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home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새소식

노무현의 혁신리더십 "실패하더라도 또 하고 또 하는 것”

2013.04.24

 노무현시민학교가 올해 강좌를 준비하면서 제일 공을 많이 들인 커리큘럼이 있습니다. 바로 <노무현 민주주의 전략론>입니다. 노 대통령의 가치와 철학, 특히 시민참여 민주주의를 심도 있게 배울 수 있는 강좌를 대표 프로그램으로 키워나가자는 취지에서 마련됐습니다.

‘노무현 배우기’ 전문과정 개설

‘깊이 있는 학습과 토론’을 위해 전문과정으로 20명만 모집하기로 했습니다. 노 대통령 정치사상을 연구해 박사학위를 수여받은 이송평 영남대 강사를 강사로 모셨습니다. 그야말로 ‘노무현 연구박사 1호’입니다. 그는 노 대통령과 각별한 인연을 갖고 있습니다.

2000년 노사모에 참여하며 ‘리더-팔로워’ 관계로 첫 인연을 맺었고, 2002년엔 아예 정치학 공부를 시작했습니다. 재임 중은 물론이고 퇴임 후에도 노 대통령을 도왔습니다. 2008년부터는 봉하마을에 상주하며 노 대통령의 민주주의 연구를 도왔습니다. 대통령 서거 뒤에는 노 대통령이 이루지 못한 ‘민주주의 연구’의 꿈을 간접적으로나마 실현해보겠다면서 중단했던 논문을 다시 시작했습니다.

그리고 2010년 ‘노무현의 민주주의 혁신전략’이란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했습니다. 2012년에는 논문을 대중서로 풀어쓴 <노무현의 길>을 펴냈습니다. 논문을 쓴 목적이 학위 취득이 아니라 더 많은 사람들에게 노무현의 사상과 가치를 알리고자 했기 때문입니다.

어렵다? 진부하다?

지금까지 노 대통령 가치 및 사상‧철학 연구에 정진하고 있습니다. ‘노무현 강좌’라면 전국 어디든 달려갑니다. 이번 강좌 개설도 그의 열정이 큰 몫을 했습니다. 그러나 안팎의 반응은 엇갈렸습니다. 노 대통령 철학이나 정책을 제대로 배울 수 있겠 싶은 분들이 있는가 하면, ‘너무 어려운 것 아니냐’‘진부한 주제 아니냐’ 등 고개를 젓는 분들이 있었습니다.

이 시기에, 더욱이 지난해 대선 이후 ‘깨어 있는 시민들’ 다수가 참담함을 벗어나지 못하는 있는데 ‘노무현’ 키워드가 먹혀들겠냐는 것입니다. 잠시 망설이기도 했습니다. 분위기가 좀 나아지면 시작할까 싶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어려울수록 정공법을 택하는 법. 이송평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노무현의 혁신리더십은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는 리더십 ▲‘호시우행’, ‘우공이산’의 리더십 ▲‘담쟁이’의 리더십이라고 했습니다. “실패하더라도 또 하고 또 하는 것”이라며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던 노무현의 혁신정신을 따라보기로 했습니다.

<노무현 민주의 전략론>에서 무엇을 배우는지 궁금한 분들에게 강의노트를 미리 보여드릴까 합니다. 60여 쪽 중 일부를 간추려 소개합니다. 참, 이번 강좌는 노 대통령이 즐겨 보았던 미국 드라마 ‘웨스트 윙’을 비롯해 영화 ‘몰락-히틀러와 제3제국의 종말’, ‘12명의 노한 사람들’ 등 영상교재와 함께 합니다. ※ 현재 신청 가능한 인원은 5명입니다.

■ 노무현 어록(2007년 신년사)으로 본 ‘민주주의 발달 3단계론’

o 민주주의 1단계 과제-반독재투쟁
150년전 우리는 근대화의 흐름을 놓쳐버렸습니다. 그 결과 참혹한 식민지 시대를 겪었습니다. 해방 이후 시대, 우리에게 부여된 역사적 과제는 민족의 통합과 자주독립국가의 건설, 그리고 민주주의와 경제건설입니다. 경제의 건설은 일찍 시작되었으나 민주주의는 여러 차례 좌절하고 독재에 짓밟혔습니다. 독재시대의 과제는 반독재투쟁이었습니다.
o 민주주의 2단계 과제-투명⋅공정사회 구축과 지역구도 통합

1987년 6월 항쟁으로 우리 국민들은 독재정권을 무너뜨렸습니다. 6월 항쟁 이후 시대의 과제는 독재체제에서 구축된 특권과 반칙, 부정과 부패의 유착구조를 해체하고, 권위주의 문화를 청산하고, 투명하고 공정한 사회를 만드는 것입니다. 그리고 독재정권이 만들어 놓은 지역 간의 분열구도를 통합하는 것이었습니다. 저는 이것을 민주주의의 2단계 과제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o 민주주의 3단계 과제-대화와 타협의 민주주의 정착
그 다음 시대의 과제는 관용의 정신을 바탕으로 하는 대화와 타협의 민주주의로 가는 것입니다. 정책을 중심으로 토론과 타협이 일상화되고, 연정, 연합정부가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지는 수준의 민주주의를 하는 것입니다.

