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20
노무현재단은 참여정부에서 통일외교안보정책을 수행했고, 10.4 남북정상선언을 이끌어낸 주체로서 남북관계에 큰 책임을 느껴왔다.
이에 따라 20일 노무현재단 대회의실에서 이번 김정일 국방위원장 서거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히고자 참여정부 통일외교안보 장·차관 및 청와대 보좌관 긴급간담회를 개최했다.
회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의문 전달
어제 이미 조의를 표했으며, 다음과 같은 조의문을 통일부를 통해 북한에 전달할 예정이다.
<조의문>
김정일 국방위원장이 급서하였다는 소식을 접하여 유가족과 북한 동포들에게 심심한 애도의 뜻을 표합니다.
우리는 김정일 국방위원장과 노무현 대통령이 남북관계의 발전과 평화번영을 위해 10.4 남북정상선언을 발표하던 역사적인 순간을 소중하게 기억하고 있습니다.
비록 정세의 변화와 여러 가지 어려움으로 인해 10.4 남북정상선언이 이행되지 못하고 있으나, 이 선언의 실천을 통해 평화와 공동번영의 한반도를 실현하는 것이 고인의 뜻이라고 생각합니다.
남과 북이 함께 그날을 실현하기를 기원하며 다시 한 번 위로의 말씀을 드립니다.
2011년 12월 20일
노무현재단
2. 조문단 파견
현재 한반도 정세를 안정시키고 남북관계의 미래를 생각하여 정부가 이번 김정일 국방위원장 서거에 대해 조의를 표명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정부 차원의 조문단을 파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데 의견을 모았다. 노무현재단도 조문단을 파견하기로 하였으며, 재단의 협조 요청에 대해 정부가 긍정적으로 검토해줄 것을 기대한다.
3. 정부에 대한 당부
현재의 유동적인 정세에서 남북관계를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정부 당국자들이 북한을 불필요하게 자극하는 언행을 자제해주기 바란다.
※ 참석한 참여정부 인사는 다음과 같다.
청와대 : 문재인 비서실장, 백종천 통일외교안보정책실장, 서주석 통일외교안보정책수석, 류희인 위기관리비서관, 박선원 통일외교안보전략비서관
정부 : 이해찬 국무총리, 정동영·이종석·이재정 통일부 장관, 고영구·김만복 국정원장, 윤광웅 국방부 장관, 이봉조 통일부 차관 및 문성근 국민의 명령 대표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826 | 김정일 국방위원장 급서에 즈음하여 (13) | 2011.12.19 |
825 | 한명숙 전 총리와 함께하는 <통通통統한 북콘서트> 개최 (4) | 2011.12.16 |
824 | 송년 한마당 ‘나눔 벼룩시장’의 깜짝 선물들 (19) | 2011.12.14 |
823 | [검찰개혁 콘서트 ‘The 위대한 검찰’] “위대한 검찰로부터 위태한 대한민국을 구하라” (3) | 2011.12.09 |
822 | [2011년 노무현재단 송년 한마당] 한명숙, 정연주, 문재인, 안희정, 문성근…그리고 여러분! (52) | 2011.12.07 |
821 | [노무현 시민학교 청소년 캠프] “여러분의 자녀에게도 노무현 대통령의 리더십을!” (75) | 2011.12.07 |
820 | ‘The 위대한 검찰’ 서울공연 인터넷 생중계 (4) | 2011.12.06 |
819 | 후원회원 선물 ‘노란수첩’이 12일부터 배송됩니다 (74) | 2011.12.06 |
818 | 노무현 대통령, ‘대학생들이 가장 존경하는 정치인’ 1위 (20) | 2011.12.05 |
817 | 정수장학회는 당장 부산일보에서 손떼라 (9) | 2011.12.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