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
0
조회 69
2012.04.08 13:19
시대의 아픔 장준하를 말하다
진행 : 방송인 박경호.
초대손님: 장호권(고 장준하 선생의 장남)
시간: 4월8일 오후2시
장소: 여의도 라디오21 공개홀
라디오21에서는 장준하 선생의 장남인 장호권씨를 모시고
장준하 선생의 행적을 되돌아보고 고인의 업적을 기리며
그 정신을 계승하는 시간을 가지려고 합니다.
많은 관심과 격려 부탁드립니다.
:
장준하 선생 연보
1918년 8월 27일 평북 의주에서 목사인 아버지 장석인(張錫仁),
어머니 김경문(金京文)여사 사이의 4남 1녀 가운데 맏아들로 태어나다.
1932년 삭주 대관국교를 졸업, 평양 숭실학교에 입학하다.
1933년 4월 신천 신성중학교에 전학, 1937년 3월 졸업하다.
1937년 4월 정주신안소학교 교사로 3년 봉직하다.
1940년 4월 동경 일본 신학교에 입학하다.
1943년 11월 김준덕(金俊德) 씨와 노선삼(盧仙三) 여사 사이의 맏딸 김희숙(金熙淑) 여사와 결혼하다.
1944년 1월 일본군 학도병에 입대, 중국으로 끌려가다. 7월 탈출, 중국군에 가담하다.
1945년 1월 중국 중경에서 광복군에 편입, 광복군 대위에 임관되고,
<등불>, <제단>지를 간행하며 광복투쟁에 헌신하다.
1945년 11월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한 분으로 입국,
김구 주석 비서, 비상국민회의 서기 및 민주의원 비서 등을 역임하다.
1947년 12월 조선민족청년단에 참가, 중앙훈련소 교무처장을 역임하다.
1949년 1월 도서출판 ‘한길사’를 설립하다. 2월 한국신학대학에 편입, 6월에 졸업하다.
1952년 3월 대한민국 정부 서기관에 임관,
국민사상연구원 기획ㆍ서무과장, 사무국장 등을 역임하다.
1952년 9월 월간 <사상>을 창간하다.
1953년 4월 사상계사를 설립, 월간 <사상계>지를 발행하여
16년간 자유ㆍ민주ㆍ반독재 투쟁에 헌신하다.
1960년 5월 유네스코 한국위원회 중앙집행위원에 피임, 홍보분과위원장을 역임하다.
1962년 8월 1962년도 필리핀 막사이사이상 언론 문학부문 상을 수상,
그 상금으로 독립문화상을 창설하다.
1964년 언론자유수호투쟁위원회에 참가, 언론윤리법 반대투쟁에 나서다.
1965년 조국수호협의회에 참가, 한ㆍ일 조약 반대투쟁에 가담하다.
1966년 9월 삼성의 한국비료 사카린 밀수를 규탄하는 연설중에
“박정희야말로 밀수 왕초”라는 발언으로 1개월간 투옥되다.
1967년 3월 4자회담을 주선, 야당통합을 추진하여 신민당에 입당하다.
1967년 6월 옥중 출마로 서울 동대문을구 국회의원에 당선되다.
1970년 2월 새로운 민족세력의 규합을 위하여 신당운동을 추진하다.
1971년 출판사 ‘사상사’를 설립, 저서 <돌베개>를 출판하다. 민족학교 운동에 참여하다.
1972년 민주수호국민협의회에 참가하다.
1973년 2월 민주통일당 창당에 참여, 최고위원에 피임되다.
1973년 12월 민주회복을 위한 개헌청원 백만인 서명운동을 주도하다.
1974년 1월 긴급조치 1호 위반으로 구속되다.
1975년 4월 개헌ㆍ민주운동 노선단일화 촉구를 위하여 민주통일당을 탈당하다.
1975년 8월 17일 경기도 포천군 *** ** 3리 약사봉에서 의문투성이의 사고로 서거하다.
1975년 8월 21일 경기도 파주군 **면 *** 천주교 묘지에 안장되다.
1991년 8월 15일 건국훈장 ‘애국장’을 수여받다.
1993년 4월 15일 제1회 ‘한신상’을 수상하다. (미망인 김희숙 여사가 수상함)
깨어있는 시민들의 언론 NewsFace http://www.newsface.kr
역사를 생중계하는 방송 http://www.radio21.tv
트위터 @radio21tv / 페이스북 라디오 (Radio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