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03.22
한국미래발전연구원이 단행본 ‘21세기 한국의 미래구상-도전과 선택’을 펴냈습니다. 미래연의 7번째 신간입니다.
이 책은 거대한 전환의 변곡점에 서있는 한국사회의 중장기적 미래에 대한 담론과 비전을 말하고 있습니다. 성장잠재력 저하, 양극화와 사회적 갈등 심화, 급속한 저출산·고령화, 역사퇴행, 세계질서의 변화 등으로 인해 불안과 불확실성이 갈수록 커지고 있는 한국사회가 어떤 길로 나아가야 할지 내다봅니다.
김수현 전 미래연 원장은 발간사에서 “이럴 때 일수록 새로운 시대를 준비하기 위한 ‘담론’과 ‘미래비전’ 마련이 절실하다.…새로운 담론과 비전을 담은 메타이론(meta-theory)을 지향하며, 개별 정책과제를 넘어선 중장기적인 전략과 비전 마련이 시급하다”고 말합니다.
또,“이 책은 2030년까지를 염두에 두고 우리 사회의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발전의 밑그림을 보여주고 주요 정책과제를 도출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마련되었다" 고 설명합니다.
1부는 국가와 사회의 운영원리인 ‘미래구상’으로, 전환기에 필요한 전략과 비전을 위한 이론적 기반과 철학을 성경륭 한림대 교수와 김창호 전 참여정부 국정홍보처장이 제시합니다.
2부는 새로운 경제와 사회질서를 담은 ‘정책비전’입니다. 임경순 포스텍 교수(과학기술, 교육, 문화), 김형기 경북대 교수(시장경제), 이혜경 연세대 교수(복지국가), 이숙진 서울시 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젠더의제와 양성평등), 정회성 환경과문명 대표(환경친화적 사회경제)가 각 분야별 비전을 보여줍니다.
3부는 세계속의 한국의 위상과 거버넌스 문제를 다룬 ‘국가구상’입니다. 안병진 경희사이버대 교수(국가와 정치의 역할), 이수훈 경남대 교수(글로벌 중견국가와 동북아전략구상), 김기정 연세대 교수(외교전략과 패러다임)가 새로운 시대 국가와 정치의 역할 그리고 우리가 추구해야 할 대외정책을 다루고 있습니다.
'21세기 한국의 미래구상'은 현재 교보문고 등 각 대형서점에서 판매중입니다. 가격 2만원.
※ 미래연을 후원해주시는 회원님들께는 ‘21세기 한국의 미래구상’을 우편으로 발송해드립니다. 주소가 바뀐 분들은 새로운 주소를 미래연 사무실(02-***-7760)로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목 차>
■ 제1부 신진보주의 시대의 미래비전 구상
진보적 민주주의의 비전과 새로운 사회 설계/성경륭 한림대 교수
공동체와 정의, 그리고 민주주의의 재민주화/김창호 전 국정홍보처장
■ 제2부 새로운 경제사회질서 구상
사회발전의 창조적 동력: 과학기술, 교육, 문화/임경순 포스텍 교수
새로운 경제질서: 공생적 시장경제/김형기 경북대 교수
한국 복지자본주의의 길: 사회투자와 참여 복지국가를 향하여/이혜경 연세대 교수
'젠더'의제와 성평등 미래사회/이숙진 서울시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
환경 친화적 사회경제 질서/정회성 (사)환경과문명 대표
■ 제3부 새로운 국가 /한반도/세계질서 구상
국가와 정치의 역할: 시민 네트워크 국가론의 시대/안병진 경희사이버대 교수
글로벌 중견국가와 동북아 전략 구상/이수훈 경남대 교수
한국 외교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글로벌 전략/김기정 연세대 교수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1206 | 노무현재단 첫 자동차, ‘빈들의 수레’ 출발합니다 | 2013.04.01 |
1205 | 민주주의 개혁은 끝이 없다, 정해진 법은 없는 것처럼… | 2013.04.01 |
1204 | “새 사무실 개소식 잘 마쳤습니다” | 2013.03.28 |
1203 | [영보자애원 자봉 후기] “내안에 부는 좋은 변화의 바람” | 2013.03.28 |
1202 | [4월 월례강좌] 인간 노무현의 얼굴, 그리고 ‘그림 속 사람이야기’ | 2013.03.27 |
1201 | 제주4․3항쟁 65주년, 영화 <지슬> 단체관람 | 2013.03.26 |
1200 | 노무현 대통령 서거 4주기 ‘추모시집’에 참여하세요 | 2013.03.26 |
1199 | “나도 한 마리 수리부엉이가 되어…” | 2013.03.26 |
1198 | “개소식에 헌책 가져오시면 새 책 드립니다” | 2013.03.25 |
1197 | 거대한 전환의 시대, 미래 위한 담론과 비전을 말한다 | 2013.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