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thumb/
우리집 가훈
글쓴이 노무현
날짜 2000-08-28 오후 2:08:00
어느날 아들이 대뜸 나에게 "우리집의 가훈은 무엇이냐"고 물었다.
가훈이라고 정해 놓은 것이 없어 나는 무심코 그냥 없다고 대답했다. 아들 녀석이 실
망할 지 모르겠지만 없는 것을 있다고 할 수는 없는 노릇이었다.
그로부터 며칠 뒤, 나는 문득 집에 가훈이 있냐던 아들의 질문을 떠올리고는 생각
했다.
과연 우리집에는 가훈이 없는가. 그러자 아득히 먼 옛날 어릴 적 기억이 되살아났다.
경상남도 깊은 산골, 가난한 농민의 아들로 태어난 나는 머리 좋고 공부 잘 한다
는 예기를 들었지만 그만큼 말썽도 많이 피웠다. 한 번은 중학생이던 자유당 시절, '
우리 이승만 대통령'이라는 제목으로 글짓기를 하라는데 삐딱하게 썼다가 교무실로 끌
려가 혼난 적도 있었다. 그렇게 말썽 피우는 아들 때문에 잠시도 마음 편할 날 없었던
어머니는 나에게 언제나 이런 말씀을 하셨다.
"모난 돌이 정 맞는단다." "달걀로 바위 치기지." "물 흐르는 대로 바람 부는 대
로 살아야 하느니라."
돈 없고 힘없는 백성이 살아가려면 그 수밖에 없지 않겠느냐는 어머니의 말씀은 오
랜 인생 역정에서 몸으로 터득한 교훈으로, 그것이 바로 우리집의 가훈이 아니었을까.
그러나 유감스럽게도 나는 그렇게 살지 못했다.
흔히들 역사는 발전한다고 말한다. 그럼 역사는 어떻게 발전하는가. 나는 역사가
모난 돌들에 의해서 발전하고 달걀로 바위를 치는 사람들에 의해서 발전한다고 감히
말하고 싶다.
끊임없이 달걀로 바위를 치면 언젠가는 바위도 깨진다. 마치 한 방울씩 떨어지는 물방
울이 바위를 뚫듯이... 지금도 1990년 3당 야합 때 내가 따라가지 않은 것을 '달걀로
바위 치기'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그들은 지역 감정의 골을 메우기 위해서 노력하
는 나의 행동 역시 소용없다고 말한다.
얼렁뚱땅 쉽게 타협하지 않는 나는 '정을 맞는 모난 돌'일지도 모른다. 하지만 생
각해 보자. 정을 맞지 않기 위해 모나지 않게 살아온 사람들, 달걀로 바위치기를 거부
한 사람들에 의해 이 세상은 얼마나 변모했는가. 나는 4·19혁명과 군사독재의 종말을
가져온 6월 항쟁이 달걀로 바위를 치는 신념에 찬 사람들에 의해서 얻어진 것이라고
굳게 믿는다. 역사의 발전 뒤에는 수많은 사람들의 희생이 따른다. 그 희생은 불가능
을 가능으로 바꾸는 씨앗이 된다.
어릴 적 어머님이 늘 나에게 하시던 당부의 말씀, 나는 아무래도 그 말씀을 가훈으
로 삼을 수는 없다는 생각이 든다. 왜냐하면 나는 앞으로도 달걀로 바위를 쳐야 하고,
내 자식들도 그래 주기를 바라기 때문이다.
▶ 이글은 월간 [좋은 생각]이라는 잡지 98년 9월에 기고한 글입니다.
http://knowhow.pa.go.kr/roh/think/view.asp?bid=8&pid=64544&cp=13&num=3
![]() |
![]() |
![]() |
![]() |
---|---|---|---|
8195 | 이 사진을 기억하신다면 침묵 할 수는 없습니다 !! (5) | 대 한 민 국 | 2010.12.18 |
8194 | 아침소경 (2) | 김기덕 | 2010.12.17 |
8193 | 요즘 파란집과 딴나라에서 판치는 놈들이랑 꼭 닮은 놈들을 모아 보았.. (4) | 소상공인 | 2010.12.17 |
8192 | 사람사는 세상 송년의 밤 중계방송 중입니다. | 내사 노 | 2010.12.17 |
8191 | 힘내세요 (7) | 가락주민 | 2010.12.17 |
8190 | 현충원 김대중대통령묘역에 놓여진 시민광장 회원들의 마음 (4) | 건너가자 | 2010.12.17 |
8189 | 나의 노 변호사님, 부산에 윤연희 기억나세요? (12) | 내마음 | 2010.12.17 |
8188 | 유시민 (3) | 김자윤 | 2010.12.17 |
8187 | 골목소경 (2) | 김기덕 | 2010.12.16 |
8186 | 리영희,내겐 소중한 단 하나뿐인 선생님 (2) | 잠자는피카소 | 2010.12.16 |
8185 | '둘레길'의 레 다음에 사이 'ㅅ'이 들어가야 맞지않나요? (1) | 짱포르 | 2010.12.16 |
8184 | 미술관에서 공부하다. (4) | 김자윤 | 2010.12.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