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12.05
성명 전문
존경하는 국민여러분,
내일부터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또 다른 재판이 시작됩니다.
지난 4월, 검찰이 기소한 뇌물수수 혐의와 관련한 법원의 판결을 하루 앞둔 시점에서 난데없이 터무니없는 피의사실을 공표하면서 강행한 별건 수사와 관련한 재판입니다.
우리는 당시 이명박 정권의 정치검찰이 억지로 짜맞춘 부당한 수사의 결과를 생생히 기억합니다. 아무런 증거도 없이 허위의 진술과 조작된 정황으로 구성해 혐의를 뒤집어씌운 뇌물수수사건의 결론은 진실과 양심의 승리인 무죄판결이었습니다.
그럼에도 이명박 정권의 정치검찰은 반성하지 않습니다. 반성은커녕 오히려 만천하에 공개된 자신들의 치졸한 공작과 음모를 또 다른 공작과 협잡으로 뒤덮으려하고 있습니다. 이는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이명박 정권과 정치검찰의 추억한 정치공작이고 테러입니다.
지난번 사건이 지방선거를 앞두고 유력한 야권의 서울시장 후보의 발목을 잡기위해 기획된 수사였다면 내일부터 시작되는 별건 재판은 무능한 정권의 정적 제거와 지난 무죄판결사건에 대한 검찰의 보복수사가 덧붙여 기획된 공장의 산물입니다.
아시는 바와 같이, 검찰은 지난번에 부당하게 기소한 뇌물수수 사건의 허구가 재판과정을 통해 하나, 둘 진실이 밝혀지자 판결을 얼마 앞두고 서둘러 이번 사건을 기획했습니다.
특경가법(사기) 위반으로 형을 언도받고 교도소에 복역 중인 궁박한 처지의 수감자를 무려 76차례나 소환해 위법한 강압수사를 하였습니다. 단, 한 차례의 변호사 입회도 없었습니다. 그리고 여기서 작성된 진술조서만을 근거로 이번 별건 사건을 구성했습니다.
만약, 검찰의 주장대로 진술내용이 사실이라면 거액의 회사자금을 불법으로 횡령해 돈을 주었다고 말한 진술인은 횡령과 정치자금법 위반으로 당연히 기소되었어야 합니다. 그런데도 검찰은 진술인의 어떤 혐의에 대해서도 기소하지 않았습니다. 그 이유가 검찰의 의도대로 협력한 대가라면 이는 부당한 시혜를 넘어 위법한 검찰권 행사라 아니할 수 없습니다.
수사의 공정성과 타당성이 실종된 현실은 검찰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 전체의 불행입니다. 우리 국민은 오랫동안 검찰에 자성의 기회를 주며 기다려 왔습니다. 그러나 검찰은 국민의 기대를 저버린 채 스스로 더 큰 죄악의 길을 선택하고 말았습니다.
더 이상 정치검찰의 무도한 행태를 용납할 수 없습니다. 치졸하고, 후안무치인 표적보복수사를 계속 방치한다면 또 다른 허위의 진술과 조작으로 구성된 제3, 제4의 공작과 음모가 끊임없이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저희 공대위는 이번 재판도 실패할 것을 예비해 한명숙 전 국무총리를 표적으로 겨냥한 또 다른 음모를 획책하고 있는 징후를 포착하고 예의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토록 이명박 정권과 정치검찰이 한명숙 죽이기에 끊임없이 집착하는 의도는 분명합니다. 특정 정당을 넘어 양심적인 시민사회와 제야세력을 포괄하는 대표적 지도자 중 한 분인 한명숙 전 국무총리에 대한 흠집 내기를 통해 민주․평화․개혁․진보세력에 대한 결집을 방해하고, 국민의 지지를 약화시켜 자신들만의 권력을 유지하려는 음모입니다.
이명박 정권과 정치검찰은 치졸하고 추악한 정치공작을 즉각 중단해야 합니다.
한명숙 전 국무총리는 이번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에 대해서도 결백합니다. 검찰이 꾸민 공소장의 허구는 이미 무죄판결을 받은 바 있는 지난 4월의 뇌물수수 사건과 마찬가지로 법정에서 당당하고, 명명백백하게 밝혀질 것입니다.
끝으로 공대위는 이명박 정권의 무능이 초래한 최악의 안보위기를 정적 제거와 표적보복수사를 강화하는 공작의 계기로 악용하려는 어떠한 시도도 용납하지 않을 것이며 국민의 엄청난 분노와 저항에 직면하게 될 것임을 경고합니다.
저희 공대위는 국민과 함께 한명숙의 진실과 양심의 승리를 반드시 지키겠습니다.
2010. 12. 5.
한명숙 전 총리에 대한 이명박 정권-검찰-수구언론의
정치공작 분쇄 및 정치검찰 개혁을 위한 공동대책위원회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446 | [2010 봉하쌀·봉하김치 나누기] “3.3톤짜리 봉하표 사랑 맛보실래요?” (12) | 2010.12.01 |
445 | [트위터 화제] 노무현 대통령 ‘동북아균형자론’ 재조명 (17) | 2010.11.30 |
444 | 노무현 대통령 생가, 말끔한 새옷으로 갈아입었습니다 (22) | 2010.11.26 |
443 | 가을에 뿌리는 ‘봉하의 봄’ (8) | 2010.11.26 |
442 | 정연주 이사 “대통령님, ‘전화안한다’는 약속 끝까지 지켜 감사” (54) | 2010.11.24 |
441 | [12월 문화탐방] 갤러리투어에 초청합니다 (53) | 2010.11.24 |
440 | 참여정부 때 개방한 북악산 등산에 초대합니다 (133) | 2010.11.24 |
439 | 세 번째 봉하캠프가 전국 회원들을 대상으로 열립니다 (30) | 2010.11.24 |
438 | 삼가 고인의 명복을 빕니다 (43) | 2010.11.20 |
437 | 성공회대 NGO대학원에서 ‘노무현 장학생’을 선발합니다 (16) | 2010.11.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