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래 글의 한국어 원문은 이 포스트 하단에서 읽으실 수 있습니다. 많은 해외 거주 동포여러분의 서명을 바랍니다. (재미 동포가 아니시라도 해외 거주 동포시면 누구나 서명하실 수 있습니다. 그리고 한국에서 투표권이 없으신 시민권자분들도 참여하실 수 있습니다.) 서명을 하실 때에는 본문 밑의 코멘트 박스에 이름과 현재 거주 주소(도시와 주 혹은 국가)를 써주시고 원하시면 간략한 메시지를 남겨 주시면 됩니다. 여러분의 서명은 moderation을 거쳐서 포스트됩니다. 고맙습니다.>
As sovereignty rests with the people in a democratic society, Koreans have the right and the duty to participate in a free and fair election and to monitor the process. Yet, we have an overwhelming number of questions about the fairness and accuracy of the vote counting in the 18th presidential election. Nevertheless, the Republic of Korea National Election Commission (henceforth, NEC), which is supposed to speak for and protect Koreans' rights, has chosen instead to cover up and tarnish the intention of the people with healthy doubts, leaving them in a deep sorrow and deploration about the situation. If there is any doubt at all, NEC must open all the data and the staff to the public in order to help people understand exactly what happened.
However, in their official statement published on Jan 1st, 2013, the NEC depreciated Koreans like us who want the electoral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by calling them ‘a group of people who deny the result of the election,’ and further presented condescending advice that people should stop ‘trying to shake the basis of democracy.’ We articulate that this is nothing but an inappropriate and arrogant response from NEC, of which impartiality and fairness are expected as an independent constitutional organization. Besides, it is absolutely illogical for NEC to allege that we are requesting a recount without any objective evidence. Koreans have raised reasonable questions based upon testimonies and materials collected. NEC is the one that is keeping all the hard data, and thus it is the job of NEC to examine and prove the integrity of the election. Hence, expressing much regret, we fellow Koreans and electors overseas demand that NEC should accept the following items to restore its credibility.
1. It is NEC’s job to help people exercise their sovereignty, through fair and reliable management of an election. We require the NEC to apologize for their authoritative manner to Koreans who raised reasonable questions. The fact itself that many Koreans are raising questions about an election can only be considered as proof of NEC’s failure to earn trust from the people, and thus NEC is supposed to feel rather ashamed and look back on their job execution.
2. If NEC is indeed willing to accept the request for a recount as they publicized on Jan 1st, 2013, they must immediately make the following data available, which would be much simpler and easier than recounting: the register of all electors, the list of the actual voters, voter data per region and age group, the record of ballot counting at each office including the log data for data transmission, NEC's tabulating record and submission record to mass media, and the reporting data of each broadcasting company.
3. It is not important whether to call a machine a ballot counter or a ballot separator. NEC has to stop playing with words and face the problem by immediately providing the software of the ballot counters used and also the source code of NEC's central tabulating system and reporting system. A thorough investigation of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ose machines and systems should be carried out by a third party, and the results should be reported to the public. In addition, NEC must release all documentation regarding the justifiability of the use of an electronic ballot counting system or machine.
4. NEC claimed without any supporting evidence that the data from the central tabulator is not the final result and the data was inspected manually. If that is the case, NEC is ought to release the record of manual ballot counting and explain how it was possible then to announce the winner only three hours after the ballot counting started.
5. In order to verify NEC's claim, we would also like to review the record on whether and how the vote-counting observers were educated. Publicize the number of observers from each party at each vote-counting office.
Again, all the hard data is being kept and managed by NEC, and therefore it is NEC's job to prove the electoral transparency and accountability. We hereby sign this statement with the hope that NEC will regain Koreans' trust by withdrawing their authoritative attitude and releasing all related materials.
Jan 7th, 2013
대 한민국의 주권자인 국민은 자유롭고 공정한 선거에 참여하고 그 제반 과정을 감시할 권리와 의무를 지닌다. 이번 18대 대선 개표 과정의 공정성에 대해 의혹을 제기하는 수많은 국민들의 제보와 관련 정황 증거들이 봇물처럼 터지고 있다. 그러나 국민의 권리와 의무를 가장 중립적이고도 공정하게 대변하고 앞장서 보호해야 할 기관인 중앙선거관리위원회(이하 중앙선관위)가 오히려 국민들을 호도하고 사실을 은폐 조작하려 하니 안타까움을 넘어 대한민국 국민의 일원으로서 개탄을 금할 수 없다. 어떤 선거이든지 선거 과정에 일점이라도 의혹이 제기되면, 중앙선관위는 충분한 근거를 제시하고, 모든 관련 자료와 관계자를 공개함으로써 개표의 공정성을 제고하고 국민을 납득 시켜야 할 의무가 있다.
