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16
‘흙과 땅’의 임옥상, 故 정기용 선생 헌정 전시회 연다
- 8년 만의 개인전...평** 가나 아트센터(8월 26일~9월 18일)
임옥상 화백이 8년 만에 개인전을 연다.
한국전쟁이 발발했던 1950년에 태어난 그는 익히 알려진 대로 80~90년대 민중미술의 산증인으로 분단과 독재를 아파하다 저항과 고발로서의 미술을 택했다. ‘흙’과 ‘땅’은 임 화백의 미술을 대표하는 소재로 봉하마을 추모전시관에 있는 황토빛 ‘대지의 아들 노무현’도 그의 작품이다.
임 화백은 지난 십수 년을 ‘벽 없는 미술관 운동’, 즉 공공미술에 매달렸다. 그는 이번 개인전을 “8년 만의 외출”이라며 “눈부시다”라는 말로 극한의 설렘을 표현했다.
임 화백은 서 있고, 살고 있는 땅과 대지를 그리는 것으로 ‘땅’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땅을 그리면 그릴수록 땅이 그리웠다. “흙을 씹고 핥고 먹어 보고 싶었다”다는 말에 그 절절함이 묻어 나온다. 유화로는 땅을 더 이상 그릴 수가 없어 논과 밭으로 들어가 흙을 만지고 맨발 맨손, 온몸으로 끌어안았다.
이번 전시회의 화두는 물, 불, 쇠, 살, 흙이다. 이것들은 작품에 직접 사용한 재료이기도 하다. 그러나 임 화백은 “물, 불, 쇠, 살, 모두 흙으로 수렴된다. 또 그것들은 서로에게 맞물린다. 독립적이면서도 각각 서로를 내포한다. 꽃 연작, 쇠 연작도 모두 흙의 다른 얼굴일 뿐”이라며 이번 전시회도 여전히 ‘흙에 부치는 찬가’라고 말한다.
이번 개인전은 봉하마을 사저를 설계한 故 정기용 선생(지난 3월 작고)에 대한 헌정 전시회이기도 하다. 임 화백은 “흙을 사랑한 故 정기용, 신근식 두 분에게 이 전시회를 바친다”며 공공건축에 평생 헌신한 정기용 선생을 기리고 있다 .
전시장은 평창동 가나 아트센터(02-****-1020). 기간은 8월 26일~9월 18일이며 오프닝은 26일 오후 5시다.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696 | 우리 아이들에게 ‘노무현이 꿈꾼 세상’을 보여주십시오 (13) | 2011.08.24 |
695 | [9월 참여자 모집] “‘부끄러운’ 일들이 없어지는 날까지, 끝까지 갑시다” (60) | 2011.08.22 |
694 | 노무현 대통령 탄생 65주년 ‘봉하 음악회’ 자원봉사자 모집 (16) | 2011.08.22 |
693 | “그림으로 노무현 대통령의 향취를 느껴보세요” (10) | 2011.08.19 |
692 | [김대중 대통령 2주기] “김대중 대통령님, 당신은 민주주의입니다” (31) | 2011.08.18 |
691 | [해외회원 봉하캠프를 마치고] 지난 주말 봉하에서 만난 사람들 (22) | 2011.08.18 |
690 | 노란가게 '내 마음속의 대통령' 안희정-이광재 사연 화제 (14) | 2011.08.17 |
689 | 문재인 이사장 등 “통합정당으로 민주진보정부 꼭 세울 것” (35) | 2011.08.17 |
688 | 청년들, 문재인‧도종환‧김제동과 ‘통(通)’하다 (9) | 2011.08.17 |
687 | 노무현 대통령 탄생 65주년 기념 <봉하 음악회> (160) | 2011.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