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9.10.05
그의 영전에 ‘희망의 노래’를 헌사하다
이날 연습할 곡은 70년대를 풍미했던 한대수씨의 노래 ‘행복의 나라로’. 젊은 시절 잘 알던 노래이지만 가사도 다 까먹은 상태입니다. 악보를 들고 첫 시도를 해 봅니다. 첫 호흡은, 말 그대로 불협화음입니다.
연출자가 혼성합창을 몇 번씩 반복시키면서 소절별로, 개인별로 거의 ‘지도’를 합니다. 취재진이 지켜보는 가운데, 기자들이 자리를 비켜준 가운데, 거의 두 시간여 십 수번을 반복해 연습이 이뤄집니다.
중간에 잠깐 쉬는 시간입니다. 그런데 아무도 쉬지 않고 ‘자율연습’까지 합니다. 마지막 연습에선 연출자의 박수까지 받습니다. 합창 중간에 들어갈 하모니카 반주를 맡은 한 멤버는 학교 졸업 이후 처음으로 하모니카를 다시 잡았다고 하는데, 앞으로 며칠간 글 쓰는 일을 유보하고 연습에 전념하겠다고 합니다.
이번 공연에 어떻게 참여하게 됐는지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대부분 이런 대답을 합니다.
“노무현 대통령을 위해, 노무현 재단을 위해, 할 수 있는 일은 다하고 싶다.”
대통령 서거 이후 미디어에 비친 그들의 얼굴은 충격과 슬픔과 비통함을 이기지 못하고 눈물 흘리는 모습입니다. 이제 슬픔을 이기고 대통령 영전에 희망의 노래를 헌사하려 합니다.
9일 공연에서 이들이 얼마나 잘 할 수 있을지는 아직 알 수 없는 일입니다. 그러나 틀림없는 건 할 수 있는 최선을 다할 것이란 점입니다.
참, 그들의 이름은 이재정 전 통일부장관, 정연주 전 KBS사장, 장하진 전 여성부 장관, 배우 문성근씨, 유시민 전 보건복지부 장관, 전 청와대 홍보수석 조기숙 교수입니다.
그리고 이들의 무대는 9일 저녁 7시30분, 성공회대학교입니다.
[관련 글] 명사6인 밴드를 만들다-유시민·정연주 등 프로젝트밴드, 노래로 ‘입맞춤’
※ 이번 공연은 경향신문, 한겨레신문, 오마이뉴스, 프레시안, 서프라이즈, 시사인이 후원합니다.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116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창립 경과 (75) | 2009.09.23 |
115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임원 명단 (2012년 8월 9일 기준) (137) | 2009.09.23 |
114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사업계획 (36) | 2009.09.23 |
113 | '사람사는세상 노무현재단’ 창립선언문 (26) | 2009.09.23 |
112 | ‘노무현재단’이 공식 출범했습니다 (151) | 2009.09.23 |
111 | 노무현재단의 로고가 확정되었습니다 (154) | 2009.09.23 |
110 | 노무현재단의 배너를 달아주세요! (161) | 2009.09.23 |
109 | 미리 가본 노무현 대통령 복원 생가 (77) | 2009.09.22 |
108 | '노무현재단''봉하재단' 출범기금 마련을 위한 명계남의 추모글씨 전시 판매 (41) | 2009.09.21 |
107 | [보도자료] 노무현 대통령 생가 복원식 개최 (95) | 2009.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