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인 왕서방이 컴퓨터 자판을 치는 모습을 본다.
3만개가 넘는다는 한자를 어떻게 좁은 자판에서 치나?
자판을 보니 엉뚱한 알파벳만 있다.
한자를 자판에 나열하는 게 불가능해
중국어 발음을 영어로 묘사(한어병음)해 알파벳으로 입력한다.
단어마다 입력 키를 눌러야 화면에서 한자로 바뀐다.
불편한 건 더 있다.
같은 병음을 가진 글자가 20개 정도는 보통이다.
그중에서 맞는 한자를 선택해야 한다.
열의가 없는 사람은 컴퓨터에서 멀어지기 십상이다.
한국의 인터넷 문화가 중국을 앞선 이유 하나가 여기에 있다.
타이핑을 많이 하는 전문직 중국인들은
한자의 획과 부수를 나열한 또 다른 자판을 이용한다.
자판을 최대 다섯번 눌러 글자 하나가 구성되므로
오필자형(五筆字型)이라고 한다.
속도가 빠르지만 익히기 어려워 일반인은 못한다.

일본인 요시다는 어떨까.
컴퓨터 자판을 보니 역시 알파벳이다.
24개의 자음.모음만으로 자판 내에서
모든 문자 입력을 단번에 해결할 수 있는 한글은
하늘의 축복이자 과학이다.
일본인들은 'せ'를 영어식 발음인 'se'로 컴퓨터에 입력하는 방법을 쓴다.
각 단어가 영어 발음 표기에 맞게 입력돼야 화면에서 가나로 바뀐다.
게다가 문장마다 한자가 있어 쉼없이 한자 변환을 해줘야 하므로 속도가 더디다.
나아가 '추'로 발음되는 한자만 해도 '中'을 비롯해 20개 이상이니 골라줘야 한다.
일본어는 102개의 가나를 자판에 올려
가나로 입력하는 방법도 있지만 익숙해지기 어려워 이용도가 낮다.
이러니 인터넷 친화도가 한국보다 낮을 수밖에 없는 것 같다.
말레이시아처럼 언어가 여러 가지인 국가들은
컴퓨터 입력 방식 개발부터 골칫덩어리다.
휴대전화로 문자를 보낼 때 한글로 5초면 되는 문장을
중국.일본 문자는 35초 걸린다는 비교가 있었다.
한글의 입력 속도가 일곱배 정도 빠르다는 얘기다.
정보통신(IT)시대에 큰 경쟁력이다.
한국인의 부지런하고 급한 성격과 승부근성에,
한글이 '디지털 문자'로서 세계 정상의 경쟁력이 있는 덕에
우리가 인터넷 강국이 됐다고 해석할 수 있다.
한글로 된 인터넷 문자 정보의 양은 세계 몇번째는 된다.
9일은 세종대왕이 한글을 반포한 한글날.
세종이 수백년 뒤를 내다본 정보통신 대왕이 아니었나 하는 감탄이 나온다.
26개인 알파벳은 한글과 같은 소리문자이고 조합도 쉽지만
'a'라도 위치에 따라 발음이 다르고
나라별로 독음이 다른 단점이 있다.
그러나 한글은 하나의 글자가 하나의 소리만 갖는다.
어휘 조합능력도 가장 다양하다.
소리 표현만도 8800여개여서 중국어의 400여개,
일본어의 300여개와 비교가 안 된다.
세계적 언어학자들은 한글이 가장 배우기 쉽고 과학적이어서
세계 문자 중 으뜸이라고 말한다.
'알파벳의 꿈'이라고 표현한다.
그래서 거의 0%인 세계 최저의 문맹률이 가능했고
이게 국가발전의 원동력이었다.

발음기관의 모양까지 반영한 음성공학적 문자여서
세계의 언어를 다 표현해낸다.
맥도널드를 중국은 '마이당로우',
일본은 '마쿠도나르도'라고밖에 표현하지 못한다.
네팔 등의 문자가 없는 민족에게
한글로 문자를 만들어 주는 운동이 추진되는 이유다.
외국인에게 5분만 설명하면 자신의 이름을 한글로 쓰게 할 수 있다.
한글은 기계적 친화력도 가장 좋아 정보통신 시대의 준비된 문자다.
세계화의 잠재력이 적지 않다.
주말엔 서울 홍릉의 세종대왕기념관이나 여주의 영릉을 찾아 큰절을 올리자.
아!
세종
IT 대왕님.
[중앙일보 김일]
오늘은 한글날.
한글은 세계적인 언어학자들이 이구동성으로
그 우수성을 인정한 인류최대의 문화유산이다.
당연히 공휴일로 지정되어야 한다.
정부가 지정해 주지 않아도 내가 지정하겠다.
한글날만 되면 나는 무조건 쉬겠다.
- 이외수님의 하악하악에서 -
해마다 한글날이 되면
제가 자주 방문하는 싸이트에 한번씩 올리는 글입니다.
언제 읽어봐도 좋습니다.
미국만 생각하면
오금이 저리고
다리에 힘이 풀어지고
입이 헤~~ 벌어지는
식민지 근성의 지도층들이
한글 파괴에 앞장선다는 생각이 듭니다.
아마도
Hi Seoul! 을 시작으로 각 지자체가 다투어
영어사랑에 목을 맸지 싶습니다.
‘다이내믹 경산’
‘러닝 문경’
‘로하스 영덕’
‘에버그린 성주’
‘센트럴 김천
‘저스트 상주’
‘싱그린 청도’
‘글로벌 인스피레이션 경기도’
‘컬러풀(colorful) 대구’
‘BIG 충북’
‘다이내믹(dynamic) 부산’
‘프라이드(pride) 경북’
‘잇츠(It’s) 대전’
‘플라이(fly) 인천......
.
.
.
제가 사는 곳과 가까운 파주를 지날 때마다
-G&G PAJU-를 봅니다.
뭔 뜻일까요?
-Good & Great-랍니다.
과연 그 뜻을 아는 시민들이 얼마나 될까요?
세계 언어학자들이 인정한 최고의 글을 놔두고 뭔 짓이래요?
.
.
.
정말 웃기는 자장면들입니다.
꼴~~~깝을 떤다고 하면 너무 실례인가요?
깃발 들고 앞장 섰던 지자체장이 누구였을까요?
참 가지가지 한다는 생각이 들어서요.
후임 시장님은 백년도 더 된 은행나무 뽑아버린 황량한 곳에
대왕님 동상을 크~~게 세웠더만요
동상만 세우면 뭐하나요?
수준하고는......ㅉㅉㅉ
세종대왕님!
참으로 못난 후손들이라 너무 죄송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