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8/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8/thumb/

home > 사진·영상 > 참여갤러리

참여갤러리여러분들의 사진과 영상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불타죽는 스님의 생생한 모습 생중계 영상

chunrianote 조회 2,409추천 92008.08.21

【8.27_100만】범불교도대회_파사현정의 깃발을 들자

  • ---------------------------------------------------------------------------------조계종 총무원장 지관스님 "범불교도대회, 끝 아닌 시작"

       ‥· “시비 가리는 것이 종교 역할”

    불교계 '50만 동원령'...지관스님, 이차돈 순교까지 거론

       ‥· 소극적 태도 보이면 늘 밀리고 짓밟힐 것 

    ---------------------------------------------------------------------------------

     이차돈의 순교와 소신공양의 정신이 오늘의 우리에게 전하는 메시지는

      굴종에 대한 거부요!

      불의에 대한 저항이며

      파사현정의 굳건한 실천의지입니다.

    -----------------------------------------------------------------------.........-----


     아래 영상은 지난번에 올린 글 (http://bbs1.agora.media.daum.net/gaia/do/debate/read?bbsId=D003&articleId=1852558) 에 실린 사진의 의도를 곡해하는 사람들이 있었고, 또 많은 분들이 틱쾅둑 스님에 대해 알고 싶다는 의견이 있어 망설이다가 올립니다. 열린 마음으로 당시 베트남의 상황, 그리고 스님의 정신, 소신공양의 의미를 되새겨 보았으면 합니다.
     
    ---------------------------------------------------------------------------------

    2mb여, 불교의 저항정신은 이런거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1963년 6월 11일 '베트남 전쟁'과 '정부의 종교탄압'에 항거하여

    사이공 도심에서 소신공양중인 틱광둑 스님.


    나무 석가모나불! 나무 석가모나불! 나무 시아본사 석가모나불!



    1963년 6월 11일
    베트남 전쟁과 독재정권의 불교 탄압에 반대하여 소신공양을 한 베트남 고승..

     Thich Quan Duc(틱쾅둑) 스님

    1945년 일본의 패망 직전에 일본이 세웠던‘바오다이정부’를 몰아낸 호치민은 8월 혁명을 성공시켰고, 이에 따라 베트남에는‘베트남 민주공화국(Democratic Republic of Vertnam : DRV)'이 성립된다.
    헌데, 세계2차대전 종전 후, 프랑스가(20세기 초) 자국의 식민지였던 베트남의 종주권을 다시 확보하기 위해 1946년 베트남을 쳐들어간다.

    프랑스는 베트남의 절반이라도 차지하기 위해서 프랑스에 망명 있던 구엔 왕조 최후의 왕인 바오다이를 불러들여 1949년 남베트남의 사이공에 ‘프랑스 연방내의 베트남 왕국’을 수립시킨다.
    그러나 1954년 5월에 디엔비엔푸 전투에서 프랑스군이 패배함으로써, 프랑스는 1954년 7월에 제네바 휴전협정을 맺고 8년 전쟁만에 물러나게 된다.

    이 對프랑스 전쟁의 결과로 17도선 이북에는 호치민 공산정권이, 남 에는‘고딘디엠 정권’이 각각 수립되었다.
    호치민은 우리나라의 大학자 다산 정약용의 '목민심서'를 즐겨읽던 사회주의자였다.
    반면,고딘디엠 정권은 보는 바와 같이 열강이었던 프랑스의 자리를 꿰어찬 '독재정권'이었다.

    위 스님의 이름은 틱쾅둑(Thich Quang Duc)이다.
    스님은 고딘디엠 정권 당시 (1963년 6월) 배트남 전쟁과 반불교정책 독재정권에 항거하는 행동으로 소신공양(분신)을 한 것이다.
    동남아시아 국가 중에서 베트남에만 대승불교가 있는데, 베트남 불교는 개개인의 구도에만 전념하지 않고 대승적인 참여의 개념이 강하여, 베트남의 대표적 종교인 불교는 대중적 신뢰와 지지를 바탕으로 승려들이 소신공양(분신)을 하는 등 반정부 시위를 주도하기도 한다.

