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에 다시 전쟁의 기운이 엄습하고 있다. '제3차 북핵 위기'가 조성되는 가운데 '제3차 서해교전'과 '3일 전쟁' 가능성까지 공공연히 언급되고 있다. 이에 <오마이뉴스>는 남북한의 50년 갈등과 증오에 종지부를 찍고 화해협력의 첫걸음을 내디딘 6.15로 돌아가자는 기치를 내건 긴급기획 시리즈를 마련했다. <편집자말> |
고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말을 아껴오던 김대중 전 대통령이 이명박 대통령과 정부를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김 전 대통령은 11일 저녁 7시 서울 여의* 63빌딩에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기념행사에 특별강연자로 참석해 북한의 2차 핵실험으로 시작된 한반도 위기와 노 전 대통령 서거, 민주주의의 위기 등에 대한 생각을 밝혔다.
이 강연에서 김 전 대통령은 이 대통령을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전 대통령과 같은 '독재자'에 비유하며 맹비난했다. 이때 청중들 사이에선 박수가 터져 나왔다. 또 노 전 대통령의 서거에 눈물을 비추며 안타까움과 아쉬움을 드러내기도 했다. 북핵 위기 관련해서는 이 대통령과 김정일 위원장을 동시에 비판했다.
"노 대통령 조문객 500만 명 중 10분의 1인만 나섰다면 죽지 않았을 것"
|
▲ 김대중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 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김대중평화센터 주최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9주년 기념행사에서 '6·15로 돌아가자!'(Let's Return to 6.15)의 주제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
ⓒ 유성호 |
| |
김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과의 '인연'을 밝히면서 강연을 시작했다. 김 전 대통령은 "노 대통령과 내가 닮은 점이 많다, 둘 다 농민의 아들로 태어났고, 상고를 나왔고, 돈이 없어서 대학을 못 갔다"고 농담처럼 말을 풀어냈다. 강연을 듣던 좌중에서는 웃음이 터져나왔다.
하지만 김 전 대통령의 표정은 이내 어두워졌다. 그는 "정당도 같았고, 국회의원도 같이 했고, 북한도 교대로 다녀오고, 가만히 보니까 전생에 노 전 대통령과 내가 무슨 형제간인 것 같다"고 우스갯소리를 했지만, "노 전 대통령을 내가 해양수산부장관을 시켰다"고 말한 뒤 한참을 머뭇거렸다. 이 사이 김 전 대통령의 눈가에는 눈물이 비쳤다.
강연 후반부에도 노 전 대통령 서거를 애도하는 데 많은 시간을 할애했다. 특히 김 전 대통령은 "노 전 대통령이 고초를 겪을 때 장례식 조문객 500만 명 중 10분의 1인 50만 명만 나섰다면 죽지 않았을 것"이라며 "얼마나 부끄럽고 억울한 일이냐"고 아쉬움을 표했다.
이어 그는 "진정 정의롭고 평화롭게 사는 나라가 되려면 행동하는 양심이 돼야 한다"며 "방관하는 자는 악의 편"이라고 덧붙였다.
청중들에게 "행동하는 양심이 되라"고 요구한 김 전 대통령은 이명박 대통령을 향해서는 거침없는 비판을 쏟아냈다.
"MB, 전직 대통령 두 사람이 합의해 놓은 6·15와 10·4 선언 반드시 지켜야"
|
▲ 김대중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 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김대중평화센터 주최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9주년 기념행사에서 '6·15로 돌아가자!'(Let's Return to 6.15)의 주제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
ⓒ 유성호 |
| |
그는 이명박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이 대통령은 지금 우리 국민이 얼마나 불안하게 사는지 알아야 한다"며 "북한은 매일 남한이 하는 일을 선전포고로 간주하겠다, 무력 대항 하겠다고 말하고 있는데 세계 도처에 60년이나 이러고(분단) 있는 나라가 어딨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어 김 전 대통령은 "이 대통령께 강력히 충고하고 싶다"며 "전직 대통령 두 사람이 합의해 놓은 6·15와 10·4 선언을 반드시 지켜야 한다, 그래야 문제가 풀린다"고 직설적으로 요구했다.
최근 교수들의 시국선언이 잇따르는 등 민주주의 위기라는 비판이 나오는 데 대해서도 쓴소리를 던졌다. 김 전 대통령은 "지금 우리나라 도처에서 이명박 정권이 민주주의를 역행시킨다고 하고 있다"며 "노 대통령 장례식에 전국에서 500만이 문상한 것을 보더라도 우리 국민들의 심정이 어떤지 알 수 있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 또 이 대통령을 향해 "우리는 과거에 이승만, 박정희, 전두환 세 대통령을 국민의 힘으로 극복시켰다"며 "우리 국민은 독재자가 나왔을 때 반드시 극복하고 민주주의를 회복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고 경고했다.
작심한 듯한 비판은 계속 이어졌다. 김 전 대통령은 "오랜 정치 경험으로 볼 때 이 대통령과 정부가 현재와 같은 길로 나간다면 국민도 불행하고, 이명박 정부도 불행하다는 확신을 말씀드린다"며 "이 대통령이 큰 결단 내리기를 바라마지 않는다"고 말했다.
북한 김정일 국방위원장에 대해서도 김 전 대통령은 "억울한 일이 있지만 그렇다고 이렇게까지 (북핵을) 끌고 나온 것은 잘못됐다"면서 "하루빨리 6자 회담에 복귀해 한반도 비핵화를 선언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
▲ 김대중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여** 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김대중평화센터 주최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9주년 기념행사에서 '6·15로 돌아가자!'(Let's Return to 6.15)의 주제로 특별강연에 앞서 내빈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
ⓒ 유성호 |
| |
|
▲ 김대중 전 대통령과 부인 이희호씨가 11일 오후 서울 *** 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김대중평화센터 주최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9주년 기념행사에서 문정인 연세대 교수의 특별강연을 경청하며 박수를 치고 있다. |
ⓒ 유성호 |
| |
|
▲ 김대중 전 대통령이 11일 오후 서울 *** 63빌딩 국제회의장에서 김대중평화센터 주최로 열린 6.15 남북공동선언 9주년 기념행사에서 '6·15로 돌아가자!'(Let's Return to 6.15)의 주제로 특별강연을 하고 있다. |
ⓒ 유성호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