기'를 보여주는 것이다. 민주당 내에서 중도론자들이 마이크를 잡은 것은 야권이 과반수 의석을 확보하지 못한 데 따른 것이지만, 이미 민주당 내 보수성향의 반작용은 지난 2월 한미FTA '폐기' 논란에서 존재를 드러난 바 있다. 당시 "여당일 때와 말이 다르다"는 새누리당의 공세에 대해, 김 원내대표는 "참여정부의 한미FTA와 MB정부의 한미FTA는 다르다"라는 '좋은 FTA'론으로 논란을 봉합하는 정치적 수완을 발휘한 바 있다. 이 '좋은 FTA'론은 야권연대의 한미FTA 재협상 요구 서한을 일종의 '실언'으로 전락시켜 버렸다.



 

문형구 기자 mu*******@daum.net
Copyrights ⓒ 민중의소리 & vop.co.kr

출처 :http://www.vop.co.kr/A00000494695.html

목록

twitter facebook 소셜 계정을 연동하시면 활성화된 SNS에 글이 동시 등록됩니다.

0/140 등록
소셜댓글
지역발전 jysung70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