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8/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8/thumb/
![]() |
||
임옥상의 ‘내가 곧 혁명이다’ |
노란 리본에 둘러싸인 故노무현대통령의 모습.
그러나 그 모습은 죽은 모습이다.
노란 리본과 얼굴 윤곽만이 고인임을 짐작케 해 줄 뿐
정작 얼굴은 그 위에 덮여진 황토로 지워져 있다.
작가는
“노무현을 죽이기로 했고, 결국 죽였다”
고 이야기한다.
순간 그의 표정이 무겁다.
그 죽임이 쉽지 않았음이다.
너도 나도 만장을 들고 상주완장을 차는 세상.
너도 나도 ‘노풍’을 기대하고, 영정을 들고 정치에 나서는 세상.
이것이 옳은가?
이것으로 족한가?
이러한 질문에 작가는 답한다.
“노무현은 우상이 되어서는 안 된다. 우리가 그 우상에 기대어 살아서도 안 된다.”
작가는 우상화되어 가고 정치상품화되어 가는 노무현을
자신의 가슴속에서 ‘지우기로’ 했다.
심한 말로 ‘죽이기로’ 했다.
그래서 노란 리본으로 만든 얼굴에 검은 페인트를 칠해 ‘죽였다.’
노무현 정신은 우리 한 사람 한 사람이 우리사회의 주인이 되어
우리사회를 바로 잡는 것.
우상화와 상품화는 바로 그 노무현 정신을 죽이는 것이기에,
또 그 죽음을 헛되어 하는 것이기에
오히려 그 근원인 노무현을 스스로 ‘죽였다.’
노무현을 ‘죽임으로써’ 노무현 정신과 그 죽음의 의미를 살리고자 하는 작가.
그래서 그는 검은 페인트로 ‘죽인’ 얼굴 위에
소금과 숯을 뿌리고 황토를 입혔다.
그리고 그 위에 다시 쌀, 보리, 콩, 팥 등의 곡물을 씨 뿌리듯 심었다
. 그의 표현대로 “싹이 나기를 빌며.......”
싹이 나 자라면........
한 사람 한 사람이 우상 숭배자나 정치상품의 소비자가 아닌,
"혁명’’의 중심이 되면 큰 변화의 바람이 불리라.
그 속에서 고인의 뜻과 죽음의 의미도 살아나게 되리라.
바람이 불면 꼿꼿이 살아나게 되어 있는
그림 속의 노란리본들처럼......
.
.
.
추천글에 올라와 있는
김병준(前참여정부 정책실장)-님의 연설문에서...
![]() |
![]() |
![]() |
![]() |
---|---|---|---|
9395 | 칠월 마지막 일요일 봉하마을 (10) | 등불 | 2011.07.31 |
9394 | 나도양지꽃 (2) | 나도양지꽃 | 2011.07.31 |
9393 | 원주 소금산에서 (3) | 여울돌 | 2011.07.31 |
9392 | 닭의장풀 (4) | 김자윤 | 2011.07.31 |
9391 | [蒼霞哀歌 125] 봉하는 더 따뜻해야 하겠고 (11) | 파란노을 | 2011.07.31 |
9390 | 참나리 (2) | 김자윤 | 2011.07.31 |
9389 | 2011.07.30 여름은 여름인가 봅니다 봉하도 덮습니다 (9) | 보미니성우 | 2011.07.30 |
9388 | 봉하 여름사진 공모전 (1) | 김기덕 | 2011.07.30 |
9387 | 봉하 여름사진 공모전 (2) | 김기덕 | 2011.07.30 |
9386 | 동심 (1) | 김자윤 | 2011.07.30 |
9385 | 개펄 축구 (2) | 김자윤 | 2011.07.30 |
9384 | 아름답게 피어라 - 소금꽃 김진숙! (5) | 돌솥 | 2011.07.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