그러나 중앙선관위는 2013년 1월 1일 자 공식발표문에서 다수의 국민을 “대선 결과에 불복”하는 일부 세력으로 폄하하였을 뿐만 아니라 “민주주의의 근간을 뒤흔드는 행위”를 멈추라며 국민을 계도하려 하였다. 이는 헌법상 독립기관으로서 선거의 중립성 및 공정성을 확보해야하는 선관위의 직분을 망각한 어리석고 오만한 태도이다. 더욱이 공식발표문의 "객관적 근거 없이 개표부정을 주장하며 재검표를 요구하고 있다"는 부분은 어불성설이다. 국민들은 산발적으로 불거진 의혹들과 정황 증거들을 토대로 합리적인 의혹을 제기했다. 모든 객관적 증거는 바로 선관위가 가지고 있으며, 객관적으로 이 모든 사태를 입증해야 하는 책임과 의무는 선관위에 있다. 이에 우리 해외 유권자 및 동포들은 선관위가 표명한 공식 입장에 대해 깊은 유감을 표시하며, 선관위가 다음 요구 사항들을 받아들여 선관위의 신뢰성을 회복하고 국민들의 의혹을 명확히 해소해 줄 것을 공개적으로 촉구하는 바이다.
1. 공정한 선거관리를 통해 국민의 주권행사를 돕고 주권의식을 높이는 것은 헌법에 명시된 선거관리위원회의 직무이다. 합리적 의심에 기초한 의혹을 제기하는 국민들의 구체적 요구를 무시하고 오만한 태도로 일관한 선관위는 즉각 사과하라. 국민들이 선거 과정에 의심을 품는다는 사실 자체가 이미 선관위가 그동안 국민들의 신뢰를 얻지 못했음을 의미하는 이상, 선관위는 오히려 이를 부끄럽게 여기고 이 기회에 본인들의 직무수행을 돌아보아야 할 것이다.
2.선관위가 1월 1일자 공식입장에서 밝혔듯 재검표를 피할 의사가 없다면, 훨씬 더 간단한 절차인 다음 자료 공개를 즉각 이행하기를 강력히 촉구한다: 총선거인 명부, 투표자 명부, 지역별 세대별 투표자 데이터, 시간별 각 개표소 개표 현황 및 개표 결과 전송 로그 기록, 중앙선관위 집계 결과 기록 및 언론사 전송 기록, 그리고 각 언론사 수신 및 방송 기록을 즉각 공개하라.
3. 개표기냐 투표지 분류기냐의 용어 구분은 중요하지 않다. 더이상 말 장난을 끝내고, 각 개표소에 배포된 전자개표기 소프트웨어, 중앙선관위 보고 시스템과 중앙선관위 최종 집계 시스템의 소스 코드를 공개하라. 또한 선관위 내부가 아닌 공정한 제 3자를 선정하여 이번 선거에 사용된 모든 기계와 프로그램의 타당성 및 공정성 여부를 조사하도록 의뢰하고 그 결과를 즉각 공개하라. 아울러, 전자개표기의 대통령 선거 적합성과 관련된 모든 내부 자료를 국민에게 공개하라.
4. 선관위는 투표지 분류기의 집계 결과는 최종 결과가 아니고 육안으로 재차 대조 확인을 했으므로 문제가 없다며 증거 자료 없이 주장만 하고 있다. 이 작업을 제대로 거쳤는지를 개표록 공개를 통해 증명하고, 이러한 수작업을 병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개표시작 불과 3시간만 여 만에 당선이 확실하다는 발표가 나올 수 있는 지 객관적 자료를 근거로 해명하라.