노무현 어록(6월항쟁 20주년 기념식 축사)으로 본 ‘민주주의 3단계론’

o 1단계-6⋅10 민주항쟁은 국민이 승리한 역사입니다

o 2단계-6월항쟁은 국가 발전의 전기를 마련했습니다

o 3단계-주권자의 참여가 민주주의의 수준을 결정할 것입니다

노무현 민주주의 전략의 의미

o 노무현 민주주의 전략 개념도

o 노무현 정치 2기(1990~2007)의 민주주의 전략

o 노무현 정치 3기(2008~2009)의 민주주의 전략

- 새로운 민주주의 전략의 의미

• 퇴임한 대통령으로서 한국 민주주의 발전을 위해 구상했던 민주주의 전략

• 민주 시민이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자 하는 역사적 소명에서 비롯된 전략

- 새로운 민주주의 전략의 성격

• 참된 민주주의의 실현, 민주주의 권력이 성공하는 시대를 만들어보자는 전략

• 보수의 나라를 진보의 나라로 보수의 시대를 진보의 시대로 바꿔보자는 전략

- 왜 민주주의 전략론인가?

“국민의 생각을 바꿔나가는 일을 해보려는 것”

“보수주의는 민주주의 국가의 정책이 아니다. 극단적으로 말하면 이 말을 하려는 것”

“역사가 돈의 편이 아니라 사람의 편으로 가고 있다는 믿음을 가지고 이 길을 가는 것”

“(맨 나중에 쓸 책은) 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한 전략론”

“민주주의 전략론에 담길 내용은...”

■ ‘노무현의 민주주의 혁신전략’의 이해

o 민주주의 전략과 민주주의 혁신전략

- 민주주의 전략이 정치적 인생 매 시기마다 나타나는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노력을 일반적으로 칭하는 것이라면, 민주주의 혁신전략은 대통령이라는 특수한 자격으로 수행하고자 했던 민주주의 발전을 위한 구체적 노력을 칭하는 것

- 대통령 퇴임 후 구상했던 새로운 민주주의 전략과의 차이는 민주주의 혁신전략은 대통령을 실천 주체로 한 전략인 반면, 새로운 민주주의 전략은 전체 시민을 실천 주체로 한 전략이라는 점

o 목표로서의 혁신과 방법으로서의 혁신

- 노무현은 대통령 재임시절 유독 ‘혁신’을 강조했는데, 이 ‘혁신’은 ‘목표로서의 혁신’과 ‘방법으로서의 혁신’으로 나누어 생각할 필요가 있음

- 목표로서의 혁신은 변혁적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진보주의적 성격의 운동이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방법으로서의 혁신은 특정 이념에 치우치지 않는 가치중립적 성격의 ‘Innovation’으로 해석할 수 있음

o 민주주의 혁신전략의 목표와 과제

구분

민주주의 혁신전략 목표

민주주의 혁신전략 과제

국가

특권과 반칙의 청산

신뢰받는 국가 구현

권위주의 유산 청산

정부혁신을 통한 국가신뢰도 증진

정치사회

특권과 반칙의 청산

국민통합의 정치 구현

정당 민주주의 실현

지역주의 정치구도 극복

시민사회

특권과 반칙의 청산

상식이 통하는 사회 구현

사회 권력에 대한 민주적 통제 강화

시민주권 확립과 계층간 세력균형 도모

o 노무현의 민주주의 전략의 의의

- 노무현의 민주주의 전략의 가치 : 한국 민주주의 공고화를 목표로 한 체계적(이론적⋅실천적) 전략. 한국사회(국가-정치사회-시민사회) 전체를 망라한 세부적인 전략

- 역사발전에 대한 긍정적 인식 확산 : 노무현의 민주주의 전략은 우공이산(愚公移山)의 신념에서 비롯된 것

“(87년 이후는) 민주세력이 개혁을 주도해 왔던 시기” 한국의 민주주의와 경제발전 속도는 전 세계 사람들이 경의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습니다. 제가 비행기를 타고 외국에 가서 외국의 지도자들을 만나면 저도 모르게 목에 힘이 들어갑니다. 그만큼 우리 한국의 민주주의와 경제가 칭송을 받고 있는데, 왜 우리 한국의 민주세력이 무능하다고 하는 것인지. 이것이 다 87년 이전에 이루어진 것이냐, 민주주의라는 관점에서 이것은 더 말할 필요가 없는 것입니다. 경제에 있어서도 성장률, 수출, 물가, 실업률, 이 세 지표를 가지고 87년 이전과 87년 이후를 비교해 보자는 것이지요. 87년 이후 노태우 정부 시절은 그건 노태우 정부지 않냐? 노태우 대통령 시절은 민주세력이 개혁을 주도했던 시기입니다. 정권은 놓쳤지만 그 시기 개혁은 민주세력이 주도해 왔던 시기라고 말할 수 있습니다.

이전 글 다음 글 목록

등록
13 page처음 페이지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