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thumb/

home > 사진·영상 > 참여갤러리

참여갤러리여러분들의 사진과 영상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값싼 휴대전화 왜 없나 했더니…

장수아들note 조회 543추천 92009.11.13

값싼 휴대전화 왜 없나 했더니…

<앵커 멘트>

외국에는 필요한 기능만 있는 값싼 휴대전화도 참 많은데요.

국내에서는 이런 휴대전화 찾기가 어렵습니다.

신제품이라면 4-50만 원이 당연한 듯 받아들여지고 가격이 100만 원을 훌쩍 넘는 전화기도 적지 않은데요.

중·저가 실속폰이 사라지고 있는 이유는 무엇인지, 황현택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한 중소기업이 만든 수출용 휴대전화기입니다.

카메라와 넓은 LCD 화면, 여기에 무선인터넷까지 즐길 수 있습니다.

가격은 100달러, 우리 돈 12만 원 입니다.

지난해 한 대기업이 내놓은 비슷한 제품값의 7분의 1 수준입니다.

이 제품을 가지고 이동통신회사 대리점을 찾았습니다.

<녹취> 대리점 관계자: "국내는 (이동통신) 3개사를 안 거치고는 개통을 할 수가 없어요. 거기에 등록이 안 돼 있으면."

그렇게 어려운 일일까.

제 휴대전화에는 통신에 필요한 칩, 이른바 '유심 카드'라는 게 들어 있습니다. 이통사들이 걸어둔 보안장치를 해제한 뒤에 이 새 휴대전화에 넣어 보겠습니다.

<녹취> "전화 잘 들립니다." "네" "들리시는 거 어떠세요" "잘 들립니다."

다른 3, 4만 원대 제품도 일단 보안장치만 해제하면 통화에는 큰 문제가 없었습니다.

단말기 유통 시장을 독점한 이통사들이 이런 값싼 휴대전화를 사용할 수 없게 하는 이유는 간단합니다.

<녹취> 이통사 관계자: "이통사 입장에서는 추가 수입을 내려면 다양한 부가서비스 기능을 갖춰야지만 수익이 나는데 그런 기능이 없으면 음성통화 밖에 나올 수 없잖아요."

상황이 이렇다보니 휴대전화 가격은 무섭게 치솟고 있습니다.

아르마니폰 130만 원대.

프라다폰 180만 원대.

웬만한 냉장고나 세탁기보다 비싼 가격에 소비자들도 혀를 내두릅니다.

<인터뷰> 최지영(경기도 남양주시 ***): "가격이 비싸도 사람들이 자꾸 사니까 계속 올라가는 것 같아요."

한 이통사가 팔고 있는 휴대전화 가격을 조사해 봤더니 절반 가량이 50만 원을 넘겼습니다.

기능이 많다고 값이 비싸야 하는 지도 의문입니다.

<녹취> 휴대전화 제조업체 관계자: "(최신폰이라도) 16만 원. 그쵸? 아무리 많이 들었다 치더라도. 만 원, 2만 원 더 올라간다 하더라도 20만 원 안 넘어가요."

문제는 이런 고가폰이 제조사나 이통사에는 적잖은 수익을 안겨주지만, 소비자 선택권은 제한한다는 점입니다.

<인터뷰> 이정원(경기도 성남시 ***): "한 40~50만 원 준 것 같아요. 거의 저희 같은 경우는 문자 보내고 집에 연락하고 그런 용도 밖에는 못 쓰죠."

유럽 등에서는 고가폰 옆에 항상 값싼 단말기가 나란히 자리잡고 있습니다.

다양한 기능과 가격대로 소비자의 선택 폭을 넓혀주기 위해서입니다.

<인터뷰>김무호(중소 휴대전화 제조업체 대표): "지난 10년 동안 중소기업들이 (납품을) 시도했지만, 이통사에서 받아들여지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은 굳이 노력해야 할 이유가 없죠."

국민 한 사람이 2년마다 한 번씩 새 제품을 살 정도로 필수품이 된 휴대전화.

이동통신 서비스 업체가 제품의 유통까지 독점하는 왜곡된 구조 때문에 소비자들은 보다 값싼 제품을 선택할 기회마저 빼앗기는 셈입니다.

이전 글 다음 글 추천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4691 누가 될지? (15) 미르의전설 2009.10.17
4690 강원도 가실분이나 강원도에 사시는 분들 보세요 !! (7) 대 한 민 국 2009.10.17
4689 우리 냥이들입니다. (8) 윤종대학교02학번 2009.10.17
4688 저 따라서 배우세요. (2) 내사랑 2009.10.17
4687 자주쓴풀 (4) 김자윤 2009.10.17
4686 층꽃나무 (1) 김자윤 2009.10.17
4685 참취 (3) 김자윤 2009.10.17
4684 이슬을 먹고 자란다. (7) 봉7 2009.10.17
4683 잊혀지지 않는 그리움으로 ... (20) 참사랑실천 2009.10.16
4682 [양산대첩] 17. 18. 양산대첩 주말선거전 모임공지 (23) 우물지기 2009.10.16
4681 8개월 무렵의 지우와 나 (7) mailbone 2009.10.16
4680 미역취 (5) 김자윤 2009.10.16
569 page처음 페이지 561 562 563 564 565 566 567 568 569 57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