    이후 같은 해 대승불교의 교리와 종교적 탄압에 저항하기 위한 스님들의 소신공양이 이어졌고 디엠 정권에 불만을 가졌던 시민, 승려들, 학생들과 심지어는 공무원들까지 가담하여 4개 도시에서 큰 시위를 일으키게 된다. 이후 당시 현장은 말콤 브라운 이란 사진 작가에 의해 촬영되었고 그가 찍은 사진으로 미국사회는 큰 혼란에 빠지고 베트남 정책에 대한 비판여론이 커지면서 전세계적으로 반미 감정이 커지자 미국 정부는 국내외적인 여론의 압력에 의해 디엠정권의 남베트남에 대한 지원을 중단한다. 이후 디엠정권에 매수되었던 베트남의 미대사를 송환하고 새로운 대사를 보내 베트남의 정권의 실체에 대한 조사를 하였고, 군부 쿠테타를 통해 디엠 정권을 몰락시켜 버렸다.

    틱쾅둑(Thich Quang Duc)스님의 분신은 명상화 과정에서 아무런 고통의 동요도 없이 이루어진 분신으로 유일하게 기록된 것으로 유명하며 베트남 역사의 가장 큰 상징적 사건이자 현대 민주화 역사에 가장 큰 사건으로 기록되고 있다.
    또한 말콤 브라운의 사진은 당시 함께 낸 기사를 통해 퓰리쳐상을 수상하였다고 한다. 이후 그 사진은 저 유명한 미국의 사회/정치적 메시지를 담은 노래를 만들어 내었던 하드코어 밴드인 'Rage Against The Machine' 셀프타이틀 데뷔앨범의 커버로 씌여 더욱 유명해 지기도 하였다.

    처음 이 영상을 본 순간이 정말 잊혀 지지 않는다. 정적으로 느리게 흐르는 영상속에서 차분히 진행되는 소신공양속에서 전혀 외치지 않은 그들의 굳은 신념이 그 어느 목소리보다 크게 들리는 듯 하였다. 몇번이고 반복해서 보면서 그들이 가진 신념과 목적에 답을 찾고 싶었고 내 속에 흐르는 뜨거운 눈물을 확인하고 싶었다.
    그들이 가진 신념과 그 목적에 대한 답은 어쩌면 이 글을 통해서 쉽게 알수 있을 것 같다.



     

    팃낙한 스님이 미국의 마틴 루터 킹 목사에게 자신들의 소신공양에 대해 쓴 편지.


    1963년 베트남 스님들의 소신공양은 서구의 기독교사회가 가진 도덕적관념과는 아무래도 좀 다릅니다. 언론들은 그때 자살이라고 했지만 그 본질을 살펴보면 그것은 그렇지 않습니다. 그것은 극단적 저항행위도 아닙니다.

    소신공양 전에 남긴 유서에서 스님들이 말하고자 하는 것은 오로지 제자들의 마음에 경종을 울리고 그들의 마음을 감동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며, 베트남 사람들이 겪고 있는 고통에 대하여 세계의 이목을 집중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을 뿐 입니다.



     

     

    이명박의 거짓말에 항의하는 차량 부착 스티커

     


    ★ 일명 알바라 불리우는 분들께 정중히 부탁합니다. 이 영상을 보시면 주위의 경찰들까지도 소신공양이 시작되자 몸가짐을 정리하며 두 손을 모으는 숙연함을 보여줍니다. 제발 이 영상과 스님에 대한 모욕은 삼가주시길 간곡히 부탁드립니다.

    글 제목이 좋아야되는갑다.
    감동의 절정/불청불이모후회막급이람시로캣더니 안들어오길레
    불에타죽는 스님생중계 영상이라 캣는데 쫌 낫것지요?



    안티 天理兒가 모셨습니다.

  • 이전 글 다음 글 추천 목록
    797 page처음 페이지 791 792 793 794 795 796 797 798 799 80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