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dir make error!! /var/www/html/data/world/user_photo/202509/thumb/
-엄마는 자녀를 소위 좋은 고교, 좋은 대학에 보내기 위해 공부 뒷바라지를 하고,
자녀는 삶의 모든 것을 유예한 채 공부만 하며, 아빠는 그 비용을 댄다-
나임윤경 연세대 문화협동과정 교수는
-우리나라의 가정은 자녀를 좋은 대학에 보내는 목표로 이뤄진 프로젝트 공동체-
라며
-애정 공동체-여야 할 가정이
극심한 경쟁 교육의 수단으로 변질된 현실을 고발하는 진단이다.
그는
-예를 들어 중학생 아이가 중간고사면 아빠와 막내는 외가나 친가로 일주일 동안 가 있는다.
엄마는 중학생 아이의 공부를 가르쳐야 되기 때문이다.
엄마들도 대단하지만 아빠들도 은근히 동의를 하고
아이를영어학원에 보내야 된다고 하면 기꺼이 돈을 내놓는다-
고 설명했다.
나 교수는 또 관계지향적이어야 할 부모 자식의 관계가
대학 진학을 위해 도구적으로 변용(變用)되고 있는 점을 비판했다.
그는
-한국 가족의 내면을 보면 자식과 어머니의 관계가 상당히 도구적이다.
아버지는 무관심해야 하고, 엄마는 정보력이 많아야 하고,
할아버지는 돈이 많아야 자식교육에 성공한다는 말도 있다.
기능이 철저하게 분업화돼 있다-
고 했다.
이어
-이는 아이의 대학진학이라는 프로젝트가 완성되려면
기능이 철저하게 분업화돼 있는 게 좋기 때문-
이라며
-협력이나 소통 없이 기능적으로 움직이고 각자의 분업에 충실할 수 있을 때
프로젝트를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있다.
그러면 아이들은 대학 혹은 일류대를 가는 기능을 담당한다.
그래서 아이가 대학에 갔을 때 가장 기뻐하는 사람은
아이 본인이 아니라 자기 부모라고 생각한다-
고 덧붙였다.
나 교수는
-아이들의 삶을 보면 가정에서 애정을 주고받는 게 아니고
도구적인 역할을 수행하는 연습만 하는 것 같다.
부모들은 성적을 빼고아이와 관계를 맺는 게 어떤 것인지 상상조차 하지 못하지만
지금부터라도 성적 문제를 완전히 배제하고 아이와 관계를 맺는 연습을 해야 한다-
고 말했다.
출처 - http://news.khan.co.kr/kh_news/khan_art_view.html?artid=20*************&code=940401
.
.
.
이렇게 극심한 무한경쟁 속에 내몰려
1등이 아니면 기억되지 않는 세상에서
가슴 속에 분노가 가득한 아이들이
그 분노의 표출방법으로 친구를 왕따시킵니다.
제 나이쯤 되면 제게 다 부질없다는 걸 알지만
젊은 엄마들한테 이런 이야기는 -쥐 귀에 경 읽기-입니다.
경쟁에 뒤처지지 않은 1%를 위한 사회가 아니라
나머지 99%도 더불어 사는 사회를 이루고자 하는
그런 마인드를 가진 지도자를 선출하는 것이
그래서 중요하다는 생각이 듭니다.
오늘 아침신문에서 -10대가 아프다-라는 기획물을 보며
저 화포천의 봄같이 푸르고 푸른 아이들이
무한경쟁에 내몰려 부모가 짜 준 스케줄대로 학원순례를 하는
이 시대의 아이들이 참 불쌍한 생각이 드는 아침입니다.
![]() |
![]() |
![]() |
![]() |
---|---|---|---|
10079 | 2011년을 보내며 The 위대한 검찰 북콘서트에서.. (6) | 하루98 | 2011.12.22 |
10078 | 수첩, 받았습니다 ^^ (8) | 소금눈물 | 2011.12.22 |
10077 | D-1 : 대한민국자식연합작품 | 마르케 | 2011.12.22 |
10076 | 대법확정후 정봉주의원 영상 (4) | 아쉬움만 | 2011.12.22 |
10075 | 冬至날 햇님이 화려하게 떠 오르셨습니다. (7) | 집앞공원 | 2011.12.22 |
10074 | 동지팥죽 한그릇으로 냄비 액운 날려 버리자! (22) | 순사모바보덕장. | 2011.12.21 |
10073 | BBK 30초 만에 이해하기 (7) | 니드박 | 2011.12.21 |
10072 | 한명숙 전 총리님 부산 북콘서트 참가했습니다. ^^ (15) | 쌩긋 | 2011.12.21 |
10071 | 우리 대통령의 못보던 영상들 ... (9) | 내마음 | 2011.12.21 |
10070 | 2011년을 마무리하면서 노짱님을 한번에 모셔봤습니다. (22) | 순사모바보덕장. | 2011.12.20 |
10069 | 2011.10.05./ 다같이 농사를 지어도 피가 많은 논들이 있고 .. (10) | 건너가자 | 2011.12.20 |
10068 | 황석산 안의계곡 (7) | 가락주민 | 2011.12.20 |