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토요일 오전에 봉하로 출발해서 연지로 바로갔다.
연지엔 오늘 자원봉사자들이 일할꺼리가 잔뜩이다.
오늘도 수고들 많으시겠다.
우선 수련 사진 몇장들..




사진을 찍고 오늘 할일에 대해서 알아보려 노사모 사무국으로...
오늘 계획에 대해서 이야기를 마무리 하고 돌아서는데..이분 사진 한장 찍어달라신다.

노사모 사무국의 무적님 되시겠다.
이런 여러 종류의 팬던트가 있다는걸 몸소 알려 주신다.
화포천 지킴이 승단장님과 화포천 순찰을 나가기로 하고 출발

벼가 조금씩 머리가 숙여지기 시작한다.
며칠전 난동부린 멧돼지의 발자국

깊숙히 들어간 깊이로 보아 크기가 꽤 될껄로 생각된다.
본격적으로 화포천 하류쪽 순찰...

화포천 하류도 경치가 운치가있다.
화포천 마지막 지점의 자연 방류장

동양최대의 모정 배수펌프장

화포천과 낙동강이 만나는 합류지점

화포천 하류만 도는데도 약 1시간반이 걸렸다.
승단장님 말씀이 이정도 거리는 화포천 전체의 25% 정도 밖에 안된단다.
화포천 순찰후 다시 연지로....부산 시민광장 여러분이 자원봉사를 이미 시작 중이었다.




김정호비서관님과 들삼님이 원추리를 심는 요령을 설명 하고 계신다.

작업에 관해서 두분께서 이야기 하신다.
조금뒤에 유시민 전 장관께서 오시네




한바퀴 둘러 보시고 사저로 인사하러 들어 가신단다.

열심히 자봉하는 엄마를 뚫어지게 바라보고 있는 아이들.....
저 아이들은 무슨 생각을 하고 있을까??
부끄럽지 않은 엄마의 모습이고 아름다운 모습이다.
점심 식사후 화포천으로 고고싱

이 보트 타고 간다.
화포천 가는 도중에 찍어본 봉하들판.

화포천에 배를 띄우고....선외기를 설치하고 멋지게 물살을 가르고 가고 싶었지만........

선외기의 에러로 인하여 열심히 노 저어서 갔다.(진영지기님,반딧불이님 수고 하셨네요)
목표지점에 도착후 작업시작













물길을 가로막는 나무를 제거하고 나니 나뭇가지에 걸려 못내려 오던 쓰레기들이 하류로 내려온다.

중간에 조그마한 구멍이 방류했던 참게의 집이란다.
아직 참게들이 잘 살고 있나보다.
작업 마무리후 다시 선착장으로

오늘 화포천 작업은 인력으로 되지 않아서 일단 개략적인 작업과 차량진입로 확인후 철수.
오늘 작업은 간단한 작업으로 생각했다간 정말 큰 오산이 될수 있는 작업 이었다.
하천에 버려진 쓰레기가 상상할 초월하는 것들이 많아서 작업하는 내내 참 기가 막힌다는 생각이 들었다.
나도 알게 모르게 여기에 일조하지 않았나 하는 부끄러운 생각이 무지하게 많이 드는 하루였다.
이상!!!!!
토요일에 풀독 맛본 부산싸나이 였습니다.
뱀다리....

지금은 많이 나아졌습니다.
정말 열심히 일하신 승단장님,반딧불이님,진영지기님은 다 괜찮은데....ㅎㅎㅎㅎ
----------------------------------------------------------------------------------------------
9월1일 09:49
걱정해 주신 분들 고맙습니다. ^^;;;;
이제 정말 많이 좋아졌네요.
병원에 2틀동안 가서 주사 3방 맞고..ㅎㅎ
빨리 나아야 또 화포천 들어가죠.
우듬지님/제가 정확한걸 알지 못해서 죄송 합니다.
빨리 공부해서 답글 달도록 하겠습니다.
-----------------------------------------------------------------------------------------------
화포천 일반현황
- 행정구역 : 김해시 진례면, 한림면, 생림면 일원
- 구분 : 지방2급하천
ㆍ하천지정근거 : 경남271호
ㆍ지정일 : 1982년 11월 29일
ㆍ하천코드 : 2026800
- 하천길이 : 19.5㎞
- 유역면적 : 135.2㎢
- 평균표고 : 104.4m
- 하상계수 (최대유량/최소유량) : 2,500
- 평상시 유량 : 0.1 ~ 0.3㎥/sec
- 최대유량 : 1.25㎥/sec
□ 화포습지(늪) 현황
- 위치 : 화포천 중하류 저지대
- 습지폭 : 250~750m
- 습지유형 : 하천형습지
- 습지면적 : 2.68㎢
- 식물상 : 수생식물 29종, 습생식물 65종, 중생/건생식물 187종
- 동물상 : 어류 32종, 조류 68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