5. 선거 전 투개표 참관인 교육이 이루어졌다면 자세한 교육 내용과 실제 교육이 이루어졌음을 확인할 수 있는 객관적인 기록을 공개하라. 더불어 정당별 참관인 수에 대한 각 개표소별 자료를 공개하라. 집계 심사부를 거친 최종 집계표에 각 정당 참관인 모두 표 집계 심사 결과에 이의 없이 확인 서명하였는지 공개하라.
<!--[endif]-->
유권자 권리를 소중히 여기는 사람들의 모임.
재외국민 유권자 모임 (구) 미주 페이스북 친구 모임,
미주 사람사는 세상(워싱턴 D.C., 뉴욕, L.A. 애틀랜타, 휴스턴, 클리브랜드, 산호세, 샌프란시스코, 시애틀, 필라델피아, 시카고),
애틀랜타촛불 모임, 인도의 등불,
샌디에고 유권자 모임, LA 유권자 모임, 독일 유권자 모임, 상하이 유권자 모임
Aeleen Lee, Alice Cho, Along Lee, Amy Park, Andy, Angie Kim, Ann Lee, Anne Kim, Bob Lee, Boksoon Ahn, Boyoung Park, Bun-Sik Yoon, Calvin Lee, Chloe Cho, Chung H Choi, Cindy Cho, Clair Nah, Dahyeon Lee, Diny Park, Eileen Kim, Ellen Hahm, Eummi Lee, Eun Jung Jung, Eun Jung Lim, Eun Kim, Eun Lee, Eun Sook Won, Eunae Yoon, Eunhye Bae, Eunjin Kim, Eunjoo Hwang, Eunju Lim, Ghang, Suu Lee, Grace Hong, Gyeong Kim, Han Kim, Han, Chong Hui, Hayoung Cho, Hee S. Park, Heeseung Han, Heesoo Kim, Heesoon Park, Hong Kim, Hye Chang, Hye Jin Han, Hyejung Hwang, Hyeon Lee, Hyo Kim, Hyun Kim, Hyun S Yang, Hyunjoo Kang, Hyunjung Lee, Inmo Koo, Isabel Hong, J Kim, J.Kim, Jae Song, Jaehee Park, Jae Hyuk Choi, Jamie Lee, Jane Park, Jay Cho , Jay Lee, Jea Kim, Jee H. Yoo, Jennifer Byun, Jennifer Lee, Jenny Jung, Jenny Kim, Jeong H. Lee, Jessica Kim, Ji Kim, Jian Jung, Jihyun Sung, Jin Kim, Jina Park, Jinyoung Shin, Jiyoung Kim, Jiyoung Lee, John H. Lee, Jongyeon Ee, Joon Kim, Joseph Kim, Judy Lee, Jung Hyekyung, Jung Kim, Jung Kim, Jungsun Kim, Juyeon Son, K. Y.Lee, Kanghah, Lee, Kate Jeong, Kenny Wu, Kwihee Pak, Kyoung J. Hwang, Kyung eun Lee, Kyuseek Hwang, Laura Chang, Leah Shin, Lee Insun, Mag Jung, Mi Choi, Mi Yu, Miae Seo, Michelle Lee, Mihyun You, Mijeong Kim, Mijung Park, Min Kim, Minhee Kim, Minjung Kim, Minki Hong, Mireyoung Oh, Miseon Seo, Misook Gwon, Myong Kwak, Myong Song, Myung Yoo, Myuongchul Park, Nakyoung Kim, Nan Cha, Noh Park, Peter Han, Phoebe Kim, S.Y.Park, Sam Park, Scinjeong Kim, Sei-Young Lee, Seung J Kim, Seunghee, Seunghwan Hong, Seunghyuk Kim, Shawn Lee, Shinduk Lee, Shinsook Lee, Simon Sohn, Soo Lee, Soojin Song, Soon Kang, Soon Lee, Soonmi Kim, Soyoung Lee, Stacy Paik, Stacy Rhee, Steve Yum, Su Young Kang, Sue Jung Lee, Sujin Kim, Sun Kyong An, Sung Park, Sung-Suk Suh, Sunyoung Lee, Sunyoung Moon, Ted Park, Theresa