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8.16
‘흙과 땅’의 임옥상, 故 정기용 선생 헌정 전시회 연다
- 8년 만의 개인전...평** 가나 아트센터(8월 26일~9월 18일)
임옥상 화백이 8년 만에 개인전을 연다.
한국전쟁이 발발했던 1950년에 태어난 그는 익히 알려진 대로 80~90년대 민중미술의 산증인으로 분단과 독재를 아파하다 저항과 고발로서의 미술을 택했다. ‘흙’과 ‘땅’은 임 화백의 미술을 대표하는 소재로 봉하마을 추모전시관에 있는 황토빛 ‘대지의 아들 노무현’도 그의 작품이다.
임 화백은 지난 십수 년을 ‘벽 없는 미술관 운동’, 즉 공공미술에 매달렸다. 그는 이번 개인전을 “8년 만의 외출”이라며 “눈부시다”라는 말로 극한의 설렘을 표현했다.
임 화백은 서 있고, 살고 있는 땅과 대지를 그리는 것으로 ‘땅’으로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그러나 땅을 그리면 그릴수록 땅이 그리웠다. “흙을 씹고 핥고 먹어 보고 싶었다”다는 말에 그 절절함이 묻어 나온다. 유화로는 땅을 더 이상 그릴 수가 없어 논과 밭으로 들어가 흙을 만지고 맨발 맨손, 온몸으로 끌어안았다.
이번 전시회의 화두는 물, 불, 쇠, 살, 흙이다. 이것들은 작품에 직접 사용한 재료이기도 하다. 그러나 임 화백은 “물, 불, 쇠, 살, 모두 흙으로 수렴된다. 또 그것들은 서로에게 맞물린다. 독립적이면서도 각각 서로를 내포한다. 꽃 연작, 쇠 연작도 모두 흙의 다른 얼굴일 뿐”이라며 이번 전시회도 여전히 ‘흙에 부치는 찬가’라고 말한다.
이번 개인전은 봉하마을 사저를 설계한 故 정기용 선생(지난 3월 작고)에 대한 헌정 전시회이기도 하다. 임 화백은 “흙을 사랑한 故 정기용, 신근식 두 분에게 이 전시회를 바친다”며 공공건축에 평생 헌신한 정기용 선생을 기리고 있다 .
전시장은 평창동 가나 아트센터(02-****-1020). 기간은 8월 26일~9월 18일이며 오프닝은 26일 오후 5시다.
![]() |
![]() |
![]() |
---|---|---|
공지 | 검찰의 수사결과 발표에 대하여 (656) | 2009.06.12 |
공지 | [전문] 대통령님이 마지막으로 남기신 말씀 (1717) | 2009.05.27 |
836 | [2008년 대통령 신년사] “밝은 희망을 가질 수 있는 그런 나라가 되기를 바랍니다” (43) | 2011.12.28 |
835 | “2011년, 여러분의 참여가 이뤄낸 일들입니다” (6) | 2011.12.28 |
834 | [신영복의 변방을 찾아서] 작은 묘역에 울리는 커다란 함성 ‘사람사는 세상’ (9) | 2011.12.28 |
833 | [1월 바탕화면] 사자바위에서 본 일출과 노무현 대통령 (15) | 2011.12.27 |
832 | 노무현재단이 ‘깨어있는 시민’의 꿈을 응원합니다! (5) | 2011.12.23 |
831 | “3만6천 후원회원 여러분께 물었습니다” (12) | 2011.12.22 |
830 | “조문단 파견 허용 않는 것은 남북관계 미래를 위해 유감” (24) | 2011.12.21 |
829 | [1월 참여자 모집] ‘사람사는 세상’이 조현오와 정치검찰에게 ‘Go(告)’한다! (77) | 2011.12.21 |
828 | 문재인과 한명숙, ‘운명’의 명쾌한 해답을 찾다 (7) | 2011.12.20 |
827 | 참여정부 통일외교안보 인사 간담회 “정부 차원의 조문단 파견 바람직” (28) | 2011.12.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