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
2
0
조회 104
2012.04.15 11:04
언제부터인가 전 세계적으로 지식인의 종말이 회자되고 있다.
첫째, 가깝게는 인터넷을 기반으로 한 정보산업의 눈부신 발달이 지식인의 끝을 재촉하는 듯이 보인다. 즉 모든 사람이 다양한 지식과 정보를 과거와는 비교할 수 없을 정도로 손쉽게 획득하는 시대가 온 것이다. 적어도 뭔가 "지식"이라는 것이 있어야 지식인이라고 불릴 수 있다고 한다면, 지식인이 되기 위해 요구되는 지식은 이처럼 과거와 같이 학자들만의 전유물이 아닌, 일상적인 앎의 대상이 되었으며, 또 부단히 되어가고 있다. 네이버, 다음, 야후, 구글 등의 인터넷 포털 사이트가 모든 지식과 정보를 실시간으로 전달해주는 마당에 지식은 결코 더 이상 지식인을 정의해주는 것이 될 수 없는 것이다.
둘째, 우리나라를 예로 들면, 1990년대 이후로 대학에 꾸준히 강요되어왔고, 또 대학에서 실제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문 자체가 더 이상 지식 학문이 아닌 정보 학문이 되어버린 현상 또한 지식인의 존재를 무의미하게 만든다. 즉 오로지 자본에만 봉사하고 자본에만 복종하는 정보 전문가가 사회적으로 요구되고 양산됨에 따라서 지식인이 점차 소멸하게 된 것이다.
셋째, 진정한 의미의 지식인의 전통이 종말을 고한 것처럼 보이는 현상 또한 우리로 하여금 지식인의 최후를 이야기하게 만든다. 예를 들어 프랑스 리옹대학의 교수 레지 드브레는 그의 책 『지식인의 종말』에서 오늘날 지식인이 앓고 있는 중병 5가지를 다음과 같이 정리하면서 그들의 허위, 위선, 직무 유기, 무력함을 통렬히 비판한다.
1. 자신들만의 틀에 갇혀 대중과 단절된 "집단 자폐증"
2. 연구도 안 하며 현실을 제대로 인식하지도 못하는 "현실감 상실증"
3. 여전히 사회의 도덕을 선도한다고 믿는 "도덕적 자아도취증"
4. 들어맞지도 않는 예측을 쏟아놓는 "만성적 예측 불능증"
5. 자신의 이름이 잊혀질까 두려워 매스미디어의 장단에 맞추어 설익은 견해를 유창한 언변으로 늘어놓는 "순간적 임기응변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