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thumb/

home > 사진·영상 > 참여갤러리

참여갤러리여러분들의 사진과 영상을 공유 할 수 있습니다.

교단 일기(4) - 향기롭게 말하기

돌솥note 조회 826추천 112010.03.19

   
 


애씀과 흔적.....그리고 쓸쓸함---이란 제목이 붙었던 사진입니다
.






‘국가인권위’가 초등학교 교사가 학생 일기장을 검사하는 것이
아동의 사생활과 양심의 자유 등 헌법에 보장된
아동인권을 침해할 소지가 크다고 밝힌 이후
예전처럼 일기검사를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 편입니다만
제가 가장 기억에 남는 일기는
정말 이쁘고 공부도 잘하는 여학생인데
동생과 싸웠는데 엄마가 자기만 혼내고 때렸다고
꼭 덜 떨어진(?) 아이처럼

‘뭐 그런 X이 다 있어.
자식을 개 패듯이 패고......’

라고 버젓이 써서 담임에게 제출한 것을 보고 경악(?)을 금치 못한 일입니다.

지금은 저런 부류의 아이들이 제법 있지만 15년 전 쯤엔 그렇지 않았고
그리고 대부분 속으로 욕을 해도 그렇게 문서(?)로 남기지는 않거든요.

“어머, 걔가 웬일이니?”
“그 치가 말이야......”

누구한테 하는 말 같습니까?
놀랍게도 부모님을 지칭하는 말들입니다.
약간 불량스럽게 생긴 중학생들의 일상적인 언어들입니다.
그런 부류의 아이들이 구사하는 언어 중 최상급(?)의 언어에 속하는 편이지요.
요즘은 욕이 입에 달려있고 일상화 된 아이들이 무척 많습니다.

초등학교 고학년이나 중학생이 되면 아이들이 대체로 2종류로 양분이 됩니다.
가정교육이 잘 되고 마음에 분노가 없이 잘 자란 아이들은

“ 엄마가 그러시는데...
  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길......”

하며 누가 보던 안 보던,
화가 나는 순간에도 순화된 언어를 씁니다.
어려서 부터 부모님께 욕을 들어 본 적이 없기 때문에 입에 설어 잘 쓸 줄을 모릅니다.

평소에 존대말을 하던 아이는 화가 나면 반말을 할 수도 있지만,
존대말을 쓰는 아이들은 그렇게 막 가지 않거든요.

존대말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침이 없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아이들이 쓰는 언어를 보면 부모님이 보입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거울이예요.



이전 글 다음 글 추천 목록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6083 이걸 보니 이번 지방선거 은평에서는 어림도 없을것 같습니다 (3) 대 한 민 국 2010.03.24
6082 [흰여울누리의 봄] 사람이 아름다운 계절 (7) 개성만점 2010.03.24
6081 시골집-143 (5) 김자윤 2010.03.23
6080 이웃 사랑 (5) 김자윤 2010.03.23
6079 23일 ,봉하단상 (10) 마도로스0 2010.03.23
6078 현천 마을 (6) 김자윤 2010.03.23
6077 지방선거 승리를 위한 국민참여당 당원대회 (10) 에이런 2010.03.23
6076 산수유 (2) 김자윤 2010.03.23
6075 [봉하소식] 경계석에 생명을 불어넣다. (30) 세찬 2010.03.23
6074 작년 가을에 뵌 노 대통령님 (4) 노란황새 2010.03.23
6073 16대 대통령 노무현 (8) chunria 2010.03.23
6072 현재 봉하의 모습 / 박석글 일부 소개 (13) 건너가자 2010.03.23
453 page처음 페이지 451 452 453 454 455 456 457 458 459 460 마지막 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