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home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새소식

[민주정부가 낫다⑧] 새누리당이 흥청망청 늘려놓은 나라빚, 또 경제 망쳐놓을 셈인가요?

2012.10.17

* 국가채무는 주로 중앙정부가 진 부채로, 국민이 낸 세금으로 갚아야 할 빚입니다. 국가채무가 커지면 이자도 더 많이 물어야 하기 때문에 국민 부담은 그만큼 커집니다.

 

YS정부가 국가부도사태를 일으킨 1997년 국가채무 60조원
공적자금 풀어 경제를 되살린 국민의 정부 임기말 국가채무 134조원
참여정부 임기말 국가채무 299조원
MB정부 임기말 국가채무 예상치 446조원

 

민주정부 시절에도 국가채무가 많이 늘었습니다. 
왜 많이 늘었을까?
이유가 있습니다.

 

YS정부가 외환위기로 망쳐놓은 경제를 살려내기 위해
국민의 정부는 공적자금을 투입하느라 빚을 늘렸고,
참여정부 때에는 이 공적자금이 국채로 전환되어 빚이 늘었습니다.
나라경제를 거덜낸 보수정권 때문에 떠안은
그야말로 ‘불가피한 빚’이었습니다.

 

MB정부 5년, 역시 국가채무가 크게 늘었습니다.
역시 이유가 있습니다.
인위적 경기부양, 4대강사업 같은 삽질 국책사업, 부자감세까지 하느라
국가부채가 대폭 늘었습니다.

 

* 국가부채에는 ‘금융성 채무’와 ‘적자성 채무’가 있습니다. ‘금융성 채무’는 외환이나 융자금 등 자체 상황재원을 보유한 채무이고, ‘적자성 채무’는 국민세금 등 실질적 국민부담을 재원으로 갚아야 할 채무입니다.

 

전체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율은
국민의 정부 임기말인 2002년 32%
참여정부 임기말인 2007년 42%에서
MB정부 임기말인 2012년 무려 50%에 이를 전망
MB정부 들어서 ‘악성 빚’이 자꾸 늘고 있습니다.   

 

또 있습니다.

공기업 부채 2011년 330조원으로 4년만에 2배 급증
공기업 부채비율은 2007년 101%에서 2011년 190%로 위험수위

 

지방정부 부채 2010년 29조원으로 3년만에 10조원 증가
2009년엔 전년대비 34%, 2010년엔 14%씩 폭증해 파산위기
월급도 주지 못하는 지방정부 속출

 

MB정부 들어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기업까지
온통 빚더미에 올라앉고 있습니다.

 

WEF의 재정건전성(정부부채) 순위
2005년 11위에서
2010년 58위로 폭락

 

민주정부가 힘겹게 살려놓은 나라경제,
MB정부와 새누리당이
또다시 흥청망청 빚으로 망쳐놓을 셈인가요?

 

■ 자세히 보기

국가채무 분석에는 총량보다는 성격이 중요..MB정부 빚은 ‘악성채무’

국가부채는 적자성 채무와 금융성 채무로 나누어집니다. 적자성 채무는 향후 조세 등 실질적 국민부담을 재원으로 조달해 상환해야할 채무고, 금융성 채무는 외환, 융자금 등 자체상환재원(대응자산)을 보유한 채무입니다. 이명박 정부 들어 가파르게 증가한 적자성 채무는 2011년에 전체 국가채무 420.5조원 가운데 적자성 채무가 50% 정도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참여정부 시절 적자성 국가채무 순증가 규모는 연평균 6조3천억 원 정도였으나, MB정부 집권이후 2009년 한 해에만 적자성 국가채무는 35조원 이상 증가했습니다. 2011년까지 총 적자성 국가채무는 200조원을 초과한 상태입니다. 문제는 MB정부가 빌려다 쓴 적자성 부채가 정부의 이자부담으로 온다는 것이고 이는 국민의 세금을 통해 충당할 수밖에 없다는 점이죠. MB정부는 대규모 국책사업, 금융위기 극복 등 재정소요는 많은데 반해 감세조치까지 단행했으니, 적자성 국가부채 급증은 당연한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공기업 채무와 지방정부 부채까지 합치면 MB정부 국가채무 상상 초월

공식적인 국가채무에 포함되지 않은 공기업 채무와 공공기관 빚, 지방정부 부채까지 합치면 MB정부의 국가채무는 상상을 초월한다는 점도 우려스러운 대목입니다. 이들 채무까지 더하면 MB정부 국가채무는 기존 통계보다 100조원 이상 증가한다는 전망까지 나옵니다. 물론 정부투자기관인 공기업을 수익성만으로 따지는 것은 문제가 있습니다. 하지만 4대강 사업과 같이 정권의 입맛에 따라 대책 없는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다 늘어난 부채는 심각한 문제가 있습니다. 이렇게 늘어난 부채는 공공주택의 분양원가 상승과 전기요금 등 공공요금 상승의 원인이 되어 결국 국민이 그 부담을 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MB정부 집권 이후 점차 심화되고 있는 지방정부 부채도 심각하게 바라봐야 합니다. MB정부 이후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상황은 무분별한 예산집행과 부자감세, 경기침체도 인한 지방세수 감소 등으로 인해 최악의 상황에 직면해 있습니다. 일부 단체장들은 호화청사 건립, 경전철 등 수익성 없는 대형사업 등으로 재정을 악화시켰고, 때문에 일부 지방자치단체는 공무원 급여를 주지 못하는 상황까지 나왔습니다. 특히 서울의 경우에는 오세훈 시장 시절인 2009년 전년대비 2배 가까운 부채가 늘어났습니다.

참여정부의 국가채무와 MB정부의 국가채무는 ‘질적으로’ 다르다 

참여정부와 MB정부의 국가채무는 ‘질적으로’ 다르다는 점도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 참여정부의 국가채무는 외환위기 극복과 외환시장 안정, 서민 주거안정을 위한 재원소요 등으로 인한 증가가 대부분입니다. 특히 참여정부 기간 중인 2003~06년에는, 외환위기의 공적자금이 국채로 전환됨에 따라 불가피하게 국채 잔액 규모가 급증했습니다. 당시 한나라당과 수구언론 조중동은 국채의 증가로 나라가 파산날 것처럼 주장했지만, 막상 국채증가의 대부분은 한나라당 집권당시 외환위기로 인한 공적자금이 국채로 전환되면서 발생한 것입니다.

이전 글 다음 글 목록

등록
1 page처음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