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thumb/
토르(블루핑크)
조회 500추천 142010.02.25
화포천이 김해시의 생태공원 조성사업으로 원시의 모습을 많이 잃었습니다. 보는 이의 주관적 관점에 따라 화포천의 아름다움에 대한 평가는 다를 것입니다.
저 멀리 보이는 녹색 그물은 원래 없던 화포천 중앙수로로 옆으로 물길을 연 것입니다. 그 옆으로는 눈에 보시는바와 같은 나무다리를 놓아놨습니다.
봉하마을에는 풍수지리적으로 왕이 나올 수 있다고 하는데요. 우리가 흔히 아는 사자바위 혹은 코끼리 바위가 학의 형상을 그 마주보는 산이 뱀산 그 좌측으로 개구리산 형상인데 뱀이 개구리를 잡아 먹으려해도 학이 노리고 있는 형국이라 합니다. 이 이야기에 등장하는 개구리산...
이 산을 화포천 중앙수로를 거쳐 직접 걸어 갈 수 있도록 다리를 놓았습니다.
화포천 옛 버드나무 있던 시멘트 다리는 화포천과 퇴래천을 이어주는 새 나무 다리가 연결되었구요. 시민들이 산책할 수 있도록 산책로와 쉴 수 있는 공원도 조성되고, 주남저수지처럼 사진작가들이 철새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해놓았습니다.
다만 아쉬운 점은 촬영장이 너무 가까이 있고, 2008년도 조류 모니터링 때 자주 보였던 청둥오리나 쇠오리 등이 먹이 활동을 완성하게 하는 장소가 아닌 곳에 촬영장을 마련한 것, 천과 촬영장의 거리가 너무 가깝다는 것 등으로 새들이 날아들지 조금 걱정이 됩니다. 하지만, 화포천을 널리 알린다는 점에서는 득이 있는 법인가 봅니다. 개인적으로는 인간이 좀더 자연에 대한 배려가 있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이 있습니다.
올해 조류 모니터링 조사결과 철도 공사 및 화포천 생태 공원 조성 공사로 많은 철새들이 오지 못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머리 오리, 홍머리 오리, 쇠오리, 쇠기러기 등이 목격되었고, 큰기러기떼가 오랜 시간 머물다 갔습니다. 이 철새떼들은 주로 삼랑진 > 화포천 > 주남저수지를 거쳐 먹이 활동을 하는 것으로 추측됩니다. 저 멀리 보이시는 새가 큰기러기떼입니다.
처음으로 만들어본 동영상입니다. 사진은 사람사는세상 문고리님께서 도움을 주셨습니다. 화포천의 변천사와 더불어 이전의 화포천을 함께 비교해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 같습니다. 곧 자료를 마련해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미흡한 점 양해해주십시오. 그리고 화포천에 변함없는 관심 주시길 바랍니다.^^
![]() |
![]() |
![]() |
![]() |
---|---|---|---|
6011 | [ 봉하미션 임파시블 part 2 ] 봉하의 '눈'을 찍어라 (32) | 必立 | 2010.03.15 |
6010 | [4대강] 위아래 사진비교해서 봐주세요. (6) | 토르(블루핑크) | 2010.03.15 |
6009 | 또 다른 '공공의 적' - 유시민! (15) | 돌솥 | 2010.03.15 |
6008 | 대한민국 공공의 적 , 노무현을 보내며......(펌) (9) | 돌솥 | 2010.03.15 |
6007 | 법원에서 본 한명숙 전총리 (26) | 에이런 | 2010.03.15 |
6006 | 이제 돈 없으면 다 죽어야 하는 건가요 ?? (1) | 대 한 민 국 | 2010.03.15 |
6005 | 농부 (6) | 김자윤 | 2010.03.14 |
6004 | 꿩의바람꽃 (2) | 김자윤 | 2010.03.14 |
6003 | 타인의 아이디를 우롱하는 작자를 처단하라. (2) | 패러 | 2010.03.14 |
6002 | ---------- " 이것, 어떻게 해야 되나!? " -------.. | 중수 | 2010.03.14 |
6001 | 한 명숙 이사장님 글.[펌] (8) | 가을여자 | 2010.03.14 |
6000 | MB, '무소유'를 실천하다? | 하이닉스 ENG | 2010.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