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home > 노무현광장 > 보기

실제 여론과 여론조사가 맞지 않는다는 것

댓글 2 추천 4 리트윗 0 조회 85 2012.12.14 14:55

새누리도 알고 보수언론도 잘 알고 있겠죠?

그래서 ‘정치혐오’ 부추기기 그렇게 열심인가?

 

 

이번 주말을 기점으로 문재인 후보가 박근혜 후보를 앞서가는 이른바 골든크로스가 발생할 것이라는 예측을 증명이라도 하듯 채 주말이 가기 전에 문재인 후보가 역전에 성공한 여론조사 결과가 발표됐다.

 

한국일보가 공표 가능한 여론조사 실시 시한인 12일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실시한 대선 여론조사 결과에 따르면, 문재인 민주당 후보의 지지율이 45.3%로서, 박근혜 후보(44.9%)0.4%p 차이로 제친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는 지난 3일 한국리서치 조사에서 박 후보가 47.9%로 문 후보(42.1%)5.8%포인트 앞섰던 것과 비교하면 박 후보는 3.0%포인트 하락한 반면 문 후보는 3.2%포인트 상승한 결과이다.

 

 

비록 오차범위 내의 초박빙의 차이로 승부를 벌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문재인 후보가 상승세를 탄 이후 첫 번째 역전 조사로서 그 의미가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와 함께 응답자의 49.2%는 민주통합당으로 정권이 교체돼야 한다고 대답한 반면, 38.5%는 새누리당 정권이 재창출돼야 한다고 응답했다.

 

정당 지지도에서도 새누리당(40.3%)과 민주통합당(40.2%)0.1%p의 접전을 벌이는 것으로 나타나 정권교체에 고무적인 신호탄이 되고 있다.

 

이번 조사는 유·무선전화 임의번호걸기(RDD)를 이용한 전화면접 조사로 진행됐으며, 표집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이다.

 

한편, 문재인 캠프의 SNS지원단 SNS분석대응팀이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역대 선거의 여론조사 결과와 실제 득표율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시 말해 실제 여론과 여론조사는 다르다는 것이다.

 

역대 선거에서 마지막 여론조사의 결과, 여당 후보가 크게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실제 득표율에서는 야당 후보가 상당히 선전하여 그 격차가 좁혀지거나 심지어 역전되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SNS분석대응팀에 따르면 선거 전 여론조사의 열세지속과 이에 실망한 지지자들의 투표 포기로 선거에서 패배한 대표적인 사례가 201062일 서울시장 선거이다. 여론조사에서 20% 안팎의 열세를 보이던 한명숙 후보는 실제로는 0.6%의 석패를 기록하여 투표율만 높았으면 이길 수 있었으며(투표율 53.9%) 부정확한 조사로 민심을 왜곡한 여론조사가 도마 위에 오른 대표적인 경우이다.

 

마찬가지로 2010년 강원지사 선거와 2011년 서울시장/강원지사 재보선, 2012년 총선 일부지역(종로, 서대문 등)에서도 여론조사 오류 사례가 이어졌으며, 이로 인해 여론조사 정확도에 대한 의문이 선거 때마다 제기되었다.

 

201062일 실시된 강원지사 선거 직전 마지막 여론조사의 결과는 한나라당의 이계진 후보가 9.8%p(한겨레)~20.5%p(조선일보) 격차로 민주당 이광재 후보를 이기는 것으로 나왔지만, 실제 최종 결과는 이광재 후보가 8.8%p 차이로 압승한 역시 대표적인 여론조사 오류 사례이다. 특히 조선일보의 경우 당시 여론조사와 실제 결과 사이의 오차가 29.3%p에 달해 여론조사로서의 초보적인 기능조차도 다하지 못한 결과를 낳고 말았다.

 

2012411일 실시된 19대 총선의 종로, 중구, 서대문, 동대문, 경기 광명 등의 사정도 마찬가지이다.

중 구

여론조사

실제

정진석

35.6%

46.32%

정호준

30.5%

50.27%

종 로

여론조사

실제

홍사덕

상호 0.1%차이 박빙

45.9%

정세균

52.3%

동대문

여론조사

실제

홍준표

39.6%

44.54%

민병두

37.2%

52.88%

서대문

여론조사

실제

이성헌

대부분 이성헌 10%안팎 우세

45.8%

우상호

54.2%

 
위 표에서도 볼 수 있듯이 여론조사에서는 여당 후보가 크게 앞서고 있으나, 실제 결과는 여론조사와는 완연히 다른 결과가 나타난 경우의 사례들이다.
 
미국의 경우 언론사간 여론조사 편차가 크지 않아 신뢰도가 높으나 우리나라 여론조사의 정확성이 낮은 이유는 첫째,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인의 모든 성향을 보여주는 누적된 개인정보가 부족하여 정확한 표본 선정이 어렵고, 둘째, 야권 지지자의 경우 신분상 불이익을 우려하여 거짓 응답의 가능성이 높으며, 셋째, 휴대전화 보급률(100%이상)에도 불구하고 표본집단 선정시 휴대전화 비율이 너무 낮고(대부분은 20%대 산입) 넷째, 훈련된 유권자의 거짓 응답이 점차 확산(집전화 조사에 응하는 고연령층 표본은 금방 수집되어 고연령층이 자신의 연령대를 낮추어 답하고 조사에 응하는 경우)되고 있고, 다섯째, 낮은 응답율(1520%) 등을 들 수 있다.
 
한편, SNS분석대응팀의 분석 결과에 따르면 역대 대선보다 이번 대선이 초박빙 혼전으로 나타나면서 일반 유권자의 관심 역시 커지고 있어 투표율 상승 조짐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지난 5일부터 10일까지 실시된 재외선거 투표율 71.2%(4.11총선대비 25.5%), 13일부터 14일까지 진행된 부재자 투표 109만명(0781만명, 34%), 선관위의 조사 결과 ‘반드시 투표 하겠다’는 응답이 79.9%(0767%, 0280.5% / 실제 투표율은 각각 63%, 70.8%)로 나타나는 등 역대 선거와 대비해서 높은 투표율을 예상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새누리당과 보수언론은 여론조사 공표 금지 이후 이른바 ‘블랙아웃’ 기간을 통해 문재인 후보의 추세상승을 무시하고 공표금지 전 박근혜 후보가 우세했다는 보도를 반복하여 야권 지지자들의 투표 참여 열기를 꺾고, 네거티브 확대로 중도층 유권자들의 정치 혐오를 부추겨 기권을 유도함으로써 투표율 낮추기를 시도할 것으로 예상된다.
 
반면, 문재인 후보와 민주당은 남은 기간 투표독려 활동에 매진할 것으로 판단되며, 주말을 기점으로 문재인 후보가 역전하는 이른바 ‘골든크로스’ 현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전파하는 활동에 주력할 것으로 보인다.

 

 

 

출처/ http://www.moonjaein.com/news_briefing/826050

목록

twitter facebook 소셜 계정을 연동하시면 활성화된 SNS에 글이 동시 등록됩니다.

0/140 등록
소셜댓글
Martyr lkmlk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