Park, Tina Yi, Tom Chung, Tom Lee, Vanny Kim, Yang Ja, Kim, Yihyun, Yong Suk Chang, Yong-Chan Jon, Yooha Song, You Hwang, Young Joo Lee, Young Lee, , Young Sook Jeong, Young Yi, Youngleem Kim, Youngsuk Park, 강민경, 강민경, 강상배, 강석상, 강현주, 고예림, 구명우, 구자호, 구지우, 김기웅, 김도석, 김미경, 김미란, 김미애, 김보경, 김상륜, 김선영, 김성숙, 김연태, 김영기, 김영옥, 김영현, 김우식, 김유진, 김은주, 김정훈, 김주현, 김지영, 김창문, 김하나, 김현승, 김현정, 류진숙, 문경훈, 박명진, 박문경, 박보영, 박선미, 박소영, 박태용, 박희정, 백란희, 백승희, 백혜숙, 백훈기, 서민형, 소영민, 송정수, 신난경, 신진영, 신현진, 안혜경, 오은숙, 유병승, 유수연, 유예선, 윤민자, 윤성은, 이경지, 이민영, 이민지, 이상준, 이상훈, 이상훈, 이승명, 이신덕, 이영민, 이영아, 이윤경, 이은향, 이의정, 이인숙, 이정덕, 이정연, 이주영, 이지영, 이차희, 이창희, 이크리스티나, 이한상, 이현경, 이현진, 이혜승, 이혜원, 임동원, 임창원, 장문규, 장희진, 전희경, 정상모, 정의선, 정은경, 정지아, 정현주, 정혜진, 정희 박, 제인 김, 조희주, 주연지, 진대흥, 진서원, 진영남, 최동춘, 최성아, 최윤정, 최재경, 크리스 양, 한도원, 한병철, 함상원, 황지인, 외 익명 6명 (USA)
Andy Kim, Cara Yoo, Jinho Yu, Kelly Shin, Lisa Shin, 박경훈, 송윤희, 전미혜, 정화식 (AUSTRAILIA), Anonymous (INDIA)
Jihae Yoo, 최희주 (IRELAND)
한희수 (ITALY)
Byungdon Jang, Ellen Jung, Heejoung Lee, Hyesil Kim, Joanne, Joungeun Lee, Minkyoung Lee, Young Kim, 강미지, 김석희, 박영애, 유창우, 육경화, 이동훈, 이선미, 이혜숙 (CANADA)
류혜리 (CZECH)
Jin Hyun Kang (DEUTSCHLAND)
Inho Kim (ECUADOR)
김동준, 손옥수, 한아람 (FRANCE)
박미경 (HONGKONG)
Luke Y (PAKISTAN)
이승민 (SPAIN)
Eunyoung Kim, Han-Seo Kim, K.S. Lee, Linda Yi, S. Lee, So Yeon Lee, 서중훈, 송형주, 신은경, 오혜민, 이은희 (GERMANY)
Jaehyung Youn, 윤혜민 (JAPAN)
윤회정 (UAE)
Sarah Shin, 황새솔 (MALAYSIA)
김수정, 안희웅, 오두연 (NEW ZEALAND)
Meredith, 김인순 (THAILAND)
최빛나 (THE NETHERLANDS)
Eun Lee, Ivy Seo, Jae Lee, Joon Lee, Mihee Kim, 김대철, 이희재, 진미영 (UK)
Chang Kyu Kim, Char Lee, Choi Eun Kyeong, Connie Kim, Dae Sung Kim, Dea Yung Kim, Eugene Choi, Eunjoo Yoo, Eunkyung Won, G. Chung, Gwansoo Shin, H.I, Hee Soo Kim, Ho June Yoo, Hyoung Lee, Hyunsoo Kwon, Jae uk, Joseph Park, Jungsoon Edmonton, K. B. Shim, Kyongchi Kim, Kyoung Lee, Kyuhwan Oh, Laura Lee, Lee Kang, Me Young Kim, Mihee Kim, Minkyong Alvarez, Myeong Gwon Jeon, Ricardo Hwang, Sanghee Shim, Soojin Kim, Suk Sang Kang, W. Jung, Wonho Jung, Woojin Rhee, Young Jun Yoo, 김성주,김주옥, 김지빈, 박미자, 박희정, 성민, 양요섭, 원수연, 이근세, 정명훈, 케이시 박, 클라라, 한송이, 한송이 (국가 미명시)
추천을 해주시면 더 많은 분들이 보실 수 있습니다.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115&articleId=2251626&pageIndex=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