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11/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11/thumb/

home > 사진·영상 > 참여갤러리

참여갤러리여러분들의 사진과 영상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삼지연의 젊은 아낙

수월note 조회 2,561추천 22013.01.05

꽁꽁 언 밤에는 술이 먹고 싶어지는 것이다.

영하 일십오도를 오르내리는 밤에 나는 고은 선생의 북한 순례기인 “산하여 나의 산하여”를 읽었다. 1998년 여름, 그러니까 14년 전 여름에 중앙일보 팀과 유홍준 선생이 합세한 북한 문화유적 답사의 글을 다시 감명 깊게 읽고 있는 차에 아래의 글을 보고는 도저히 참지를 못하고 술을 한잔 먹기로 한 것이었다.

 

 

책의 첫머리는 백두산 답사기이다.

민족의 영산인 백두산 등정기인데 해방 후 북한 쪽으로 처음 길을 턴 이 노 시인의 감회어린 글들은 보는 나로 하여금 숨이 막힐 듯하게 감명을 주는 것이었다.

아래에 옮긴 글은 숨소리도 크게 내지 못 하며 읽은, 백두산 천지를 감상한 글이 끝나고 다시 수목한계선을 들어서면서 개마고원 백무고원 대흥단 등 우리가 상상만 할 수밖에 없는 북녘 지대에서만 서식하는 그곳 고유의 자생 나무숲에서의 감상을 적은 글이다.

 

 

모름지기 술을 애용(?)하는 사람으로서 이 대목에서 술 한잔이 생각이 안 난다면 그것도 저 노 시인을 욕되게 하는 일이라는 생각에 이르게 되는 것이었다.

아무리 요래저래 수치를 재 봐도 아무래도 나보다 술이 대가이신 저 어른의 입맛이 다셔지는 글을 보고 한잔 안 마셔준다면 술의 긍정적인 면을 모독하는 것이고 그 긍정적인 면으로 인해서 평생을 복용(흠)하시고 계시는, 그 막대한 수고를 부정하는 것이 되지를 않겠는가?

 

저 어른은 올해 여든 하나를 잡수셨다.

돌아가신 우리 아버님 보다 두 살 더하신다. ㅋㅋ

 

 

 

.....................................

 

 

깊고 어두운 계곡이므로 그 위의 전망대에서 아슬아슬했다.

대낮인데도 가슴이 두근거렸다. 무엇이 웅장하지 않고는 그 곳에서 존재할 수 없어 어둑어둑한 밀림 속의 공기조차 적이 웅장한 바 있었다.

 

 

그런 나머지 유명한 박달나무 지대에 들어섰다.

그때에야 새소리도 어설프게 들리기 시작했다. 천지에서 얻어온 한 꾸러미 산찬어를 회 안주 삼아 들쭉술 몇 잔을 목에 적셨다.

비로소 인간의 체면이 섰다.

이제까지의 긴장이 스르르 풀려 아직껏 신록 그대로인 그 연초록 잎새들의 향훈(香薰) 속에서 내 마음은 아무 바랄 것이 없었다.

술과 안주는 몸속에 들어가자마자 바로 내 몸의 일부분이 돼버렸다.

미각이니 소화니 하는 수속이 필요 없는 즉각적인 육화(肉化)였다.

 

 

이제 텅 빈 황무지에 설치된 고도와 위도 표시를 위한 간백산 허리의 국가수준점이나 수목한계선의 그 삭막한 지대도 지나왔다.

그 일대는 70년대 조성한 사적지와 밀영들이 가문비나무, 분비나무, 이깔나무, 좀비나무, 눈잣나무, 노간주나무, 전나무와 사시나무, 당버들나무, 가래물박달나무 당마가목나무 들의 하늘 가린 밀림 속 여기저기에 서 있었다. 그런 곳 중의 백두밀영도 소백수의 눈시린 물을 이웃에 두고 있었다.

...........................................................................................

