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6
0
조회 114
2012.11.23 12:52
어제 박선숙 공동선대본부장의 ‘최후통첩’이라며 제시한 안(가상대결50%+지지도50%)은 안철수 후보에게 일방적으로 유리한 안입니다.
문화 인사들이 제시한 안인 ‘가상대결50%+적합도50%’이 두 후보의 주장을 반반씩 채택한 중립적인 안임에도 박 본부장은 마치 선심을 썼다는 듯 안철수 후보에게 유리한 안을 던졌습니다.
박선순 공동선대본부장이 사족처럼 붙인 발언들은 정당 활동 자체를 억제하는 것이고 개인 별로 행해지는 과잉충성의 행위까지 문제 삼을 수 있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어서 가히 전체주의적 발언의 극치를 보여주는 것 같습니다.
솔직히 안철수 후보 진영의 행태를 보면 기본적 상식마저 상실한 고집불통의 이중인격자들의 모임을 보는 것 같습니다.
‘안철수 현상’과 <안철수 생각>의 공통점인 보편적 복지도 후퇴했고 재벌 개혁도 퇴색했으며 ‘4대강공사 보 철거’와 같은 지극히 즉흥적인 발언(이에 대해서는 별도의 글을 올리겠습니다. 그 동안 공부를 한 것을 녹여서)도 심심치 않게 나왔습니다.
필자는 문재인 후보의 지지자이지만 그렇다고 해서 사실에 기반한 진실이 아니면 문재인 후보라도 비판할 것은 비판했습니다.
노무현 대통령의 정책과 실정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의 기준을 적용해왔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에 대해서도 이 기준을 지킬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습니다.
제가 벤처기업 경영자 출신이면서도, 저의 실패 원인에 대해서도 솔직히 밝혔고 CEO의 보편적인 성향에 대해서도 있는 그대로 옮겼습니다.
그것이 글 쓰는 자의 가장 기본적 덕목이라 생각하기 때문이며 그럴 때만이 최대한 이해타산에 기울지 않고 사실에 대한 편향성에서 자유로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연합뉴스에서 인용
앞에서 지적했듯 문재인 후보가 수용한 안이 현재의 상황에서 가장 중립적인 것은 확실하지만, 이 안과 더불어 세 불리를 느낀 안철수 후보 측에서 제시한 안을 모두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협상을 재개하자는 우상호 공보단장의 제안은 환영할 만한 일입니다.
도무지 한 걸음도 양보하지 않으려 하는 안철수 후보 측의 제안과 문화 인사들의 중재안을 동시에 올려놓고 협의를 하자는 것 자체가 어떤 결론이 나오더라도 문재인 후보에게는 불리하기 때문입니다.
박선숙 선대본부장이 역제안(단일화 협상도 자신들이 제안해서 시작됐다는 것처럼)을 하면서 이것이 최후통첩이라고 벼랑 끝 전술을 펼친 것도 역제안에 방점이 찍힌 지극히 전략적인 방식입니다.
도무지 정치 신인이며 순수한 열망의 소유자라는 ‘안철수 현상’과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고도의 정치 전략적 행태라 할 수 있습니다.
TV토론에서도 불리한 것들은 모두 점진적 처리를 말하며 근본적 인식을 묻는 질문에서조차 애매한 답으로 능구렁이처럼 피해갔습니다.
이에 반해 집요하게 물고 늘어지는 참여정부의 실정(여기에 미래 지향적 가치는 없습니다)에 대해 문재인 후보는 부족했지만 반성을 표했습니다.
생각 같아선 문재인 후보 측에 판을 깨라고 주문하고 싶을 정도이지만, 그것은 정권 교체라는 절대적 시대정신에 반하는 것이기에 적절하지도 현명하지도 않습니다.
하나는 양자의 강점을 하나씩 담은 중립적인 안이고 또 하나는 안철수 후보에게 유리한 안이니 안철수 진영에서 이 두 안을 가지고 협의를 이어가자는 문재인 진영의 제안을 거절한다면 이는 도저히 용납할 수 없는 탐욕의 전형입니다.
안철수 후보는 어떻게 해서든 단일 후보가 되겠다는 것이며 필요하다면 문재인 후보가 아예 양보를 하라는 것과 다를 것이 없습니다.
안철수 후보 진영은 우상호 공보단장의 제안에 당장 화답을 내놔야 합니다.
두 후보의 담판을 통해서 후보를 결정하는 것은 함께 일하고 있는 사람들에 대한 예의도 아닙니다.
서로에 대한 배려가 사라진 상태에서 정치적 룰도 상식도 사라진 최후의 담판이란 차라리 안하는 것만 못합니다.
또한 이런 방식으로 시간을 끌어서 양자가 모두 대선 후보로 등록해 지지율 면에서 극도의 차이가 벌어질 때까지 기다리는 것도 위험천만한 발상입니다.
정치는 끝없는 토론을 통해 이해를 조정하고 합의를 이끌어내는 집단적 과정인데, 두 후보 간의 담판이라는 벼랑 끝 전술은 정치 자체를 죽이는 행위에 불과하기 때문입니다.
정치 개혁이 정권 교체보다 더 중요하다고 말했고, 자신의 목표는 대통령이 아니라 그것을 넘어선 새로운 정치를 세우는 일이라 했던 사람이 최후통첩을 운운하면서 반정치적 행위를 서슴지 않는 것은 형용모순이며 이율배반적 행위의 극치입니다.
협의의 장으로 나오십시오.
그리고 그 과정에 대해 투명할 정도로 공개해 국민이 납득할 수 있게 하십시오.
양 측의 주장이 단 한 번도 일치하지 않으니 단일화 협상의 전과정을 투명하게 공개하십시오.
당장 만나서 협의를 재개하십시오.
그것이 너무나 늦어서 대선의 패배로 이어진다고 해도 정치 행위의 가장 기본인 끝없는 협의를 통한 이해 조정에 전력을 다하고 합의에 의해 박근혜 후보와 최후의 일전을 치르십시오.
이것은 모든 권력의 근원인 국민의 절대 명령입니다.
촛불은 말합니다, 서로 소통하라고.
촛불은 말합니다, 서로의 기득권을 내려놓으라고.
촛불을 말합니다, 국민의 말에 귀 기울이라고.
촛불을 말합니다, 정권을 교체하라고.
그래서 촛불은 시대정신이자 보편적 정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