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home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새소식

‘흙과 땅’의 임옥상, 故 정기용 선생 헌정 전시회 연다

2011.08.16


‘흙과 땅’의 임옥상, 정기용 선생 헌정 전시회 연다
- 8년 만의 개인전...평** 가나 아트센터(8월 26일~9월 18일)


임옥상 화백이 8년 만에 개인전을 연다.


한국전쟁이 발발했던 1950년에 태어난 그는 익히 알려진 대로 80~90년대 민중미술의 산증인으로 분단과 독재를 아파하다 저항과 고발로서의 미술을 택했다. ‘흙’과 ‘땅’은 임 화백의 미술을 대표하는 소재로 봉하마을 추모전시관에 있는 황토빛 ‘대지의 아들 노무현’도 그의 작품이다.


임 화백은 지난 십수 년을 ‘벽 없는 미술관 운동’, 즉 공공미술에 매달렸다. 그는 이번 개인전을 “8년 만의 외출”이라며 “눈부시다”라는 말로 극한의 설렘을 표현했다.


임 화백은 서 있고, 살고 있는 땅과 대지를 그리는 것으로 ‘땅’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땅을 그리면 그릴수록 땅이 그리웠다. “흙을 씹고 핥고 먹어 보고 싶었다”다는 말에 그 절절함이 묻어 나온다. 유화로는 땅을 더 이상 그릴 수가 없어 논과 밭으로 들어가 흙을 만지고 맨발 맨손, 온몸으로 끌어안았다.


이번 전시회의 화두는 물, 불, 쇠, 살, 흙이다. 이것들은 작품에 직접 사용한 재료이기도 하다. 그러나 임 화백은 “물, 불, 쇠, 살, 모두 흙으로 수렴된다. 또 그것들은 서로에게 맞물린다. 독립적이면서도 각각 서로를 내포한다. 꽃 연작, 쇠 연작도 모두 흙의 다른 얼굴일 뿐”이라며 이번 전시회도 여전히 ‘흙에 부치는 찬가’라고 말한다.


이번 개인전은 봉하마을 사저를 설계한 故 정기용 선생(지난 3월 작고)에 대한 헌정 전시회이기도 하다. 임 화백은 “흙을 사랑한 故 정기용, 신근식 두 분에게 이 전시회를 바친다”며 공공건축에 평생 헌신한 정기용 선생을 기리고 있다 .


전시장은 평창동 가나 아트센터(02-****-1020). 기간은 8월 26일~9월 18일이며 오프닝은 26일 오후 5시다.

이전 글 다음 글 목록

등록
66 page처음 페이지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