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2.11.02
경제민주화가 올해 대선 최대 이슈로 떠올랐습니다.
한국경제의 중요한 해결과제이기 때문입니다.
대기업의 경제력 집중을 완화하고 대-중소기업 상생이 없으면
우리 경제의 지속가능한 성장은 불가능합니다.
박정희 군사독재시절부터 MB정부까지
보수정권과 재벌대기업이 맺어온 수십년간의 어두운 ‘정경유착’이
경제력 집중을 심화시켜왔습니다.
민주정부는 보수정권의 음습하고 오래된 ‘정경유착’의 고리를 끊고
경제력집중 억제, 투명하고 공정한 시장, 대중소기업 상생을 위해
여러 제도변화와 정책들을 만들어갔습니다.
외환위기 이후 불어닥친 신자유주의 강풍속에서
경제와 산업의 양극화를 완전히 해소하지는 못했지만
지속가능한 경제를 위한 ‘공정·투명·상생’의 가치를 담은
경제의 새로운 패러다임과 틀을 만들어갔습니다.
그러나 한나라당(지금의 새누리당)과 MB정부 들어서
낡은 경제 패러다임과 신자유주의적 정책이 되살아나면서
경제력 집중은 훨씬 더 심화되었습니다.
▲10대기업의 계열사수
참여정부 2007년 426개
→ MB정부 2010년 무려 581개로 급증
▲10대기업 자산 증가율
참여정부 2007년 13%에서
→ MB정부 2010년 18.4로 급증
▲10대기업 매출 증가율은
참여정부 2007년 5.7%에서
→ MB정부 2010년 20%로 폭증
▲10대 기업의 GDP대비 매출액 비중
참여정부 2007년 35.5%
→ MB정부 2010년 64%로 2배 가까이 급증
(* 4대 기업의 GDP대비 매출 비중은 참여정부 시절은 40%이하에서 MB정부 들어 2008년 46% →2009년 47% →2010년 51%로 계속 증가)
▲10대 기업의 GDP대비 자산비중
참여정부 2007년 35.6%
→ MB정부 2010년 70%로 2배 급증
▲10대 기업의 GDP대비 순이익 비중도
참여정부 2007년 3.4%에서
→ MB정부 2010년 5%로 급증
한나라당-MB정부 들어 더욱 심화된 경제력 집중은
①대기업 규제완화 ②대기업 법인세 감세 ③대기업 위한 고환율유지 등
이른바 ‘3대 親대기업 정책’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정경유착 등 낡은 경제관으로 경제력 집중을 심화시킨 보수정부들
정경유착을 끊고 ‘공정·투명·상생’을 중시한 민주정부
지속가능한 한국경제를 만드는데 누가 더 적임자입니까?
|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1346 | 사진공모전 7월17일 1차 심사작 공개 및 온라인투표 | 2013.07.15 |
1345 | 노무현 대통령은 NLL을 지켰다 | 2013.07.14 |
1344 | NLL 허위날조 앞장선 국정원, 부끄러운 줄 알라 | 2013.07.11 |
1343 | [논평] 정문헌 의원의 파렴치의 끝은 어디인가 | 2013.07.11 |
1342 | [2차접수중] ‘봉하버스’ 타고 토요강좌 들으러 봉하 함께가요!! | 2013.07.10 |
1341 | 날은 더운데 마음은 따뜻해지는 신기한 체험! | 2013.07.10 |
1340 | [다큐멘터리 현대사③] 지옥에서 만들어낸 기적 같은 봄날의 이야기 | 2013.07.10 |
1339 | [부모리더십 봉하캠프] 부모 자식 사이에도 리더십은 필요하다 | 2013.07.10 |
1338 | 네 번째 ‘사랑듬뿍나눔’ 행사에 여러분을 초대합니다 | 2013.07.10 |
1337 | “시원상큼” 장군차 같은 두 번째 만남 | 2013.07.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