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home > 노무현광장 > 보기

대한민국 실록 일부발췌(김기협역사학자 해방일기중)

댓글 2 추천 5 리트윗 0 조회 60 2012.12.31 11:49

문재인 후보의 당선을 내가 바란 것은 사람이 좋아 보여서보다도, 한국 사회의 순조로운 발전을 위해 좋은 길이라고 생각해서였다. 보수주의자인 나는 불평등이 사회에 존재하는 것을 당연한 일로 여긴다. 그러나 그 불평등이 너무 많은 사람들에게 고통을 주고 사회의 안정성을 위협할 정도로 심화되지는 않기 바란다.

20세기 내내 한국 사회의 불평등은 심각한 위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식민지 체제도 독재 체제도 이 위험을 키워오기만 했다. 1987년 이래의 민주주의 체제가 약간의 효과를 일으키기는 했지만 획기적 변화는 가져오지 못했다. 그러다가 지난 5년간 한나라당의 집권 아래 그 약간의 효과마저 도로 없애버리는 퇴행적 상황이 전개되었다. 1987년 이전의 독재 체제를 배경으로 하는 박근혜 정권보다는 민주주의를 앞세우는 문재인 정권이 이 사회의 순탄한 발전을 위해 지금 필요한 것이라고 나는 판단했다.

선거 결과가 어떤 원인에서 나왔는지 논란이 무성하다. 나름대로 타당성 있는 여러 가지 이야기가 나오고 있지만, 나는 그 어느 것도 결정적인 원인이라고 규정하기 힘들다고 본다. 모든 요인에는 득실이 엇갈리기 때문이다. 각자가 크게 보는 것을 크다고 주장하는 것은 장님 코끼리 만지기일 뿐이다.

내게도 나름대로 크게 보이는 것이 있다. 이것도 코끼리의 한 부위에 불과한 것임은 말할 나위 없는 일이다. 그러나 코끼리 만지는 것이 단순한 호기심에서가 아니라 병든 코끼리를 고쳐주기 위해서라면 어느 한 부위가 특별히 중요한 것일 수 있다. 왜 그 부위에서 병리적 문제를 느끼는 것인지 설명할 수 있다면.

ⓒ연합

내가 중요하게 보는 문제는 우리 사회에서 힘을(재력이든 정보력이든) 많이 가진 사람들이 사회의 지속 가능성에 공헌하려는 자세를 갖추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누리는 것이 많은 사람들이 자기가 속한 국가와 사회의 안전을 지키려고 애쓰는 것은 인지상정이기도 하려니와, 안정과 번영을 누리는 사회의 필수조건이기도 하다. 그런데 지금의 우리 사회처럼 지도층의 책임감이 박약한 사회가 재앙을 피하는 일을 나는 역사에서 보지 못했다.

왜 그럴까? 유력한 가설을 나는 갖고 있다. 식민지 체제다. 식민지 사회의 특권층에게는 자기 사회의 안보(security)를 위해 노력할 동기가 없다. 특권은 지배 국가 중심의 제국 체제로부터 주어지는 것이기 때문이다. 일본의 식민지로 근대화를 시작한 한국 사회에서 엘리트 계층의 사회에 대한 책임감이 박약한 현실은 식민지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40년의 식민지 시대가 빚어낸 이 문제가 60여 년이 지난 지금까지 남아 있는 것은, 아니, 오히려 더 심해진 것처럼까지 보이는 것은 어찌된 일인가? '해방 일기'에서 밝히고자 한 가장 중요한 문제가 그것이다. 해방이 되고 건국이 됐지만 대한민국은 완전한 독립국이 되지 못했다. 민족 사회의 장래를 걱정하는 사람들이 도태되고, 일본 제국 체제 안에서 누리던 특권을 미국 중심 제국 체제에서 다시 누리려는 사람들이 대한민국 건국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과정을 '해방 일기'에서 밝혀 왔다.

목록

twitter facebook 소셜 계정을 연동하시면 활성화된 SNS에 글이 동시 등록됩니다.

0/140 등록
소셜댓글
남재 ywn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