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7.03
지난 5월 29일 노무현재단 후원회원이 4만명을 넘어섰습니다. 2009년 10월 17일 온라인후원시스템을 개통한지 3년 7개월만이었습니다. 수치로는 다 표현할 수 없는, 시민 한분, 한분의 ‘풀뿌리 참여’가 이루어낸 소중한 성과입니다.
2012년 후원금 총액 55억4천만원
회원 여러분들의 후원금은 노무현재단 활동의 굳건한 버팀목입니다. 2012년의 경우 후원금 총액은 55억4천만원이었습니다. 그해 재단의 총수입은 194억6천만원으로, 이 가운데 전기이월금 133억원을 제하면 재단 수입의 대부분이 후원금인 셈입니다. 그렇게 모인 후원금으로 노무현재단이 다양한 사업들을 추진할 수 있었습니다. 2012년 후원금 55억4천만원 가운데 자부담사업 17억원(31%), 재단 자체사업 15억원(27%), 재단운영 11억원(20%) 등 43억원이 쓰였습니다. 이월금은 12억원(22%)으로, 기념관 건립을 위해 적립하고 있습니다.
[자부담사업 지출 비율] [자체사업 지출 비율]
매달 1만원씩 후원하는 후원회원의 예를 들어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 드리겠습니다. 후원회원의 1년 후원금 12만원 가운데 3만7,200원은 노무현시민학교 운영, 노무현장학생 선발, 사료편찬사업, 참여정부 정책연구, 전시회·문화제 행사 등 자부담사업으로 쓰였습니다. 3만2,400원은 추도식 등 각종 추모기념행사, 묘역관리를 비롯한 봉하사업, 지역위원회 사업, 나눔사업, 회원관리 및 홍보 등 재단 자체사업에 쓰였습니다. 인건비, 지역위원회 운영, 사무실 운영 등 재단 운영에 쓰인 금액은 2만4,000원입니다. 기념관 건립을 위해 적립하는 이월금은 2만6,400원입니다.
노무현재단의 주인이 되어주세요
2009년 9월 23일 출범 이후 지금까지 4만여 후원회원들께서 노무현재단을 이끌어주셨습니다. 그에 앞서 2009년 5월 봉하마을을 찾고, 서울광장을 찾고, 수많은 지역의 분향소를 찾았던 500만 추모시민들이 있었습니다. 2002년 12월 노무현을 대통령으로 만들었던 1200만의 선택이 있었습니다. 노무현재단은 그분들과 함께, 더 나아가 대한민국 16대 대통령 기념재단으로서 흔들림 없이 뚜벅뚜벅 걸어가겠습니다.
앞으로도 노무현재단을 이끌고 키워나갈 주인은 후원회원 여러분입니다. 사람 사는 세상을 꿈꾸었던 노무현의 가치와 시민의 힘을 키워나가겠습니다. 더 많은 시민들이 노무현재단의 주인이 되어주시길 바라겠습니다.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1326 | ‘유시민 작가 긴급특강’을 인터넷으로 생중계합니다 | 2013.07.03 |
1325 | [봉하토요강좌⑤] 이해찬 “박 대통령 뜻없이 대화록 공개 못해” | 2013.07.03 |
1324 | 서울 강남권 ‘대모산-구룡산 숲길 트레킹’에 초대합니다 | 2013.07.03 |
1323 | ‘사람 사는 세상’ 사진공모전 마감합니다 | 2013.07.02 |
1322 | 바탕화면 서비스 다시 시작합니다 | 2013.07.01 |
1321 | 작가 유시민의 ‘남북정상회담 대화록’ 해설 | 2013.06.28 |
1320 | “정권 위한 국정원 시대 끝내라”고 했거늘… | 2013.06.28 |
1319 | 이명박 전 대통령은 국민 앞에 석고대죄하라! 박근혜 대통령은 헌정수호의 의지는 있는가 | 2013.06.27 |
1318 | [봉하토요강좌④] 안도현 “노무현은 굉장히 詩的인 분이었다” | 2013.06.26 |
1317 | 여름 봉하토요강좌 표창원-안희정과 함께합니다 | 2013.06.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