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8/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8/thumb/

home > 사진·영상 > 참여갤러리

참여갤러리여러분들의 사진과 영상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세계경제위기 주범, 미국 아닌 중국공산당 ! ! !

따파하오note 조회 1,581추천 22008.10.16

38번 세계경제위기 주범, 미국 아닌
 대기원시보 박해보도 글올린날: 10/15 水, 1Page, 조회: 56
  글자
 
     
 Url 복사하기:  
"중국공산당 국가전략에서 빚어져"


매일 우유 한잔 , (신장)결석 한 주먹


올해로 10년째를 맞는 증권전문사이트 씽크풀(THINKPOOL)의 김동진 대표가 세계적인 경제위기의 근본원인이 미국 금융시스템이 아닌 중국공산당의 국가전략이 세계적인 저물가-저금리 시장에 충격을 주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이러한 주장은 지난 14일 폴리뉴스 인터넷판이 여의도 자사에서 가진 김 대표와의 인터뷰에서 제기됐다. 김 대표는 이 기사에서 세계적 경제위기의 원인과 향후 전망에 대한 자신의 견해를 밝히기도 했다.

중국이 끌어온 저물가-저금리 경제

김 대표는 "지난 10년 이상의 세월동안 중국이 자본주의의 시장경제를 받아들이면서 전세계에 저가상품을 거의 무차별적으로 공급하는 세계의 공장으로서의 기능을 했다"며 "이 덕분에 전세계적으로는 상당히 안정되어 있는 상태에서의 경제호황을 장기간 누려왔다"고 말했다.

그러나, 경제성장에 뒤따르기 마련인 인플레이션이 없었고 이는 세계경제의 저물가-저금리로 투자은행(IB)으로 대표되는 미국의 금융산업의 발전하는 계기가 됐다고 김 대표는 분석했다.
"중국이 블랙홀 역할을 하다 보니 다른 나라들의 저가상품이나 기본적인 기초 제조업의 부분은 붕괴가 됐다. 그러다보니 세계적으로 잉여자금은 많고 자금 수요가 약한 체제가 이루어지다보니, 금리가 오를 이유가 없었던 것... 이러한 글로벌한 경제구조가 미국의 금융산업이 더욱 발전을 하게 만드는 계기가 되었다."

각국 제조산업 붕괴, "돈 벌 곳이 없다"

중국산 저가상품은 세계 각국 소비자들이 저렴한 가격에 생필품을 구매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왔다. 그러나, 각국 제조업체들이 도산하거나 중국으로 생산기지를 옮기기 시작하면서 근로자들의 일자리가 줄어들거나 임금 소득이 감소하게 됐다.

미국의 서브프라임 모기지론 위기는 중국산 저가상품으로 제조업 분야가 붕괴된 국가에서 제조업체 근로자들로 대표되는 저소득계층이 상대적으로 신용경색으로 인한 영향을 더욱 크게 받은 사례로 볼 수 있다.

김 대표는 "저금리 구조하의 세계적 호황을 이끈 중국의 역할이 세계적 저금리구조의 근간인데 그 근간이 흔들리는 일이 중국으로부터 발생하였다"고 진단했다. 바로 중국공산당의 '고임금' 전략과 중국 내수시장의 물가압력이다.

중국공산당 '고임금' 국가전략

올해 초 세계적인 쌀 수출 국가인 인도가 쌀 수출가격을 대폭 인상하는 일이 발생했다. 태국도 이에 발맞추어 쌀 수출 중단을 발표하면서 이른바 '쌀값 파동'이 식략 수입 국가들을 강타했다. 상대적으로 쌀 수입 의존도가 낮은 국내에 미친 파동은 약했으나, '쌀값 파동'은 기초 생산분야에서 생산력을 잃은 국가가 맞을 수 있는 위기를 단적으로 보여줬다.

김 대표는 미국 금융위기의 구체적 발단에 대해 "저는 두 가지를 보는데 하나는 중국에서 작년부터 시작, 올해 본격화 된 신노동법"이라며 "중국공산당에서 추진했던 국가전략이었는데 그 과정에서 세계적으로 중국제품이 '코스트 업'이 되었다"고 말했다.

즉, 중국공산당이 전략적으로 고임금을 꾀했고, '세계의 공장'의 원가상승은 각국 물가압력으로 작용했다는 것이다.

이어 김 대표는 다른 하나의 발단으로 "중국이 내수시장이 확대돼 소비시장으로 많이 진입하면서 또 물가압력을 일으키는 역할"을 지적하면서 두 가지 원인들로 세계적 저물가-저금리의 상황이 붕괴되고 고물가-고금리의 문제상황이 발생하게 됐다고 결론내렸다고 폴리뉴스는 전했다.

육체와 경제에 미친 멜라민 파동

멜라민은 '독분유 사건'에서 식품에 첨가된 독성물질이면서 각종 플라스틱 제품의 원료이기도 하다. 멜라민 제품들은 과거 값싼 중국산의 대명사로 각국 제조업체를 붕괴시킨 첨병역할을 해왔으나, 이제 멜라민에는 세계인의 건강을 위협하는 중국산이라는 새로운 의미가 가해졌다.
중국에는 "육체를 소멸시키고, 경제를 파탄시키고, 명예를 실추시켜라"라는 국가정책이있다. 90년대에 중국에서 파룬궁이라는 기공수련이 널리 보급되어 국민 열명 중 한 명꼴로 배우고 있을 때 중공 중앙지도부에서 각지에 하달한 탄압 명령이었다.

이는 단지 파룬궁에 대해서만이 아니라 실상, 중국 공산정권이 적으로 상정한 모든 집단에 대한 기본적인 투쟁방침이기도 했다. 중국 정부는 그동안 미국에 대해 '미제'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적대시해왔다.

베이징 올림픽을 통해 2차 대전당시 나치 이후 인권탄압과 올림픽을 동시에 진행함으로써 세계인의 명예를 실추시킨 중공은 이제 전세계를 대상으로 새로운 탄압정책을 발동시킨 것은 아닌지 우려된다.
http://www.epochtimes.co.kr/news/article.html?no=11867
이전 글 다음 글 추천 목록
755 page처음 페이지 751 752 753 754 755 756 757 758 759 76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