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원의 2007년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공개에 대해 미국 언론들이 국정원을 ‘기밀 누설자(Leaker)’라는 부정적 용어로 비판함과 아울러 대화록 내용과 관련해선 고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은 없었다고 보도했다.
뉴욕타임스(NYT)는 26일 “진보적인 국회의원들이 한국 대선의 적법성에 대해 이의를 제기하다”라는 기사로 정상회담 대화록에 대해 “‘폭탄선언’(bombshell)이라고 할 만한 내용이 없었다”면서 노 전 대통령이 NLL 포기 발언을 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했다. 그러면서 대화록을 통해 노 전 대통령의 진보적인 이미지를 재확인시켰다고 평가했다.
NYT는 대화록 공개에 대해 일부에서는 한국이 앞으로 나아가는데 장애가 될 것으로 주장했지만, 여당 의원들이 오랫동안 요구해 온 ‘논란이 많은 조치’(controversial move)였다고 소개했다. 또 신문은 노 전 대통령이 북한과 화해를 추구했다며 국내 보수주의자와 미국의 한반도 정책을 공격하면서 젊은 자유주의자를 흥분시켰고 나이 든 보수주의자에게 적대감을 불러일으켰던 진보적인 인물로 묘사했다.
NYT는 박근혜 대통령이 대화록 공개 직후 “우리의 NLL 북방한계선도 수많은 젊은이들이 피로 지키고, 죽음으로 지킨 곳이라는 것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말한 것을 소개하면서 박 대통령이 반대파인 자유주의자들에 대한 캠페인을 펼칠 때 거론하는 주제라고 전했다.
월스트리트저널(WSJ)은 이날 대화록을 공개한 국가정보원을 ‘누설자’(Leaker)로 표현하며 “한국에서는 정보기관인 국정원이 기밀문서로 분류된 대화록을 공개해 정치적 대립의 방아쇠를 당겼다”고 보도했다.
WSJ는 한국의 국정원을 미국 정보기관의 기밀감시프로그램을 폭로한 에드워드 스노든 전 미국 중앙정보국(CIA) 직원과 비교해 “스노든이 누구보다 더 잘 알겠지만, 정보기관은 일반적으로 비밀을 폭로하기보다는 잘 지키는 것이 일”이라며 비판적으로 보도했다.
노 전 대통령의 NLL 발언과 관련해선 “131분 대화에서 노 전 대통령은 한국이 NLL을 포기할 것임을 시사하는 명확한 말을 하지 않았다”며 “노 전 대통령은 심지어 NLL 수정 논의가 얼마나 사회적으로 논란이 될 것인지 언급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공동어로구역이나 평화 수역으로 설정하자는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과 인식을 같이한다고 말했지만, NLL을 포기하겠다는 뜻을 분명히 밝히지 않았다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