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3
0
조회 127
2013.03.15 05:41
ㆍ무리하게 ‘한강르네상스’와 결부… 전체 사업의 틀 망쳐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좌초되면서 오세훈 전 서울시장에 대한 책임론이 확산되고 있다. 당초 코레일은 철도정비창 부지만 개발하는 방안을 추진했지만 오 전 시장이 자신의 ‘치적’을 위해 무리하게 ‘한강르네상스’ 사업을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에 결부시키면서 전체 사업의 틀을 망쳐놨다는 것이다. 오 전 시장은 “용산개발로 서울이 10대 도시가 될 것”이라고 호언했지만 용산개발이 남긴 건 빚더미뿐이다.
진영 보건복지부 장관은 14일 출입기자단과의 첫 간담회 자리에서 “용산개발은 오세훈 전 시장이 잘못한 것”이라며 오 전 시장에 대한 책임론을 제기했다. 용산구가 지역구인 진 장관은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소속 의원으로 활동할 당시 국정감사 등에서 여러 차례 용산 문제를 거론한 바 있다.
진 장관은 “당초 계획대로 용산의 코레일 땅만 재개발하면 문제가 없었다”며 “오 전 시장이 주민들하고 상의도 없이 하룻밤 사이에 서부이촌동까지 사업에 포함시켜 버리면서 문제가 됐다”고 말했다. 사업 실패 원인으로 비용 상승 문제를 꼽았다. 그는 “서부이촌동 한 아파트의 경우 당시 입주를 완료한 지 4년 정도밖에 안됐다”며 “이런 아파트까지 개발한다고 하니 개발비용과 분양가가 올라가는 부작용이 발생해 사업이 어렵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용산개발은 오 전 시장의 개입으로 ‘판’이 커졌다. 코레일이 당초 서울시에 제출한 계획안은 코레일이 보유한 부지 44만㎡를 개발하는 내용이었다. 그러나 인허가권을 쥔 서울시가 ‘몽니’를 부렸다. 오 전 시장은 “용산개발은 한강르네상스와 결합해 대규모로 진행하는 게 더 낫다”며 서부이촌동 일대를 사업에 포함시켜달라고 요구했다. 몇 차례 협상 끝에 코레일은 백기를 들었고, 오 전 시장의 요구를 수용해 현재의 사업 규모에 이르게 됐다.
오 전 시장은 용산개발을 자신의 재임 기간 중 최대 치적으로 꼽았다. 2007년 8월에 열린 코레일과의 협약식에 나선 그는 “용산을 명품 수변도시로 조성하겠다”며 “한강변 토지를 주거 일변도로 이용하던 기존 행태에서 벗어나 도시 공간구조의 재편을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듬해 2월 열린 용산역세권개발 창립기념식에서는 “한강르네상스 등 서울시가 추진하는 프로젝트의 총 집합체가 용산개발”이라며 “사업을 통해 서울시는 세계 10대 도시가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오 전 시장의 개입은 파국을 불러오는 계기가 됐다. 지난해 국감에서는 용산개발을 두고 “오 전 시장의 개인적 욕심에서 비롯된 비극”이라는 지적이 끊이질 않았다. 민주통합당 문병호 의원은 “용산개발은 지역주민의 동의조차 받지 않은 독재 개발사업”이라며 사업계획 수정을 요구하기도 했다.
조명래 단국대 도시지역계획학과 교수는 “오 전 시장이 무리하게 한강변 아파트 단지를 끌어들여 결합개발을 강요하는 바람에 사업성 악화를 불러왔다”고 말했다.(경향신문10면)
<단지언니생각>
1)오세훈은 처음부터 단체장 감이 아닌데
2)2006년 서울시장 선거에서 민주당 강금실 후보가 압도적 우세에 있을때
3)당시 한나라당에서 전전긍긍 끝에 비밀병기(헉!)로 급조해 만든게 이후 재앙의 단초.
4)위 내용에서 보는 것처럼 한탕주의로 지역 주민들을 현혹 시키거나,
5)주민동의 절차를 무시, 불법으로 사업계획을 확장한 오세훈.
6)오세훈 전 시장은 재임기간중 중대한 과오가 한두가지가 아님.
7)현재 감사원 지적과 대한변협의 고발로 검찰 수사를 받고 있으며.
8)그는 최근에 빅 로펌에 전관예우를 받는 조건인지 취업을 한 상태.
9)오세훈은 개인의 정치적 야욕으로 서울시민 뿐 아니라 국민을 제물로 국가를 망친 자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