 

 

 

북한 여자가 남쪽 여자보다 더 아름답다고 하는 전설이 우리가 생기기 이전의 그런 날 부터 있었다는 사실을 여러분들도 들어 온 바가 있지를 않았던가?

 

비닐봉지가 도시의 아스팔트 위를 나뒹굴기 전에, 스치로폼이 촌구석의 땅 속까지 침범하기 전에 우리는 산에 나무를 하러 간 그러한 세월도 있었다.

아니 그런 세월도 좀 더 거슬러 오르다 보면 우리의 엄니 아부지들은 한복을 곱게 입으시고 결혼식을 올렸던 것이다. 문명이 사람을 지배하기 전의 그 시절에는 사람들에게 순박함이라는 걸출한 단어가 어울리는 심성이 있었던 것이다.

 

아래의 시를 보시라.

앳되고 순박한 북관의 녀인네를 만날 것이다.

그리고 우리 민족을 생각하시라. ^^*

 

 

 

삼지연의 젊은 아낙

                          고은

 

무슨 꽃이기에 이다지 먼 데까지 이승인가

국가 표준점 밖

거기 온통 꽃장날이네만

그런 꽃이 아니라면

무슨 꽃이기에

 

 

북한 양강도 백무고원 숨은 감자꽃이었습니다

아침 찬 이슬 함초롬히

나이 스물셋이나 넷 쯤으로

젊은 아낙이었습니다.

 

 

저녁이면 이른 어둑밭

초생달 있다가

다시 들어 간 뒤

남아있는 웃음이었습니다

 

 

모든 것 다 높여 말하고 싶었습니다

어디 가시는 길이오

이런 물음 없이도

소백에서 오는 길입니다.

 

 

3년이나 못 본 언니 보고 싶어서

소백 언니네 집에 갔는데

먼 길이니

하룻밤 자고 가라는 것을

그냥 오는 길입니다.

 

 

여기서 소백이 얼마나 됩니까

이런 물음 있으나 마나

 

 

소백읍에서 여기 삼지연읍까지 12킬로미터입니다.

1시간 반 걸렸습니다

이제 김정일중고등학교 앞을 지나가서

식구들 늦은 저녁 지으렵니다

 

 

대낮에도 온통 이깔나무 숲이었습니다

그 숲길 호젓이

두려움도 모르고

외로움도 모르고 오고 감이었습니다

 

 

이곳에서 태어나

이곳에서 자란 조선의 여자

무엇하나

단 한번도 의심해 보지 않은 그것이었습니다

차라리 삼지연 물 새소리 떠있는

잔물결 그것이었습니다

 

 

나는 남쪽에서 온 사람이오

반갑습니다

이런 인사 없이도

그네 뒷모습 금방 멀어져 가는 어둠 가운데

무엇을 다짐하기에도 모자란 그것이었습니다

감자꽃

 

 

백두산 꽃 중 가장 아름답다는 두메양귀비입니다. 

 

 

 

이전 글 다음 글 추천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5915 거짓말 (4) 돌솥 2010.03.05
5914 자연의 분노 (6) 보미니성우 2010.03.05
5913 광화문 글판 (18) 돌솥 2010.03.05
5912 루치아사랑님 (10) 물안개g 2010.03.04
5911 달집태우기행사 다녀오다. (3) 황석산 2010.03.04
5910 자기는 게임의 귀재... (2) chunria 2010.03.04
5909 함께 맞는 비 (7) 우물지기 2010.03.04
5908 [화포천] 비오는 날의 풍경 (29) 토르(블루핑크) 2010.03.04
5907 2003.04.19 대통령님의 기록 (1) 365일 2010.03.04
5906 3.1절 독립기념관 행사 (4) 지역발전 2010.03.04
5905 뉴스속보! 이명박이 쥐새끼가 노대통령살인한 죄도 모르고 대구에 오면서.. 세계최초인 2010.03.04
5904 ㅋㅋ 우리 연아를 보시죠.... 양촌리 건달을 대하는 태도~~ (9) 봄봄 2010.03.04
467 page처음 페이지 461 462 463 464 465 466 467 468 469 47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