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12.22
“이런 건 어떻습니까?” - 노무현재단 활성화에 대한 회원 여러분의 다양한 의견들 - 저소득층 아이들을 도울 수 있는 방안, 예를 들어 아이들에게 학습교재를 보내주거나 장학금을 지급하고, 재단에서 운영하는 공부방을 설치하는 것도 좋을 듯하다. 또 각 지역마다 건강한 청소년을 만들기 위한 상담실도 만들었으면 좋겠다. - 노무현 대통령 생가나 묘역 등에 외국인들을 위한 번역해설이나 관련 시설을 갖췄으면 좋겠다. 우리나라뿐 아니라 전세계에 대통령님에 대한 재조명이 필요하다. - 재단 역시 일반 기업과 같이 경쟁력을 지닐 필요가 있다. 지능적인 홍보와 수단이 필요해 보인다. 시민학교도 무조건 가치관만 추구한다면 이미 그 가치관을 충분히 설명해주실 수 있는 학부모들만 자녀들을 시민학교에 보낼 것이다. 따라서 흥미/인기 과목인 피아노, 영어회화, 또는 두뇌 개발 과정 등을 전공자들의 지도하에 최소한의 비용으로 진행했으면 좋겠다. - 노란색으로 대표되는 재단이 일반인들에게 ‘노무현 대통령의 오빠 부대’라는 부정적 이미지를 털어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어느 정도는 시민들의 보편적 일상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직접적인 개입 방안도 연구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시에서 경쟁에 낙오되어 재활과 빈곤탈피가 어려운 가정들에게 지자체와 협력하여 귀농 정착 사업을 전개할 수도 있을 것이다. 내 주변을 둘러보면 빈부 차이와 서민들의 생활고가 너무나 크다. 재단의 발전을 기원하며! - 노무현재단 현실상 인력이 부족하지 않을까 생각한다. 회원들이 자원봉사로 참여할 수 있는 통로가 더 많아지면 좋겠다는 생각이다. 상설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면 어떨까? - 사이트 접속을 많이 하지 않는 편입니다. 젊은 사람들이 쉽게 다가갈 수 있고 관심을 가질 수 있는 재미있는 내용(예 : 4컷만화 )을 많이 실으면 좀 더 접근하기 쉬울 듯합니다.
- 많이 도와드리지 못해 늘 죄송스럽다. 소수의 재단이 아닌 국민의 재단이 되었으면 한다. 대통령님을 사랑하고 그리워하는 모든 국민들이 대통령님의 가치와 철학을 가까이 할 수 있도록 시·군별로 지역위원회나 북카페 같은 것을 운영하면 좋겠다. - 현재 회원들에게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들은 꽤 다양하고 유익하다. 그러나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회원들이 이를 뒷받침하는 양상이 보인다. 이른바 ‘눈팅족’들을 캐내는 유인책이 필요하다. 그런 유인 프로그램은 청소년들 대상으로 개발되길 바란다. 노무현재단 파이팅! - ‘나꼼수’처럼(욕설 빼고) 재미있고 가볍게 참여할 수 있는 행사가 있었으면 한다. - 템플스테이처럼 수도권(근처)에 폐교 등을 임대하여 성인들을 대상으로 노무현 여름학교 설치, 방학기간 영어캠프와 역사 문화체험 등을 함께 버무린 청소년 캠프 운영, 수도권 시민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인 시민교육 프로그램 개발. - 홈페이지는 좀 더 편안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하며, 나이든 사람을 위해서라도 오프라인을 통한 정보교환이 활발했으면 한다. |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836 | [2008년 대통령 신년사] “밝은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그런 나라가 되기를 바랍니다” (43) | 2011.12.28 |
835 | “2011년, 여러분의 참여가 이뤄낸 일들입니다” (6) | 2011.12.28 |
834 | [신영복의 변방을 찾아서] 작은 묘역에 울리는 커다란 함성 ‘사람사는 세상’ (9) | 2011.12.28 |
833 | [1월 바탕화면] 사자바위에서 본 일출과 노무현 대통령 (15) | 2011.12.27 |
832 | 노무현재단이 ‘깨어있는 시민’의 꿈을 응원합니다! (5) | 2011.12.23 |
831 | “3만6천 후원회원 여러분께 물었습니다” (12) | 2011.12.22 |
830 | “조문단 파견 허용 않는 것은 남북관계 미래를 위해 유감” (24) | 2011.12.21 |
829 | [1월 참여자 모집] ‘사람사는 세상’이 조현오와 정치검찰에게 ‘Go(告)’한다! (77) | 2011.12.21 |
828 | 문재인과 한명숙, ‘운명’의 명쾌한 해답을 찾다 (7) | 2011.12.20 |
827 | 참여정부 통일외교안보 인사 간담회 “정부 차원의 조문단 파견 바람직” (28) | 201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