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대통령 공식홈페이지 사람사는 세상

Home LOGIN JOIN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 노무현광장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 뉴스브리핑
  • 사람세상칼럼
  • 추천글
  • 인터뷰
  • 북리뷰
  • 특별기획

home > 사람세상소식 > 새소식

새소식

[민주정부가 낫다⑪] 언론자유 ‘활짝’ 민주정부 vs 보수정부, 탄압하고 정권유지 도구로

2012.10.30

 

1.‘국경 없는 기자회’(RSF)가 밝힌 언론자유지수

 참여정부 첫해 2003년 49위에서
→ 2006년 31위 등 30위권으로 계속 상향

“한국은 이제 어떠한 제약도 없는 아시아에서 가장 민주화된 국가들 가운데 하나로, 한국 신문의 사설들은 일상적으로 대통령을 정신병자로 칭한다.”(2007.6.7. 인터네셔널헤럴드트리뷴, IHT)

MB정부 첫해 2008년 47위로 떨어지고
→ 2009년엔 69위까지 폭락,

이는 레바논(61위), 탄자니아, 세르비아 (62위) 불가리아(68위) 보다 낮고
부탄(70위) 브라질(71위) 보다 조금 높은 수준.

→ 2011년에 44위로 ‘다소 만회’
(‘다소 만회’된 이유에 대해 기자협회보는 “MB정부 초기 언론인 체포와 구속이 중단됐기 때문”이라고 해석)

 

2.‘프리덤하우스’가 밝힌 언론자유지수는, 

2006년 31위에서
→ 2009년 66위
→ 2010년 67위
→ 2011년 70위
하염없이 추락

2011년 ‘프리덤하우스’는 ‘언론자유보고서’에서
“한국을 ‘언론자유국’(free)에서 ‘부분적 언론자유국’(partly free)으로 강등”

* 국경 없는 기자회(Reporters sans frontières): 언론의 자유를 증진할 목적으로 1985년 프랑스의 전 라디오 기자 로베르 메나르에 의해 파리에서 조직된 국제적인 비정부 기구. 전 세계에서 언론 자유 증진 및 언론 상황 감시 활동 등을 펼치고 있다.(위키백과)
* 프리덤하우스(Freedom House): 1941년 미국에서 설립된 국제인권감시단체로 매년 언론자유지수를 발표한다. 

■ 자세히 보기

독재권력에 탄압받고 야합하던 언론, 민주정부 들어 자유 만끽

과거 박정희·전두환 군사독재정권이나 YS정부 시절까지도 정권이 언론에 재갈을 물리거나 압력을 넣어 언론자유를 말살·침해했던 사실은 부끄러운 우리의 역사입니다. 보수정권들은 하나같이 언론자유를 억누르고 침해하고 이를 통해 권력을 유지해왔습니다.

하지만 국민의 정부와 참여정부 시절 언론은 그야말로 자유를 누렸습니다. 특히 노무현 정부에서의 언론은 그 어느 때보다 더 많은 언론자유를 보장받았습니다. 단 한 번도 대통령 권력, 청와대 권력, 정부권력이 언론에 불법·부당한 압력을 행사한 적이 없습니다. 끊임없는 악의적 왜곡기사에도 불구하고 과거와 같이 협박이나 압력, 회유의 방식으로 정정요청을 하지도 않았습니다. 공영방송인 KBS의 정연주 전 사장은 “임기중 한번도 대통령으로부터 전화를 받은 적이 없다”고 고백할 정도였습니다.

우리나라의 언론자유는 노무현 정부 때 가장 활짝 피었고, 언론과 기자들은 참여정부 시절 가장 많은 자유를 누렸습니다. 언론 자유는 민주주의를 유지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자, 그 자체가 민주주의 수준을 가늠하는 척도입니다. 노무현 대통령은 민주주의를 가장 소중한 가치로 여겼고, 참여정부는 민주주의를 실현한 정부였기에 언론자유의 만개(滿開)가 가능했습니다. 그러나 이런 언론자유가 주어지자 보수·수구언론과 일부 무책임한 언론들은 노무현 대통령과 참여정부를 왜곡·허위보도로 악의적으로 공격했습니다.

 

MB 정부와 검찰, 소송·낙하산 인사 등으로 언론에 재갈 물려

이명박 정부는 검찰권력을 이용하여 미네르바 사건, MBC PD수첩 등의 표현과 언론의 자유를 크게 제약하였습니다. 비록 무죄판결이 나긴 했지만, 표현과 언론의 자유는 크게 위축될 수 밖에 없었습니다.

다른한편으로는 이명박대통령 후보시절 언론특보들을 공공언론기관에 낙하산으로 투입하고, 비판적 언론인에 대한 강제 퇴출과 지방전보발령 등 보복인사가 자행되고 있습니다.

‘국경없는 기자회’(RSF)는 2009년 한국의 언론지수를 평가대상 국가 175개국 가운데 69위로 발표, 2007년에 비해 30단계 추락했다고 밝혔습니다. ‘프리덤하우스’에서 조사한 2011년 언론자유 평가에서도 한국은 ‘자유국’(free)에서 ‘부분적 언론자유국’(partly free)으로 강등되는 부끄러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언론과 권력은 ‘건전한 긴장관계’ 유지해야

언론은 권력을 감시·견제하고, 정부는 잘못된 정보의 전달이나 왜곡에 대해서 바로잡을 것을 요구하는 것이 지극히 정상적인 관계입니다. 만약에 언론이 여론 형성과 사회적 영향력을 매개로 권력과 밀착하게 된다면 여론은 왜곡되고,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가게 됩니다. 그래서, 언론과 권력은 건전한 긴장관계를 유지해야합니다. 참여정부 시절, 노무현 대통령은 ‘언론과 싸운 것’이 아니라, 이처럼 ‘건전한 긴장관계’를 유지하고자 노력했습니다.

이전 글 다음 글 목록

등록
1 page처음 페이지 1 2 3 4 5 6 7 8 9 1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