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0.17
* 국가채무는 주로 중앙정부가 진 부채로, 국민이 낸 세금으로 갚아야 할 빚입니다. 국가채무가 커지면 이자도 더 많이 물어야 하기 때문에 국민 부담은 그만큼 커집니다.
YS정부가 국가부도사태를 일으킨 1997년 국가채무 60조원
공적자금 풀어 경제를 되살린 국민의 정부 임기말 국가채무 134조원
참여정부 임기말 국가채무 299조원
MB정부 임기말 국가채무 예상치 446조원
민주정부 시절에도 국가채무가 많이 늘었습니다.
왜 많이 늘었을까?
이유가 있습니다.
YS정부가 외환위기로 망쳐놓은 경제를 살려내기 위해
국민의 정부는 공적자금을 투입하느라 빚을 늘렸고,
참여정부 때에는 이 공적자금이 국채로 전환되어 빚이 늘었습니다.
나라경제를 거덜낸 보수정권 때문에 떠안은
그야말로 ‘불가피한 빚’이었습니다.
MB정부 5년, 역시 국가채무가 크게 늘었습니다.
역시 이유가 있습니다.
인위적 경기부양, 4대강사업 같은 삽질 국책사업, 부자감세까지 하느라
국가부채가 대폭 늘었습니다.
* 국가부채에는 ‘금융성 채무’와 ‘적자성 채무’가 있습니다. ‘금융성 채무’는 외환이나 융자금 등 자체 상황재원을 보유한 채무이고, ‘적자성 채무’는 국민세금 등 실질적 국민부담을 재원으로 갚아야 할 채무입니다.
전체 국가채무에서 ‘적자성 채무’가 차지하는 비율은
국민의 정부 임기말인 2002년 32%
참여정부 임기말인 2007년 42%에서
MB정부 임기말인 2012년 무려 50%에 이를 전망
MB정부 들어서 ‘악성 빚’이 자꾸 늘고 있습니다.
또 있습니다.
공기업 부채 2011년 330조원으로 4년만에 2배 급증
공기업 부채비율은 2007년 101%에서 2011년 190%로 위험수위
지방정부 부채 2010년 29조원으로 3년만에 10조원 증가
2009년엔 전년대비 34%, 2010년엔 14%씩 폭증해 파산위기
월급도 주지 못하는 지방정부 속출
MB정부 들어
중앙정부, 지방정부, 공기업까지
온통 빚더미에 올라앉고 있습니다.
WEF의 재정건전성(정부부채) 순위
2005년 11위에서
2010년 58위로 폭락
민주정부가 힘겹게 살려놓은 나라경제,
MB정부와 새누리당이
또다시 흥청망청 빚으로 망쳐놓을 셈인가요?
|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1346 | 사진공모전 7월17일 1차 심사작 공개 및 온라인투표 | 2013.07.15 |
1345 | 노무현 대통령은 NLL을 지켰다 | 2013.07.14 |
1344 | NLL 허위날조 앞장선 국정원, 부끄러운 줄 알라 | 2013.07.11 |
1343 | [논평] 정문헌 의원의 파렴치의 끝은 어디인가 | 2013.07.11 |
1342 | [2차접수중] ‘봉하버스’ 타고 토요강좌 들으러 봉하 함께가요!! | 2013.07.10 |
1341 | 날은 더운데 마음은 따뜻해지는 신기한 체험! | 2013.07.10 |
1340 | [다큐멘터리 현대사③] 지옥에서 만들어낸 기적 같은 봄날의 이야기 | 2013.07.10 |
1339 | [부모리더십 봉하캠프] 부모 자식 사이에도 리더십은 필요하다 | 2013.07.10 |
1338 | 네 번째 ‘사랑듬뿍나눔’ 행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2013.07.10 |
1337 | “시원상큼” 장군차 같은 두 번째 만남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