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thumb/
그런 팻말을 목에 걸고 프랑스 파리의 미라보 다리 위에서
구걸을 하고 있는 한 장님이 있었습니다.
그런데 그 곁을 지나가던 어떤 사람이 그 걸인에게 당신이
이렇게 해서 구걸하는 액수가 하루에 얼마나 되느냐고 물었습니다.
그러자 그 걸인은 침통한 목소리로 겨우 10프랑 정도밖에 되지
않는다고 대답했습니다.
그 소리를 들은 행인은 고개를 끄덕이면서 걸인의 목에 걸려있는
팻말을 뒤집어 놓으며 다른 어떤 말을 적어놓았습니다.
그로부터 약 한달 후, 그 행인이 그 곳에 다시 나타났을 때
걸인은 행인의 손을 붙잡고 감격해 하며 물었습니다.
`참으로 고맙습니다.
선생님께서 다녀가신 뒤 요사이는 50프랑까지 수입이 오르니
대체 어떻게 된 연유인지 모르겠습니다.
도대체 무슨 글을 써 놓았기에 이런 놀라운 일이 생기는 겁니까?`
그러자 행인은 빙그레 웃으며 이렇게 대답했습니다.
"별다른 게 아닙니다.
원래 당신의 팻말에 써 있는 글
`저는 때어날 때부터 장님입니다`
라는 말 대신에
`봄이 오건만 저는 그것을 볼 수 없답니다."
라고 써 놓았을 뿐이죠.
우리가 쓰는 말 한마디에 따라 결과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고
프랑스의 시인인 로제 카이유는 말햇지요.
'태어날 때부터 장님' 이란 무미건조한 말은
사람들에게 어떤 감동도 주지 못하지만 좀 더 아름다운 상상의
날개를 달아줌으로써 사람들의 동정심을 자극할 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이왕이면 똑같은 뜻이라도 아름답게 표현하는 것입니다.
같은 말, 같은 글이라도 조금 표현을 다르게 함으로
삶을 더욱 아름답게 가꾸어 갈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지 않는가요?
.
.
- 6월 2일 투표할 거다. 잠시만 기다려 달라.
![]() |
![]() |
![]() |
![]() |
---|---|---|---|
6119 | [흰여울누리의 봄] 사람들의 발로 깨어나는 봉하들판Ⅰ(3월 27일[토]) (13) | 개성만점 | 2010.03.29 |
6118 | 3월 26일(금) 한명숙 전총리 공판현장에서... (1) | 에이런 | 2010.03.29 |
6117 | 캥거루족 (1) | 돌솥 | 2010.03.29 |
6116 | 산수유 (3) | 김자윤 | 2010.03.29 |
6115 | 3월 28일 봉하에 가다. (12) | 황석산 | 2010.03.28 |
6114 | 나무 (3) | 김자윤 | 2010.03.28 |
6113 | 할머니 (6) | 김자윤 | 2010.03.28 |
6112 | 할아버지 (3) | 김자윤 | 2010.03.28 |
6111 | 오늘 봉은사 명진 스님은... (23) | sg3983 | 2010.03.28 |
6110 | 심장이 타 들어가는 실종자 가족들... (10) | 돌솥 | 2010.03.28 |
6109 | 저는요~~ 이 양반이 좋습니다 (1) (8) | 돌솥 | 2010.03.28 |
6108 | 순수나라님의 박석문구입니다. (11) | 순사모 | 2010.03.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